[병자호란 다시 읽기]

 

 

[아픈 역사에서 배운다-병자호란 다시 읽기] 10만 포로의 눈물

, 조선은 왜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항복하는 비참한 환란을 겪어야 했을까. 한마디로 17세기초 명·청 교체기의 격랑 속에 조선 지배층이 국제정세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2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 여진족과 만주1

, 조선 사회에 엄청난 피해와 고통을 남긴 병자호란의 발발은 16세기 후반∼17세기 중반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이른바 명청교체(明淸交替)의 여파가 조선으로 밀어닥친 결과였다. 명청교체의 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 여진족과 만주Ⅱ

, 청나라의 시조 누르하치가 장차 동북아시아 전체의 역사를 바꾸어 놓는 대격변의 첫걸음을 내디딘 해는 1583년이었다. 이 해부터 시작해 1626년 사망할 때까지 누르하치의 일생은 전쟁으로 점철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임진왜란, 누르하치, 그리고 조선 Ι

조선이 中華에 빠진 틈타 누르하치 여진 통합, 1592년의 임진왜란은 병자호란보다 44년이나 먼저 일어났지만, 두 사건은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1583년 군사를 일으켜 주변의 여진족 정복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 임진왜란, 누르하치, 그리고 조선 Ⅱ

, 임진왜란 초 일본군에 밀려 의주까지 쫓겨갔던 조선은 누르하치의 원병 제의에 깜짝 놀랄 수밖에 없었다. 전쟁 이전까지, 두만강 너머에 살고 있던 여진족들로부터 간헐적으로 침략을 받은 적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 임진왜란,누르하치,그리고 조선 Ⅲ

, 1405년 퉁밍거티무르가 입조(入朝)해 건주위도지휘사에 임명된 이래 명의 여진족에 대한 포섭작업은 가속이 붙었다. 영락제(永樂帝)는 1409년 흑룡강, 우수리강 유역의 광활한 지역을 총괄적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 일본 만선사가들이 본 병자호란,누르하치,그리고 만주 Ⅰ

, 병자호란은 조선 사회와 민중들에게 커다란 상처를 남긴 대사건이었다. 하지만 그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역사학계의 병자호란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8) 일본 만선사가들이 본 병자호란, 누르하치, 그리고 만주 Ⅱ

, 만선사관(滿鮮史觀)의 등장은 19세기 말부터 본격화된 일본의 대륙 침략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대표적인 만선사가였던 이나바 이와기치는 1937년 자신의 회갑을 맞아 쓴 글에서 ‘자신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9) 누르하치,명(明)에 도전하다 Ⅰ

, 앞에서 언급한 대로 명의 지배 아래 있던 여진족은 크게 건주, 해서, 야인의 세 종족으로 구분되었다. 그 가운데 가장 강했던 종족은 해서여진이었다. 해서여진은 다시 예허부(葉赫部), 하다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 누르하치,명(明)에 도전하다 Ⅱ

, 건주여진을 통일하고, 해서여진과 몽골의 연합군마저 물리친 누르하치의 기세는 멈추지 않았다. 누르하치는 하다, 호이파, 울라 등 해서의 여러 부족들을 강온(强穩), 양면으로 통제하여 가장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읽기] (11) 누르하치, 명(明)에 도전하다 Ⅲ

, 누르하치가 만주의 패자(覇者)로 등장하기 전까지, 명이 상대하기에 가장 버겁고 까다롭게 여긴 대상은 예허였다. 하지만 이제 상황이 달라졌다. 누르하치가 하다, 호이파, 울라를 멸망시킴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2)누르하치, 명(明)에 도전하다 Ⅳ

, 1618년 4월15일 푸순성을 포위한 누르하치는 성주 이영방(李永芳)에게 항복하라고 종용했다. 이영방이 망설이자 후금군은 공격을 시작했고, 상대가 될 수 없음을 깨달은 이영방은 항복했다. 푸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3)누르하치, 명(明)에 도전하다Ⅴ

, 누르하치의 푸순 점령 직후, 명 조정의 신료들은 당장 병력을 동원하여 이 ‘괘씸한 오랑캐’를 공격하자고 했다. 하지만 명의 내부사정은 간단치 않았다. 만력제의 태정(怠政)과 황음(荒淫)에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4) 광해군과 누르하치,그리고 명나라Ⅰ

