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선 (23)
력사를 찾아서
신형식 백산학회 회장(상명대 초빙교수·한국고대사)은 “일제가 제작한 지도에도 드러나듯 간도는 명백한 우리 영토였고, 1909년의 청·일 간 간도협약은 국제법상으로도 무효”라며 “만일 정부가 제기하지 못한다면 국회와 학계에서라도 이 문제를 이슈화해야 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노영돈 인천대 교수(국제법)는 “중국이 국가 주도로 자신의 국익에 유리한 이론화 작업을 추진하는 데 비해 우리 정부는 ‘외교적 마찰’ 운운하며 이런 논의를 스스로 회피하려고 하는 것이 문제”라고 했습니다. 중국 정부와의 ‘조용한 조율’을 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문제를 삼음으로써 중국에 대한 ‘카드’로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었습니다. [이하원 기자의 외교·안보 막전막후 ]‘간도협정은 무효’ 명기된 국감자료집 수거후외교..
간도는 통상 남부 만주 지역 중 두만강 북쪽 땅(동간도)을 뜻하지만, 압록강 북쪽도 서간도로 불려왔습니다. 이곳은 원래 고구려와 발해의 옛 땅으로 조선과 청 나라가 1712년 백두산 정계비를 만들 때 합의한 것처럼 조선 영토였습니다. 특히 19세기 중반부터 이곳에서 땅을 개간하는 한국인이 급증, 간도협약 당시 동간도에만 10만 여 명의 한국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1900년 대한제국은 간도 조선인 보호용으로 두만강 인근에 변계경무서를 설치했습니다. 1902년엔 간도관리사 종3품 이범윤을 간도에 파견하기도 했습니다. [이하원 기자의 외교·안보 막전막후 ]노무현 정부 때 중국 “간도 영유권 거론 말라” 요구 후“외교부가 왜 국감 자료집 회수하느냐” 제보 전화신구 자료집 비교해 보니 간도 협약 기술 바뀌어파..
1897년 고종 황제가 황제 즉위식을 하고 하늘에 제사지내기 위해 지은 환구단(또는 원구단)에 다녀왔습니다. 1896년 2월 경복궁에서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겨 1년여간 생활한 고종은 1897년 2월 경운궁(현 덕수궁)으로 환궁하였습니다. 1897년 8월 14일 연호를 ‘광무(光武)’라고 정하고, 1897년 10월 12일 고종은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환구단에 나아가 수많은 인파가 모인 가운데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황제에 등극했습니다. 이때 조선의 국호를 ‘대한’으로 고쳐 대한제국의 탄생을 국내외에 선포했습니다.다음 날 고종황제는 외국 공사들을 경운궁(현 덕수궁)으로 초청해 대한제국 선포를 알렸습니다. 고종이 황제 즉위식을 올리며 대한제국을 선포한 과정은 ‘고종실록’에 ..
창덕궁 바로 옆에 있는 창경궁에 다녀왔습니다. 창경궁 전경 창경궁(昌慶宮)은 성종이 세 명의 대비를 위해 옛 수강궁에 창건한 궁이다. 창경궁은 원래 1418년(세종 즉위) 세종이 상왕 태종을 위해 창건한 수강궁(壽康宮)이 있던 자리이다. 이후 1483년(성종 14) 성종이 세 명의 대비(세조의 왕비 정희왕후, 덕종의 왕비 소혜왕후, 예종의 왕비 안순왕후)를 위해 수강궁을 크게 확장하고 궁의 이름을 창경궁이라 하였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경계 없이 동궐(東闕)이라는 하나의 궁궐 영역이었으며 주로 왕실 가족들의 생활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창경궁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1616년(광해군 8) 중건하였으며, 1830년(순조 30) 대화재로 대부분의 건물들이 소실되었다가 4년 뒤에 ..
세계문화유산 창덕궁에 다녀왔습니다. 창덕궁 전경 창덕궁(昌德宮)은 1405년(태종 5) 법궁인 경복궁의 이궁(離宮)으로 창건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궁궐 중 처음으로 다시 지어졌으며, 이후 역대 왕들이 1867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약 270여년 동안 창덕궁을 더 많이 사용하여 실질적인 법궁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대조전 부속 건물인 흥복헌은 1910년 경술국치가 결정되었던 비운의 장소이기도 하며, 낙선재 권역은 광복 이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실 가족(순정황후(순종 두 번째 황후), 의민황태자비(이방자 여사), 덕혜옹주(고종의 딸))이 생활하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기도 하다. 후원은 1406년(태종 6) 창덕궁 북쪽에 처음 조성되었고 1463..
