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현생인류출현~1만년전 (19)
력사를 찾아서

강원도 정선에서 지금으로부터 약 2만9000년 전인 후기 구석기 시대 유물이 발굴됐다. 물고기를 잡을 때 쓰는 그물추와 뗀석기를 비롯해 사람의 손가락 뼈가 발견됐다.2018년 8월 7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연세대학교박물관이 지난 6월부터 약 40일에 걸쳐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에 자리한 석회암 동굴인 매둔동굴을 조사한 결과 1층부터 4층까지 형성된 구석기 시대 퇴적층이 확인됐다. ■ 강원도 정선 매둔동굴서 2만9000년전 구석기 그물추·손가락 뼈 발굴파이낸셜뉴스, 2018.08.07 강원도 정선 매둔동굴 강원도 정선 매둔동굴 지난해에 이어 진행된 올해 발굴조사는 동굴 안쪽의 구석기 문화층을 대상으로 했다. 구석기 시대 퇴적층에서는 사슴, 노루, 사향노루, 산양, 곰 등의 대..
남한강 유역 하진리서 발견한 줄새김 자갈돌… 고조선 계승해 농경 기념비·별자리 돌판·토기·돌검 제작 활용조선 ‘천상열차분야지도’ BC 511년 별자리 그린 것… 1년 365일 주기·24절기 정립했고 달력도 만들어 ■ 신용하의 인류 5대 ‘古朝鮮문명’ - (16) 10진법 창조·전파- 한민족 문명학 3만9000년前 한반도 눈금돌… 10진법으로 발전해 동방에 퍼졌다문화일보, 2020-05-20 하진리에서 출토된 ‘줄새김 자갈돌’. 인류사회의 모든 초기 문명은 각각의 셈법 체계를 사용했다. 메소포타미아 수메르문명은 12진법(進法)과 60진법을 만들어 사용했다. 고조선문명은 어떠한 셈법 체계를 형성해 문명을 창조했을까?문화재청과 한국선사문화연구원은 2014년 6월 16일 남한강 유역인 충북 단양군(수..

해 가장 먼저 뜨는 동아시아로 인류 선구자들 대장정끝 정착옛 한반도 한강·대동강 일대 사람들 모여드는 곳으로 부상농업 발달·인구밀집·지적집단 세 조건 갖춘 한반도 문명 발생 ■ 신용하의 인류 5대 ‘古朝鮮문명’ - ① 인류 초기 ‘고조선문명’의 발견 동굴 많은 한반도서 빙하기 견딘 인류, ‘동아시아 문명’ 창조하다문화일보, 2019-05-15 최후 빙기 때 동아시아 해안선과 구석기인의 이동 방향. 최후 빙기에 서해가 얼어 없어졌고 북위 40도 이북의 연해주는 동토였다. 고한반도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 끝의 유일한 동해안이었으며, 구석기 신인이 태양이 솟는 동쪽을 향해 이동해 오다가 바다에 막혀 정착한 종착지였다. 신용하 교수 제공 우리는 학교에서 인류 최초의 독립 문명으로서 ① 수메르 문명(약 ..

아마존 열대우림 외진 곳에서 약 1만2500년 된 벽화가 발견됐다.2020년 11월 2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 일요판 옵서버에 따르면, 영국과 콜롬비아 공동 고고학 연구팀은 지난해 콜롬비아 치리비케테 국립공원의 한 절벽에서 인간과 동물을 형상화한 벽화를 발견했다. 이 선사시대 그림의 폭은 12.87㎞ 정도나 돼 발견 장소는 ‘고대인들의 시스티나 성당’으로도 불린다. 왜냐하면 시스티나 성당은 르네상스 시대 거장 미켈란젤로가 높이 20m의 천장에 그린 세계 최대 크기의 벽화로 유명하기 때문. ■ 길이만 12km..아마존 열대우림서 1만2000년 된 벽화 발견서울신문 나우뉴스, 윤태희기자, 2020. 11. 30. 길이만 12㎞…아마존 열대우림서 1만2000년 된 벽화 발견(사진=AFP 연..

인도네시아 동굴에서 현생인류가 그린 가장 오래된 돼지 벽화가 발견됐다. 앞서 발견된 멧돼지 그림보다 1천년 앞선다. 오스트레일리아 그리피스대 애덤 브럼 교수 연구팀은 14일(한국시각) “인도네시아 현지 연구팀과 함께 술라웨시섬의 석회동굴 두 곳에서 각각 4만5500년 전과 3만2천년 전에 그려진 동물 그림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 논문은 과학저널 이날치에 실렸다.(DOI : 10.1126/sciadv.abd4648) ■ 현생인류가 그린 가장 오래된 돼지 벽화 발견이근영기자, 2021. 1. 14.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 리앙 테동게 동굴에서 발견된 돼지 벽화는 현생인류가 그린 가장 오래된 그림으로 연대측정됐다.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제공 인니 동굴서 4만5천년 전 그린 것으로 측정2019..