, 누르하치를 치는 데 동참하라는 격문을 받았을 때 광해군(光海君)이 보인 반응은 신중했다. 아니 냉정했다. 그는 누르하치가 ‘천하의 강적’이기 때문에 미약한 조선군의 힘으로는 당해낼 수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5) 광해군과 누르하치,그리고 명나라Ⅱ

, 광해군은 성공적인 분조 활동을 통해 정치적 위상이 높아졌지만, 동시에 위기를 맞았다. 부왕 선조의 견제 때문이었다. 왜란 초반, 이렇다 할 대책 없이 의주까지 파천하기에 급급했던 선조는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6) 광해군과 누르하치,그리고 명나라 Ⅲ

, 명 조정이 왕세자로 승인하는 것을 거부하면서부터 광해군은 안팎으로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1604년, 명나라 제독주사(提督主事) 섭운한(雲翰)은 광해군을 왕세자로 책봉해 달라고 온 조선 사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7) 광해군과 누르하치, 그리고 명나라 Ⅳ

, 우여곡절 끝에 즉위했지만 국왕 광해군의 앞길은 순탄치 않았다. 당장 그의 친형 임해군을 처리하는 문제가 만만치 않았다. 사관(査官) 엄일괴 등을 은으로 구워삶아 위기를 넘겼지만, 그것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8) 광해군과 누르하치, 그리고 명나라 Ⅴ

, 이성량(李成梁)이 병탄을 시도하고, 광해군과 왕세자를 책봉하러 왔던 명사(明使)들의 은(銀) 징색이 이어졌던 것은 광해군 시절 명나라와의 관계가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그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9) 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Ⅰ

, 광해군은 노회한 명과 사나운 후금 사이의 대결 속으로 말려들지 않기 위해 노심초사했다. 그가 정보를 수집하고, 기미책을 강구하며, 자강 능력을 배양하려 애썼던 것은 그 때문이었다. 하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0) 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Ⅱ

, 후금을 치는데 동참하라는 명의 요구가 날아들었을 무렵, 광해군은 정치적으로 고비를 맞고 있었다. 외교적 감각이 탁월했던 광해군이지만, 내정(內政)에서는 적지 않은 난맥상을 드러냈다.‘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1) 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Ⅲ

, 광해군이 명의 파병 요구를 거부하려 했던 것은, 폐모논의와 궁궐 건설 문제 등 내정(內政)의 현안들을 해결하는 것도 벅찼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그는 명의 압력과 내부의 채근에 밀려 군대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2)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Ⅳ

, 강홍립이 이끄는 원군이 심하전역(深河戰役)에서 패하여 누르하치에게 항복했다는 소식은 조선 조야(朝野)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다. 한편에서는 강홍립의 가족을 잡아들여 가두라는 아우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3) 심하전역과 인조반정 Ⅴ

, 1623년(광해군 15) 3월13일 새벽, 광해군은 다급하게 창덕궁의 담을 넘었다. 내시의 등에 업힌 채 궁인 한 사람만을 대동한 초라한 몰골이었다. 자신을 찾기 위해 혈안이 된 반정군(反正軍)의 함성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4) 인조반정의 외교적 파장 Ⅰ

, 인조반정의 발생과 성공은 대외적으로도 커다란 파장을 몰고 왔다. 조선에서 정변이 일어나 광해군이 폐위되고 새로운 정권이 들어섰다는 소식에 명은 민감하게 반응했다. 당시 후금의 군사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5) 인조반정의 외교적 파장Ⅱ

, 인조반정을 ‘찬탈’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조선을 후금과의 대결 속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절실했던 명은 고민을 거듭했다.‘찬탈’을 자행한 난신적자(亂臣賊子)들을 응징하여 상국으로서 명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6) 인조반정의 외교적 파장 Ⅲ

, 명 조정이 인조반정을 ‘찬탈’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조선의 새 정권을 승인하기로 결정한 것은 분명 자신들이 처한 수세(守勢)를 염두에 둔 결단이었다. 명 조정은 마치 ‘모문룡의 은혜’ 때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7) 이괄의 난이 일어나다Ⅰ

