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남국/조선 (26)
력사를 찾아서

이름과 달리 녹둔도는 섬이 아니라 서울의 6분의 1 크기에 이르는 거대한 저습지였다. 우리의 국운이 다하던 구한말 러시아에 편입된 이래 지금은 그 흔적을 제대로 알 수 없게 되었다. 녹둔도는 조선시대에는 변두리와 오랑캐의 상징이었지만 지금은 유라시아로 이어지는 관문이다. 동시에 중국으로선 태평양으로 진출하기 위해 반드시 차지해야 할 교두보이기도 하다. 이런 현대사적 의의 이전에도 한-러 국경지역은 선사시대 이래 유라시아와 한반도의 고대를 잇는 거점이기도 했다. ■ 이순신 장군의 신화가 시작된 환상의 섬 녹둔도[강인욱 세상만사의 기원]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2021. 4. 16. 03:01 한-러 국경지역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 마을의 흔적. 러시아 학자들은 군사 요충지인 수류봉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두만강 이북의 러시아 영토인 블라디보스톡을 중심으로 한 연해주지역에서 러시아 과학원 고고학자들은 연해주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고려·조선시기의 유적과 유물들이 최근 발굴됐다고 2017년 11월 17일 인하대에서 보고했다. 인하대 국제학술회의는 러시아 극동고고학계 권위자들은 발표를 통해 ‘피터 대체만 수역의 고려 및 조선시대 고고학 유적들’ 등에 대한 주제발표를 통해 고려의 국경사에 대한 한국 역사학계의 기존 통설에 대한 많은 논쟁거리를 제공했다. ■ 인하대, "조선시대 연해주는 성웅 이순신의 군사작전지역" 한국 중세사 국경 연구 공개토론 제안국민일보 인천=정창교 기자 2017. 11. 19. 12:47 인하대(총장 최순자) 고조선연구소(소장 김연성) ‘조선사’ 연구팀은 러시아 과학원의 고고학자들을 초..

경희궁에 다녀왔습니다. 사적으로 지정된 경희궁은 조선후기의 이궁이었습니다. 1617년(광해군 9)부터 짓기 시작하여 1623년(광해군 15)에 완성되었습니다.경희궁이 들어서기 전 이곳에는 인조의 아버지인 정원군의 집이 있었는데, 이곳에 왕기가 서려있다는 이야기가 있어 그 터를 몰수하고 왕궁을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경희궁의 처음 명칭은 경덕궁(慶德宮)이었으나 원종의 시호인 '경덕(敬德)'과 같은 발음이라하여 1760년(영조 36) 경희궁으로 바뀌었습니다. 경희궁은 도성의 서쪽에 있다고 하여 서궐(西闕)이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합하여 동궐(東闕)이라고 불렀던 것과 대비되는 별칭입니다. 경희궁과 경운궁을 잇는 홍교, 1902년경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탄 후 대..
창덕궁 바로 옆에 있는 창경궁에 다녀왔습니다. 창경궁 전경 창경궁(昌慶宮)은 성종이 세 명의 대비를 위해 옛 수강궁에 창건한 궁이다. 창경궁은 원래 1418년(세종 즉위) 세종이 상왕 태종을 위해 창건한 수강궁(壽康宮)이 있던 자리이다. 이후 1483년(성종 14) 성종이 세 명의 대비(세조의 왕비 정희왕후, 덕종의 왕비 소혜왕후, 예종의 왕비 안순왕후)를 위해 수강궁을 크게 확장하고 궁의 이름을 창경궁이라 하였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경계 없이 동궐(東闕)이라는 하나의 궁궐 영역이었으며 주로 왕실 가족들의 생활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창경궁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1616년(광해군 8) 중건하였으며, 1830년(순조 30) 대화재로 대부분의 건물들이 소실되었다가 4년 뒤에 ..
세계문화유산 창덕궁에 다녀왔습니다. 창덕궁 전경 창덕궁(昌德宮)은 1405년(태종 5) 법궁인 경복궁의 이궁(離宮)으로 창건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궁궐 중 처음으로 다시 지어졌으며, 이후 역대 왕들이 1867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약 270여년 동안 창덕궁을 더 많이 사용하여 실질적인 법궁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대조전 부속 건물인 흥복헌은 1910년 경술국치가 결정되었던 비운의 장소이기도 하며, 낙선재 권역은 광복 이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실 가족(순정황후(순종 두 번째 황후), 의민황태자비(이방자 여사), 덕혜옹주(고종의 딸))이 생활하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기도 하다. 후원은 1406년(태종 6) 창덕궁 북쪽에 처음 조성되었고 1463..
마도 4호선은 나주(영산포)에 거둬둔 전라도 세곡 및 특산물을 서울의 광흥창으로 옮기는 ‘조운선’이었습니다.이 조운선은 1403~1413년 이후 15세기 초 사이에 마도 해역에서 침몰했을 것입니다. ■ 조선시대 세금 운반선의 비밀 마도 1·2·3호선에 비해 조명받지 못한 마도 4호선에는 매우 중요한 코드가 숨겨져 있다.‘마도 4호선’은 마도 해역의 확장 조사 중에 확인된 ‘조선시대 조운선’이다. 선체 내부에서 분청사기 150여 점 확인됐다. 제작기법이나 문양 등으로 보아 15세기 초의 작품으로 판단됐다. 그 중에는 구체적인 연대를 알 수 있는 명문 유물이 보였다. 우선 ‘내섬(內贍)’명 사기가 3점 눈에 띄었다.1403년(태종 3) 6월 29일 설치된 ‘내섬(시)’은 궁궐의 물품을 관리하는 호조 산..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는 1932년 금강산에서 출토되었는데요, 고고학적인 발굴이라기 보다는 발견이라고 보아야 될 것 같습니다. 1932년 10월 6일 강원도 준양군 장양면 장연리 금강산 월출봉(1580m)에서 산불 저지선을 확보하기 위해 공사 중이던 인부들이 돌 상자를 발견했는데요, 그 속에 사리를 잘 모셔두기 위한 '사리장엄구'가 들어 있었습니다. [서울=뉴시스] 보물 제1925호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중 은제금도금라마탑형사리기와 유리제사리병(가운데)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제공) 2021.05.26. photo@newsis.com 사리장엄구는 사리를 불탑에 안치할 때 사용하는 용기나 함께 봉안되는 공양물을 통틀어서 가리키는 말입니다. 의식에 맞추어 사리를 봉안하는 데 필요한 기구를..