현생 인류가 몽골을 비롯한 유라시아 대초원에 진출한 시기가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1만년가량 더 거슬러 올라간 약 4만5천년 전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UC 데이비스)에 따르면 이 대학 고인류학 부교수 니컬러스 즈윈스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시베리아와 몽골 북부 사이에 있는 항아이(杭愛)산 선사 유적지 발굴 결과를 토대로 이런 주장을 폈다. ■ 현생인류 몽골 이주 1만년 더 앞선 4만5천년 전 이뤄져2019-08-19 몽골 톨보르계곡(왼쪽 별표지역)과 전경(오른쪽 검은 화살표)[사이언티픽 리포츠 논문 캡처] 항아이산 석기서 확인…멸종 데니소바인과도 접촉 연구팀은 2011년부터 항아이산 톨보르 계곡 16 지역에서 5년에 걸친 발굴작업을 벌여 수천점의 석기 유물을 발..
예술 활동을 하는 인간의 모습은 유럽에서 3만 년 전에 시작되었다는 견해가 정설이었다. 하지만 유럽이 아닌 곳에서, 후기 구석기 이전에도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이상희의 모험-사라진 인류를 찾아서] ■ 7만4000년 전 동굴벽화가 준 충격시사IN, 이상희 (캘리포니아 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 인류학과 교수)2019.01.16 호수 591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특징에는 예술이 빠질 수 없지요. 인간은 언제부터 예술 활동을 했을까요? 학계에서 오래도록 두루 동의한 예술의 기원은 유럽의 후기 구석기 문화입니다. 유럽의 후기 구석기 문화가 왜 특별한지 알려면 그 이전까지의 문화를 이해해야 합니다. 인류가 석기를 만들어 쓴 자료가 분명히 남아 있는 것은 대략 200만 년 전부터입니다. 물론 그 이..
이스라엘에서 12만 년 전 현생인류(호모사피엔스)가 날카로운 돌로 기호를 새겨넣은 동물 뼈 화석이 발견됐다.2021년 2월 4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 예루살렘포스트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히브리대 등 국제연구진은 중서부 람라의 중석기 유적에서 발굴한 동물 뼈 조각에서 6개의 평행하지 않은 새김(조각) 흔적을 발견했다. ■ 인류 최초의 상징 기호?..12만년전 소뼈서 인위적 흔적 발견서울신문 나우뉴스, 윤태희기자, 2021. 2. 4. 인류 최초의 상징 기호?…12만년전 소뼈서 인위적 흔적 발견 길이 3.8~4.2㎝의 이들 조각이 새겨진 뼈는 당시 중동 지역에서 흔히 서식한 안콜소(오소록스)라는 거대한 멸종 소의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은 또 이런 표식을 한 현생인류는 오른손잡이이며..
약 7만3천년 전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붉은 선이 있는 돌이 발견돼 인류의 가장 오래된 그림으로 학계에 발표됐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위트와테르스란트 대학 고고학자 루카 폴라롤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선사시대 유물이 출토된 블롬보스 동굴에서 발견된 규산암(silcrete) 파편의 붉은 선이 의도와 의미를 갖고 황색토(오커·ochre) 안료로 그린 그림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2018년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최신호에 밝혔다. 블롬보스 동굴은 남아공 케이프타운에서 동쪽으로 300여㎞ 떨어진 석회암 절벽에 있는 선사시대 동굴로 1990년대에 발굴이 시작돼 약 10만~7만년 전 유물이 출토돼 왔다. ■ 7만3천년전 인류 최고(最古) 그림 발견…해시태그(#)와 비슷2018-09-13 약 7만3천년..

현생인류(호모사피엔스)의 첫 등장 시기와 아시아 진출 시기에 관한 지난 30년간의 정설이 흔들리고 있다. 최근 새롭게 발견되는 화석과 유전자를 이용한 연구결과들이 축적되면서다. 현생인류의 탄생 시점은 기존 20만 년 전에서 10만 년 앞당겨져 30만 년 전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지역에 처음 발을 디딘 연대는 기존 6만 년 전에서 12만 년 전으로 앞당겨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 “현생인류, 12만 년 전 아프리카 벗어나 아시아에 첫 발”2017.12.08 올해 발표 30주년을 맞은 ‘아프리카 기원론’은 인류가 2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태어났다고 본다. 리베카 캔 하와이대 의대 교수(당시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원)팀이 1987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이 시초로, 캔 교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