, 반정 직후 인조정권이 명에 대해 충성을 다짐했던 것과 맞물려 후금에 대한 적개심도 높아져 갔다. 인조와 신료들은 후금과 전쟁이 일어나는 상황을 가상하고 작전과 승패 향방을 자주 논의하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28) 이괄(李适)의 난(亂)이 일어나다 Ⅱ

, 인조반정을 일으키던 당일, 대장 김류는 미적거렸다. 성공 여부를 확신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2경에 모이기로 했던 약속을 어겼고, 그가 나타나지 않자 반정군 진영은 동요했다. 바로 그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29)이괄(李适)의 난(亂)이 일어나다Ⅲ

, 1624년 2월10일 이괄이 서울로 입성한 직후, 도원수 장만은 관군을 이끌고 서울을 향해 달렸다. 장만은 초조했다. 반란군에게 도성을 내주고 국왕으로 하여금 파천 길에 오르게 만든 일차적 책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0) 이괄(李适)의 난(亂)이 끼친 영향 Ⅳ

, 이괄의 난을 계기로 인조정권의 취약점과 한계는 여지없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인조정권이 구상하고 있던 계획들을 흐트러뜨렸다. 인조반정 성공 직후 ‘후금을 정벌하여 명의 은혜에 보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1) 모문룡의 작폐Ⅰ

, 인조반정 성공 이후 조선이 표방했던 대외정책의 성격은 ‘친명배금(親明排金)’이었다. 그런데 ‘친명’은 분명 실천했지만 ‘배금’은 쉽사리 실천할 수 없었다.‘배금’을 실천하려 할 경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2) 모문룡의 작폐 Ⅱ

, 인조반정 이후 조선 조정이 모문룡을 ‘은인’으로 여겨 송덕비까지 세우게 되자 모문룡은 기고만장했다. 그는 조선에 군량을 비롯하여 전마(戰馬), 조총, 병선 등을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더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3) 명과 후금의 정세 Ⅰ

, 조선이 모문룡의 작폐에 시달리고 있던 정묘호란 무렵 대륙의 정세는 어떠했는가? 1621년 누르하치의 후금군은 요동 전체를 장악했다. 후금은 요동 벌의 중심인 심양(瀋陽)으로 천도하여 산해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4) 명과 후금의 정세 Ⅱ

, 천계 연간 격렬한 당쟁이 빚어지고 결국 위충현을 비롯한 엄당이 국정을 장악하게 되자 그 불똥은 곧바로 산해관 바깥으로 튀었다. 요동, 요서(遼西)의 방어를 책임진 최고위 지휘관들 또한 당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5) 명과 후금의 정세 Ⅲ

, 1626년(인조4, 천계6) 1월23일 누르하치는 영원성으로 들이닥쳤다. 그가 이끄는 병력은 20만이라는 설도 있고,13만이라는 설도 있다. 어쨌든 누르하치의 대병력이 나타나자 영원성의 전면에 머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6) 정묘호란 일어나다Ⅰ

후금군 파죽지세… 인조 강화로 피난갈 궁리만, 홍타이지는 1627년 1월8일 대패륵(大貝勒) 아민(阿敏)에게 조선을 정벌하라고 명령했다. 홍타이지는 “조선이 오랫동안 후금에 죄를 지었기 때문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7)정묘호란 일어나다Ⅱ

, 1627년 후금이 갑자기 정묘호란을 도발했던 배경은 무엇일까? 그것은 복합적이었다. 조선과 후금, 명과 후금, 그리고 조선과 명(-모문룡 문제를 포함) 사이의 문제점들이 서로 얽혀 있었다. 특히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8)정묘호란 일어나다 Ⅲ

, 조선 사신이 ‘재조지은을 배신할 수 없다.’며 침략을 힐문했을 때 아민은 즉각 반박했다. 반박의 핵심은 ‘조선이 명의 은혜만 기억할 뿐 자신들이 베푼 은혜에는 눈을 감고 있다.’는 것이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39) 정묘호란 이모저모

, ‘인조실록’과 장유(張維)의 ‘계곡만필(谿谷漫筆)’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정묘호란 당시 강화도의 분위기는 흉흉했다. 불과 100리 밖까지 적의 대병이 압박해 왔기 때문이다. 그래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0) 정묘호란과 모문룡

