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남국/조선 (27)
력사를 찾아서
2012년 2월 22일 문화재청(청장 김 찬)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훼손된 '사직단'(社稷壇:사적 제121호)의 원형복원을 위해 우선적으로 정비할 수 있는 시설물에 대해 자체적인 정비에 들어갔다고 밝혔습니다. 그 동안 서울특별시 종로구가 관리하던 사직단을 올해부터 문화재청이 이관 받아 현황 실태조사를 시행하고 원형복원을 위해 관계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올 2월 말부터 자체 직영사업단을 투입, 주원(周垣:유원 주변을 다시 둘러싸고 있는 담)권역 양식에 맞지 않는 수목과 가로등 제거, 동파된 전(塼)돌 교체, 안향청 번와 보수, 덧달아낸 후면 창고 철거 등의 정비사업을 우선 시행하게 된다. 아울러 신성시 돼 있는 유원(壝垣:사단 등 제단을 둘러싸고 있는 담)과 주원 권역 안의..
조선의 강역도 고려와 마찬가지로 공험진부터 철령이 북계였습니다. 고려, 조선 및 중국 사료들이 말하는 고려의 북방강역. 지금의 요령성 진상둔진이 옛 철령이고, 흑룡강성 영안현이 공험진이다. 이케우치 히로시가 함경남도로 끌어내린 북방 강역을 100년째 추종하는 것이 이 나라의 부끄러운 현실이다.(출처; [이덕일의 새롭게 보는 역사] 압록강 서북쪽 ‘철령’은 요동… 일제때 함경남도 안변이라 우겼다 | 서울신문 (seoul.co.kr)) 태종은 재위 4년(1404) 5월 19일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김첨(金瞻)과 왕가인(王可仁)을 명나라 수도 남경에 보내 두 나라 사이의 공식적인 국경선 획정을 다시 요구했습니다. 그래서 명 태조 주원장이 “철령 때문에 왕국(고려)에서 말이 있다”면서 철령~공험진까..
'독도는 대한민국 영토' 일본 고지도 약 200점 확인손대성2021. 2. 19. 15:29독도재단 고지도 조사 결과 발표.."영유권 문제 중요 증거 자료"대한민국 국경선 안쪽에 독도가 그려진 일로청한명세신도(1903) [독도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포항=연합뉴스) 손대성 기자 = 일본 스스로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인정하는 일본 고지도 약 200점이 확인됐다.경북도 출연기관인 독도재단은 지난해 동북아역사재단, 국토지리정보원 지도박물관, 국회도서관, 국립해양박물관, 독도박물관 등 독도 유관기관, 대학 부설 연구소가 소장한 고지도 약 1천점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약 1천점 가운데 독도가 섬 형태로 나타난 지도는 약 400점이다. 독도재단은 일부 일본이 조작한 지도를 제..
[ 간도 영유권 문제를 다시 생각한다 ]통일을 위한 숙제 간도 수복론 vs 회의론 국론 통일해야통일대박론과 간도기자명강정민 변호사·‘독도반환청구소송’ 저자 입력 2014.06.15 16:56호수 2311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75년 국회에서 ‘간도영유권관계발췌문서’라는 제목의 간도자료집이 발간되었다. ‘간도영유권관계발췌문서’는 1867년부터 1945년 사이에 작성된 일제의 기밀문서 가운데 간도영유권 관련 문서들의 번역본과 영인본을 수록한 자료집이다. 자료집 뒤에는 분량 때문에 미처 싣지 못한 기밀문서 목록이 첨부되어 있고 ‘일본 외무성 및 육해군성 문서’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이 책에는 일제강점기 간도 관련 핵심 자료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반면 민간은 정부가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
[이덕일의 새롭게 보는 역사] 淸, 국경 획정에 조선 대표 배제해 역관이 참석… 백두산에 정계비입력 2018-03-26 22:44업데이트 2018-03-27 00:09백두산정계비와 간도300여년 전인 숙종 38년(1712) 조선과 청 사이에 국경 분쟁이 발생했다. 압록강변 위원군에서 조선인과 청인 사이에 살인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청나라 건륭제(乾隆帝)는 오라총관(烏喇總管) 목극등(穆克登)을 보내 두 나라의 경계를 확정 짓게 했다. 숙종은 조상들의 산소 이장 문제로 원주에 가 있던 박권(朴權·1658~1715)을 접반사(接伴使)로 삼아 함경감사 이선부(李善溥)와 함께 국경을 획정하게 했다. 그러나 박권, 이선부 등은 목극등이 늙었다면서 따라오지 말라고 하자 주저앉았고 중인 역관 김경문(金慶門) 등만 ..