마도 4호선은 나주(영산포)에 거둬둔 전라도 세곡 및 특산물을 서울의 광흥창으로 옮기는 ‘조운선’이었습니다.이 조운선은 1403~1413년 이후 15세기 초 사이에 마도 해역에서 침몰했을 것입니다. ■ 조선시대 세금 운반선의 비밀 마도 1·2·3호선에 비해 조명받지 못한 마도 4호선에는 매우 중요한 코드가 숨겨져 있다.‘마도 4호선’은 마도 해역의 확장 조사 중에 확인된 ‘조선시대 조운선’이다. 선체 내부에서 분청사기 150여 점 확인됐다. 제작기법이나 문양 등으로 보아 15세기 초의 작품으로 판단됐다. 그 중에는 구체적인 연대를 알 수 있는 명문 유물이 보였다. 우선 ‘내섬(內贍)’명 사기가 3점 눈에 띄었다.1403년(태종 3) 6월 29일 설치된 ‘내섬(시)’은 궁궐의 물품을 관리하는 호조 산..
서울역사박물관 상설전시실은'조선시대의 서울'(상설전시 1존),'개항, 대한제국기의 서울'(상설전시 2존),'일제 강점기의 서울'(상설전시 3존),'대한민국 수도 서울'(상설전시 4존),'도시모형 영상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서울'(상설전시 1존)은'조선의 건국과 수도 한양','한양의 변화','한양의 번영','한양도성 안 마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조선전기 문신 김사형·이무·이회가 아시아·유럽·아프리카를 포함하여 1402년에 제작한 세계지도.현전하는 동양 최고의 세계지도이고 당시로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훌륭한 세계지도라고 평가되고 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한국 천문학 최고의 자랑거리인 문화재로, 현재까지 발견된 천문도 중 관측연대 기준 세계..
국립고궁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국립고궁박물관 상설전시실은 3개의 층, 7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층에는 조선 왕조의 상징물과 기록물 위주로 전시된 ‘조선의 국왕’실과 조선 5대 궁궐의 역사와 왕실 가족들의 생활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조선의 궁궐’, ‘왕실의 생활’실이 있습니다. 2층 상설전시실은 임시휴관 중입니다.(재개관일시 : 2024. 11. 19.(화), 오후 2시) 1층에는 황제국의 선포와 근대 국가로의 전환을 살펴볼 수 있는 ‘대한제국’실이 있으며, 전시실 로비에서는 순종 황제와 황후가 타던 자동차 [어차]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정조 사후 세도정치로 사회 혼란이 계속되는 와중에 즉위한 고종은 1875년의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1876년 개항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1..
2019년부터 진행한 광화문광장 조성 과정에서 조선시대 주요 관청의 흔적이 발굴됐습니다. 지금의 광화문광장에서 세종대로 일대까지 뻗어있었던 ‘육조거리’는 조선시대 서울의 핵심거리로 최고 행정기구인 의정부를 비롯한 6조(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가 있었습니다. 삼군부(지금의 합동참모본부)의 외행랑, 배수로, 건물지의 터가 확인됐고요, 중추부의 건물자리, 사헌부(지금의 감사원, 검찰)와 병조의 문지, 행랑, 담장, 우물, 배수로 터, 형조와 공조의 배수로 터, 그리고 민가 터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에서 드러난 조선시대 육조거리.①지점에선 삼군부의 외행랑, 배수로, 건물지의 터가 확인됐다.②지점에서는 중추부의 건물 자리가,③지점에선 사헌부와 병조의 문지·행랑·담장·우물..
2003년 12월말 문화운동가 황평우씨가 종로구 청진동에서 건설사(르메이에르건설)가 주상복합건물 사업시행을 위해 낡은 기존 건물들을 철거하고 있는 현장에서 건물 기초석인 장대석(長臺石·섬돌 층계나 축대를 쌓는 데 쓰는, 길게 다듬은 돌)을 발견하고 문화재청에 ‘문화재를 발견했다’고 신고하여, 한국건축문화연구소(명지대 부설)가 본격 발굴에 들어가게 되었다. (서울=연합뉴스) 서울 도심 종로 한복판인 '서울 종로 청진2-3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바닥을 드러낸 조선시대 시전행랑(아래쪽). 조사 결과 시전행랑 뒤 피맛길에서 청진동으로 통하는 쪽에서는 이문(里門)이라는 조선시대 문터가 드러나기도 했다. 오른쪽 사람의 왼쪽에 노출된 초석 4개가 이문의 흔적이다. 2010.6.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