, 1627년 4월21일, 용골산성의 영웅 정봉수로부터 긴급 보고가 올라왔다.‘평안도 구성부터 곽산까지 후금 군사들이 가득 차 있고 용골산성은 고립되어 있다. 성안에는 7000명 가까운 군사가 있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1) 정묘호란의 후유증

, 인조는 1627년 4월12일, 서울로 돌아와 경덕궁(慶德宮)으로 들어갔다.1624년 이괄의 난을 맞아 서울을 버렸다가 되찾았던 경험을 3년 만에 되풀이했던 것이다. 이번에도 어렵사리 정권은 지킬 수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2) 일본의 氣가 살아나다 Ⅰ

, 정묘호란의 발생은 조선과 일본 관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쓰시마(對馬島)와 도쿠가와(德川) 바쿠후(幕府)는 동원할 수 있는 채널을 모두 가동하여 전쟁의 추이와 승패를 파악하려 했다. 그들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3) 일본의 氣 가 살아나다 Ⅱ

, 1629년 겐포(玄方) 일행은 상경을 허용하라고 요구하면서 자신들이 도쿠가와 막부 장군의 명령을 받아 온 사자(國王使)라고 강변했다. 조선 조정은 그들이 진짜 국왕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정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4) 모문룡의 죽음과 파장 1

, 앞에서 언급했듯이 정묘호란이 벌어지는 동안 모문룡은 조선에 아무런 보탬이 되지 못했다. 보탬은커녕 그의 부하들이 끼친 작폐 때문에 청북 백성들의 고통은 극에 달했다. 그럼에도 모문룡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5)모문룡의 죽음과 파장 Ⅱ

, 모문룡은 쌍도로 향하면서 엄청난 수의 병력을 대동했다. 수백 척의 선박에 2만 8000명의 병력을 싣고 갔다고 한다. 말하자면 3만명 가까운 경호원을 대동한 셈이다. 원숭환으로부터 소환 통보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6) 自强論의 이상과 현실

, 우여곡절 끝에 후금과 화친함으로써 정묘호란은 끝났다. 인조 정권은 어렵사리 종사(宗社)를 보전할 수 있었지만 남겨진 과제는 참으로 버거웠다. 먼저 후금군과 이렇다할 전투 한 번 변변히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7) 親明意識(친명의식)의 고양과 가도 정벌

, 모문룡을 제거한 이후 원숭환은 가도( 島)에 대한 정비 작업에 나섰다. 부총병 진계성(陳繼盛)에게 임시로 가도의 군병들을 지휘토록 하는 한편, 유해(劉海)를 시켜 진계성을 보좌하도록 했다.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8)가도 정벌이 유야무야되다

, 가도 정벌 방침이 전격적으로 결정되자 신료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았다. 먼저 병조판서 이귀가 나섰다. 그는 ‘주장(主將) 진계성을 함부로 살해한 유흥치를 토벌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49)우여곡절 속 후금과의 관계

, 정묘호란 직후 조선은 후금에 유연한 태도를 취했다. 모문룡을 비롯한 한인(漢人)들의 비방과 방해에도 불구하고 후금 사자에 대한 접대나 그들과의 무역에 성의를 보였다. 하지만 조선의 입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0)자멸의 길로 들어서다

, 우여곡절 속에 조선이 후금과의 관계를 힘겹게 이어가고 있을 무렵 명의 정세는 어떠했는가? 후금의 위협이라는 커다란 외환(外患)을 앞에 두고 명은 이런저런 내우(內憂)를 극복하지 못하고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1) 원숭환의 죽음과 그 영향

, 홍타이지의 반간계에 휘둘리고, 엄당의 참소가 곁들여져 원숭환에 대한 반감과 증오가 높아 가던 분위기 속에서 엄당 계열의 온체인(溫體仁)은 다섯 차례나 상소를 통해 원숭환을 죽이라고 촉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2) 인조의 생부 정원군 추승 논란

, 명 조정이 후금의 반간계에 넘어가 원숭환을 처형하는 등 자멸의 길로 들어서고 있던 무렵, 조선에서는 인조의 생부(生父) 정원군(定遠君)을 국왕으로 추숭(追崇:돌아가신 분의 지위를 뒤 시기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3) 끝없는 가도의 風雲