양주 회암사지는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올라 있습니다. 양주 회암사지는 고려 충숙왕 15년(1328) 원나라를 통해 들어온 인도의 승려 지공(持空·1300∼1363)이 처음 지었다는 회암사가 있던 자리입니다. 이어서 고려 우왕 2년(1376) 지공의 제자 나옹이 “이곳에 절을 지으면 불법이 크게 번성한다”는 말을 믿고 절을 크게 짓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양주 회암사지(출처; 국가유산포털) 조선 전기까지도 전국에서 가장 큰 절이었다고 하는데, 태조 이성계는 나옹의 제자이면서 자신의 스승인 무학대사를 이 절에 머무르게 하였고, 왕위를 물려준 뒤에는 이곳에서 수도생활을 하기도 했습니다. 성종 때는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의 명에 따라 절을 크게 넓히는데 13년이나 걸렸다고 합니다..

1990년부터 시작한 '경복궁 복원'은 2045년까지 진행합니다.고종 때 중건 당시 전각(500동) 가운데 1990년까지 남아 있던 건물은 36개동뿐이었습니다. 지금까지 광화문-흥례문-근정전-침전(강녕전·교태전 등)-후원(건청궁) 등으로 이어지는 중심축과 태원전(임금 초상화를 모신 곳), 동궁(자선당·비현각 등), 함화당 및 집경당 등 보수·복원이 마무리되었습니다. 1990년 첫 삽을 뜬 ‘경복궁 복원’은 2045년까지 장장 55년의 기간을 두고 진행하는 사업이다. 중건 당시의 전각(500동) 가운데 1990년까지 남아있던 건물은 36개 동에 불과했다. 1차 복원계획이 끝난 2010년까지 총 125동(기존 36개동 포함)에 달했다. 문화재청은 2차 복원 기간(2011~2045년)에 80개동을 더..

2019년부터 진행한 광화문광장 조성 과정에서 조선시대 주요 관청의 흔적이 발굴됐습니다. 지금의 광화문광장에서 세종대로 일대까지 뻗어있었던 ‘육조거리’는 조선시대 서울의 핵심거리로 최고 행정기구인 의정부를 비롯한 6조(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가 있었습니다. 삼군부(지금의 합동참모본부)의 외행랑, 배수로, 건물지의 터가 확인됐고요, 중추부의 건물자리, 사헌부(지금의 감사원, 검찰)와 병조의 문지, 행랑, 담장, 우물, 배수로 터, 형조와 공조의 배수로 터, 그리고 민가 터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에서 드러난 조선시대 육조거리.①지점에선 삼군부의 외행랑, 배수로, 건물지의 터가 확인됐다.②지점에서는 중추부의 건물 자리가,③지점에선 사헌부와 병조의 문지·행랑·담장·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