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7 (2)
력사를 찾아서

“세월이 30년이나 흘러 ‘통일의 꽃’으로 불린 20대 초반 대학생이 50대 중년이 됐네요.” ‘판문점 군사분계선 민간인 첫 통과’ 30돌을 맞은 문규현(74) 신부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 행사에 참석하려고 이동중이라며 전화를 받았다. 문 신부는 1989년 8월15일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대표로 방북했던 임수경(한국외대 4학년)씨와 함께 남쪽으로 귀환했다. 두 사람은 한반도 분단 이후 처음으로 군사분계선을 넘어 온 민간인이었다. 이들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5년형을 받고 수감중 1992년 성탄절 전야에 형집행 정지로 가석방됐다. ■ 문규현 "30년전 오늘 '분단 금기 돌파'는 '윤한봉 기획'이었다"정대하2019. 8. 14. 22:26 [짬]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상임대..

1989년 6월21일 한국외대 4학년 임수경씨가 서울 김포공항을 출발했다. 일본 도쿄와 독일을 거쳐 6월30일 평양에 도착했다. 그는 유라시아 대륙을 왕복해 서울에서 평양에 갔다. 그는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평축)에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대표로 참가했다. 분단 이후 남쪽의 학생 대표가 평양을 방문한 것은 처음이었다. 그의 방북은 남북 양쪽에 큰 충격을 줬다. 통일운동가나 유명 작가가 아닌 평범한 20대 대학생의 방북은 남북 모두를 놀라게 했다. 임수경씨는 평양에서 ‘통일의 꽃’으로 불리며 환영을 받았다. 그가 가는 곳에는 환영 인파가 자발적으로 몰려들었다고 한다. ■ 민간방북 30년..문익환·황석영·임수경의 길 어떻게 이을까2019. 4. 4. 12:16 '금단의 시대' 넘은 3인 행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