, 인조가 원종 추숭을 위해 골몰하고 있을 때 가도의 상황은 심상치 않게 돌아갔다. 반란을 일으켜 조선의 정벌 대상이 되었던 유흥치(劉興治)는 조선에 대한 물자 징색(徵色)을 멈추지 않았다.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4) 후금,조선에 배(船)를 요구하다

, 정묘호란이 끝난 뒤부터 병자호란이 일어날 때까지 조선과 후금의 관계는 아슬아슬했다. 조선은 후금과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지만 여의치 않았다. 바로 명과 가도라는 바깥 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5) 후금,조선을 떠보다

, 후금군이 침략해 오고, 사신을 보내 배를 빌려달라고 요구하자 조선의 위기 의식은 높아졌다. 조정은 김시양(金時讓)을 도원수로, 이완(李浣)을 평안병사로 임명하여 서북으로 내려보내고 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6) 대릉하성의 비극 (1)

, 1631년(인조 9) 8월5일 밤, 후금군은 대릉하성을 포위했다. 당시 성안에는 사령관 조대수(祖大壽)를 비롯하여 1만 5000명 남짓한 명군이 있었다. 성의 치첩(雉堞) 공사가 끝나지 않은 상태라 미처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57) 대릉하성의 비극 (2)

, 명이 조대수를 시켜 대릉하성을 쌓은 목적은 명확했다. 산해관의 방어를 확고히 하면서, 후금에 빼앗긴 요서(遼西)와 요동을 수복하기 위한 전진기지로 삼으려 했다. 하지만 후금군은 성의 방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8) 전운 그림자에 불안, 막막한 현실

, 후금이 대릉하 원정에 앞서 평안도 일원에 병력을 보내 위협하자 조선의 위기의식은 바짝 높아졌다. 인조는 강화도 정비에 몰두하는 한편, 후금의 침략에 대비한 군사적 방책 마련에도 신경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59> 곤혹스러운 상태가 지속되다

, 조선이 후금과의 관계를 안정시키려면 그들의 요구를 들어주어야 했다.1630년 무렵부터 병자호란이 일어날 때까지 후금이 요구했던 핵심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자신들과의 교역에 성의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0) 반란자와 귀순자들Ⅰ

明장수 공유덕·경중명 수군과 함선 이끌고 후금에 투항, 후금이 명을 압박하면서 조선과 후금의 관계 또한 살얼음판을 걷고 있던 1633년 무렵, 세 나라의 관계를 뿌리째 흔드는 사건이 일어났다.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61) 반란자와 귀순자들 Ⅱ

, 공유덕과 경중명이 이끄는 반란군이 후금으로 도주하려 하자 명에는 비상이 걸렸다. 명 조정은 주문욱(周文郁)에게 수군을 이끌고 공경(孔耿) 일당을 저지하도록 지시했다. 주문욱은 나름대로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2) 반란자와 귀순자들 Ⅲ

, 조명연합군의 필사적인 저지 작전에도 불구하고 공유덕과 경중명은 후금으로 귀순하는 데 성공했다. 비록 중간에 다소의 손실이 있었지만 공경(孔耿)이 끌고 갔던 전함과 수군의 대부분은 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3) 엎친 데 덮치다

, 공유덕과 경중명 일당의 후금 귀순은 조선에 치명적이었다. 조선은 명의 강요 때문에 ‘공경 사건’을 놓고 벌어진 명과 후금의 싸움에 말려들었다. 하지만 공경을 저지하는 데 실패했고, 결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4) 외환(外患) 속의 내우(內憂)

, 재원 문제 때문에 청북(淸北) 지역의 성곽 수리와 군량 공급마저 여의치 않았던 상황에서 노유녕에게 십만 냥 가까운 은화를 뜯겼던 것은 너무나 큰 손실이었다. 하지만 인조는 노유녕이 다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5) 전란의 전조

, 1634년 말부터 이듬해 봄까지 조정은 강학년(姜鶴年) 발언의 파장 때문에 뒤숭숭했다.‘포악함으로써 포악함을 제거했다.’며 인조반정의 정당성 자체를 부정했던 강학년의 직격탄은 인조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6) 유화적인 대일정책Ⅰ

,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1635년 후반 무렵, 조선은 또 다른 난제를 안고 있었다. 다름 아닌 ‘일본 문제’였다. 조선은 갈수록 높아지는 후금의 군사적 위협과 명의 요구를 감당하기에도 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7) 유화적인 대일정책Ⅱ

, ‘야나가와 이켄(柳川一件)’에 대한 최종 판결은 1635년(인조 13) 3월15일에 내려졌다. 도쿠가와 쇼군은 소오 요시나리(宗義成)의 손을 들어 주었다. 하지만 요시나리에게 그것은 ‘찜찜한 승리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8) 후금관계 파탄의 시초(Ⅰ)

, ‘야나가와 이켄’에서 비롯된 일본과의 긴장도 대충 해소되고 있던 1635년 12월, 인열왕후(仁烈王后·1594∼1635) 한씨가 세상을 떠났다. 출산으로 말미암은 후유증 때문이었다.12월4일에 태어난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69) 후금 관계 파탄의 시초(Ⅱ)

, 용골대와 마부대 일행은 다목적 사절이었다. 새해가 밝았음을 축하하는 사절이자, 인열왕후의 죽음에 문상하기 위한 조문사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이 조선에 온 가장 큰 목적은 홍타이지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0) 홍타이지,황제가 되다

, 평소 여진족을 오랑캐라고 멸시했던 조선이 홍타이지를 황제로 추대하는 데 동참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그런데 후금의 힘이 이미 명마저 넘어선 상황에서 조선의 선택은 국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1) 높아지는 명분론,어정쩡한 방어대책

홍타이지의 ‘조선 비난’ 국서에 조정신료 決戰論 들끓어, 몽골 버일러들을 이끌고 왔던 용골대 일행이 도주하고, 청과 관계를 끊겠다는 인조의 유시문마저 용골대 일행에게 빼앗긴 뒤 조선의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2) 절체절명의 시간들

,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직전, 인조는 나름대로 분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스스로 자책하는 내용을 담은 교서를 반포하여 실책을 사과하고, 내외 신료들에게 구국의 방책 마련을 위해 협조를 당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73)최후의 주화-척화 논쟁

, 최명길의 주장은, 척화(斥和)하여 청과 싸우겠다는 결심을 굳혔으면 ‘공세적’으로 하자는 내용이었다. 말로만 ‘척화’를 외치며 미적거릴 경우, 청군의 철기(鐵騎)를 조선 영토 깊숙이 불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4) 병자호란이 시작되다(Ⅰ)

, 전쟁이 일어나기 바로 직전까지 조정에서는 청과의 관계를 복원할지, 그것과 관련하여 사신을 보낼지를 놓고 격심한 논란이 빚어졌다. 척화파는 명분과 의리를 지키기 위해 절교가 불가피하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5) 병자호란이 일어나다 Ⅱ

, 1636년 12월10일 압록강을 건넜다. 이렇다 할 저항이 없었다. 그들은 곽산(郭山)과 정주(定州)에 사실상 무혈 입성했다. 홍타이지는 투항해 온 곽산과 정주의 군민들을 해치지 말라고 유시하는 한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6) 남한산성과 강화도

, 남한산성은 천험(天險)의 요새였다. 성곽의 가장 높은 누대에서는 도성과 살곶이(箭串場)가 한눈에 들어왔다. 더욱이 인조가 들어갔던 무렵은 눈보라가 몰아치고 기온이 몹시 떨어져 성으로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7) 남한산성의 나날들 Ⅰ

인조의 가짜 아우 인질로 보냈다가 더욱 궁지에…, 인조는 결국 강화도로 가는 것을 포기했다. 건강이 여의치 않은데다 주요 길목을 청군이 모두 봉쇄했기 때문이다. 무리하게 강화도 행을 시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7) 남한산성의 나날들 Ⅰ

인조의 가짜 아우 인질로 보냈다가 더욱 궁지에…, 인조는 결국 강화도로 가는 것을 포기했다. 건강이 여의치 않은데다 주요 길목을 청군이 모두 봉쇄했기 때문이다. 무리하게 강화도 행을 시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8) 남한산성의 나날들 Ⅱ

, 남한산성을 공략하려는 청군 지휘부의 계책은 치밀했다. 그들은 성 주변에 참호를 파고 목책을 설치했다. 이미 1631년 홍타이지가 명의 대릉하성(大凌河城)을 공략할 때 사용했던 전술이었다.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79) 남한산성의 나날들 Ⅲ

, 왕세자를 보내지 않으면 화친은 꿈도 꾸지 말라는 청군 지휘부의 요구가 있은 직후 성안의 분위기는 복잡했다. 여전히 화친을 시도해야 한다는 부류와 화친은 이미 물 건너갔으니 최후의 결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80> 근왕병이 패하다 Ⅰ

[서울신문]몇 차례 소소한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지만 상황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었다. 시간은 속절없이 흐르고 있었고, 날씨가 추운 것도 그대로였다. 근왕병이 올 기약은 보이지 않는데 식

news.v.daum.net

 

 

[병자호란 다시 읽기] (81) 근왕병이 패하다 Ⅱ

, 당시 근왕병들이 처해 있던 열악한 상황을 고려하면, 청군의 포위망을 뚫고 남한산성을 구원하는 것은 애초부터 여의치 않은 일이었다. 우선 지방의 감사나 지휘관들이 병력을 모으고 행군하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82) 남한산성의 스산한 연말

, 포위된 이후 남한산성 사람들은 바깥 소식 하나하나에 일희일비했다. 근왕병이 근처까지 와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거나 패하여 물러갔다는 소식이 잇따라 들려오면서 산성의 분위기는 침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83) 다시 화친을 시도하다(Ⅰ)

조선 사신들 처음으로 홍타이지 ‘詔諭(조유:황제가 신료들에게 내리는 조서와 유시문)’에 네 번 절해, 남한산성에서 고단한 나날을 보낸 것이 어느덧 17일, 병자년(丙子年)이 저물고 정축년(丁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84) 다시 화친을 시도하다(Ⅱ)

조선의 마지막 꿈 ‘오랑캐의 신하’ 면했으면…, 1637년 1월3일, 도성으로부터 가슴 아픈 소식이 전해졌다.12월 그믐과 정월 초하루, 몽골병들이 도성으로 몰려들어 사람들을 붙잡아가고 약탈을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85) 남한산성의 나날들(Ⅳ)

임금 이부자리도 없고 수라상 반찬은 닭다리 하나뿐, 조선이 청군 진영에 보낸 국서에서 처음으로 ‘관온인성황제(寬溫仁聖皇帝)’라는 호칭을 쓰고, 과거의 ‘잘못’을 사과했지만 청군 진영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86) 힘겨운 화친 시도

淸, 화포 총동원 ‘무조건 항복-전원 옥쇄’ 선택 엄포, 조선이 상황에 떠밀려 화친을 다시 추진하기로 했지만 그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유리한 조건에서 화친이 이루어지려면 어느 정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87) 최명길 국서를 쓰고, 김상헌 그것을 찢다

항복형식 왈가왈부 하는 동안 포탄은 성안으로…, 시간이 흐르면서 청과의 교섭은 조선의 ‘항복 조건’을 논의하는 과정으로 변해갔다.1627년 정묘호란 당시 맺은 ‘형제관계’를 유지하는 것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88) 인조의 절박함과 홍타이지의 절박함

인조, 반정 통해 얻은 지존 위신 잃을까 出城 회피, 항복을 하더라도 산성에서 나가는 것만큼은 끝까지 피하고자 했던 인조의 소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월20일 조선은 홍타이지에게 보낸 국서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89) 강화도가 함락되다(Ⅰ)

海戰 경험 적은 淸軍 얕보다 허찔려 ‘철옹성 와르르’,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나가는 문제를 놓고 마지막 줄다리기가 벌어지고 있던 1637년 1월22일, 강화도가 함락되었다. 왕실 가족들과 조정 신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90) 강화도가 함락되다 (Ⅱ)

술 취한 장수는 도망가고… 죄 없는 백성은 어육 되고…, 청군은 강화도 공격을 처음부터 치밀하게 준비했다. 도르곤(多爾袞)은 심양에서 데려오거나 한강 일대에서 사로잡은 조선인 선장(船匠)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91) 강화도의 비극

, 강화도가 함락될 때 김경징, 이민구, 장신 등 조선군의 최고위 지도부는 바다로 도주하여 목숨을 부지했다. 강화도 방어를 책임진 그들은 멀쩡했지만, 그들의 무책임한 행동은 연쇄적인 비극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92) 조선,항복하기로 결정하다

, 1637년 1월22일 강화도가 함락되었지만, 남한산성의 조정은 그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조정은 이 때 청군이 또 다른 조건으로 제시한 척화신(斥和臣)을 잡아 보내는 문제를 놓고 논란을 벌이고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읽기] (93) 파국의 전야

, 강화도가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들은 뒤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나가기로 결정했다. 마지막 보루가 무너지고, 왕실과 대신의 가족들이 모두 포로가 되어버린 상황은 ‘절망’ 그 자체였다. 하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94) 해가 빛이 없다

, 1637년(인조 15) 음력 1월30일,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나가 청 태종 홍타이지에게 항복했다. 일찍부터 여진족을 ‘오랑캐’이자 ‘발가락 사이의 무좀(疥癬)’ 정도로 멸시해 왔던 조선 지식인들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95) 三學士의 최후

, 인조의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로 상징되는 치욕적인 항복과 함께 전쟁은 끝났다. 하지만 귀천을 막론하고 조선 사람들의 참혹한 고통은 이제 막 시작되고 있었다. 인조를 대신해 볼모로 끌려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96) 처참한 나날들

, 인조가 항복의 예를 마치고 환궁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전쟁은 끝났다. 하지만 그것은 끝이 아니었다. 청군은 아직 철수하지 않았고, 그들은 조선 조정에 이런 저런 요구들을 쏟아냈다. 용골대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읽기] (97) 가도의 동강진 무너지다

, 청은 병자호란을 통해 여러 가지를 얻었다. 우선 자신들을 끝까지 인정하려 들지 않았던 조선을 굴복시킴으로써 대외적으로 ‘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었다. 다른 측면의 소득도 짭짤했다.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읽기] (98) 인조, 백성에 사죄하다

“나 때문에 죄없는 모든 백성에 화 끼쳐 책임 통감”, 전란은 끝났지만 인조 정권 앞에는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었다. 당장 도성 안팎에 버려져 있는 시신들을 치우고, 하나 둘씩 모여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99) 조선,혼돈 속 청의 번국 되다

청나라 “인조를 국왕에 봉하니 충성하라” 칙서,  청군의 철수가 막바지에 이르렀을 무렵,조정에서는 또 다른 논란이 벌어지고 있었다.그것은 전란을 불러온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놓고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0) 포로들의 고통과 슬픔 ①

50만명 ‘포로 사냥’ 희생양… 사고 팔리는 노예로, ‘우리가 끌고 가는 조선인 포로들 가운데 압록강을 건너기 전에 탈출에 성공하는 자는 불문에 부친다.하지만 일단 강을 건너 한 발짝이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1) 포로들의 고통과 슬픔 ②

, 병자호란 직후 청으로 끌려간 수많은 포로들은 어떤 고통을 겪었을까? 한마디로 그들 피로인(被擄人)들은 시종일관 끔찍한 고난 속에서 살아가야 했다.그들의 고통은 청군에게 사로잡히는 순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2) 포로들의 고통과 슬픔 ③

속환은 ‘사람 장사’… 혈육 눈앞에 두고 돈 없어 눈물만, 당시 포로들을 속환해 오는 방식은 몸값을 누가 마련하느냐에 따라 크게 사속(私贖)과 공속(公贖)으로 나눠지고 있었다.사속이란 일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읽기] (103) 환향녀의 슬픔, 안추원과 안단의 비극

사대부 집안 환향 며느리들 대부분 버림받아 ‘두 번 눈물’, 속환이나 도망을 통해 천신만고 끝에 조선으로 돌아온 여인들(還鄕女) 앞에는 또 다른 난관이 기다리고 있었다.사족(士族) 부녀자

www.seoul.co.kr

 

 

[병자호란 다시 읽기] (104·끝) 조선을 알았던 청, 청을 몰랐던 조선

“인조가 강화도로 들어갔다면 전쟁 양상 달라졌을 것”, 조선이 병자호란을 맞아 일방적으로 몰리고 항복할 수밖에 없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당시 청군이 조선이 상

www.seoul.co.kr

 

'남국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고고학  (0) 2021.06.04
조선 문화유산  (0) 2021.06.04
[간도오딧세이]  (0) 2021.05.30
[지도와 인간사]  (0) 2020.04.16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0) 2019.1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