경복궁 건청궁·향원정의 내부, 도재기 기자2024. 10. 29. 14:32국가유산청, ‘조선의 빛과 그림자~’ 행사 열어 고종과 명성황후가 머물던 공간으로 ‘을미사변’의 현장이자 국내에서 최초로 전등이 켜진 경복궁 건청궁 전경. 국가유산청 제공 명성황후가 일본군에 의해 시해된 ‘을미사변’의 현장이자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전등이 켜진 경복궁 건청궁과 조선 후기 왕실의 휴식공간인 향원정의 내부를 둘러보는 특별 관람행사가 열린다.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관리소는 “11월 7일부터 29일까지 매주 목·금요일에 건청궁·향원정을 특별관람하는 ‘조선의 빛과 그림자: 건청궁과 향원정에서의 특별한 산책’ 행사를 시범 운영한다”고 29일 밝혔다.이번 특별관람 행사에서는 평소 보존·관리를 위해 관람이 제한됐던 건청..
동학농민혁명 단체 “명칭·정신, 헌법 전문 수록해야”김창효 기자2023. 10. 29. 11:17 정읍시·전국 39개 동학농민혁명단체, 국회서 성명 발표전북 정읍시와 전국 동학농민혁명 39개 단체 관계자들이 26일 국회에서 동학농민혁명 정신 헌법전문 포함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정읍시 제공 전북 정읍시와 전국 39개 동학농민혁명 단체가 동학농민혁명 정신의 헌법전문 수록을 한목소리로 요구했다.지난 26일 국회에 모인 이들은 “동학농민혁명은 3·1운동의 뿌리이자 민주화운동에도 영향을 미쳐 대한민국의 진정한 출발로 삼아야 한다”면서 “정부와 국회는 동학농민혁명 명칭·정신 헌법전문 명시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라”고 성명을 발표했다. 29일 동학농민혁명 단체에 따르면 공동성명을 낭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박석무의 실학산책] 성호 이익의 간쟁론2022. 11. 3. 00:39박석무 다산학자, 우석대 석좌교수 고전을 읽으면 현재도 보이고 미래도 예측할 수가 있다. 현재나 미래와 무관한 옛날의 책을 모두 고전이라고 할 수 없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세상일이 제대로 보이지 않고, 풀리지 않는 일로 나라와 백성에 대한 근심을 떨칠 수 없을 때에는, 고전을 읽어서 옛날·현재·미래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찾아내는 경우가 있다.그래서 요즘 나는 고전을 자주 들여다보고 있다. 까맣게 잊어버린 내용들을 다시 기억해내면서 다시 읽는 고전의 재미는 쏠쏠하다. 특히 조선 후기 실학자들인 반계·성호·연암·다산 등의 대학자들의 저술은 대부분 고전인데, 그런 책을 읽으면서 오늘의 난제들을 풀어보는 지혜를 얻고 싶은 심정에서 출..
정조가 단군과 천부경을 찾은 까닭은기자명차태헌 기자 입력 2018.06.03 23:53수정 2018.06.22 03:38 李조선 성리학 지배질서, 우리고유선맥 숨통 조이다. 이조선, 중화질서에 자진예속함에 따라 하늘제사 금지하다중국 기자 숭배 속에서 병자호란 이후 단군 부활하다팔관회, 불교 절간의 산신각, 삼성각, 칠성각 등은 선맥仙脈의 잔영이다무교巫敎에서도 선맥이어지다사도세자 아들 정조, 생존위해 성리학 중화질서 지지하다한편으로 단군과 천부경 찾다 ▲李조선22대 왕 정조(正祖 서기1752-1800). 기울어가는 이조선 22대 왕에 올라 개혁을 시도했다. 그러나 기득권 신권에 제압당해 실패하고 말았다. 그러나 그는 학문과 기예면에서 역대 어느 왕보다 탁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구나 잊혀져가는 선도에..
노론-식민사관 사대주의와 인맥 연결됐다[이덕일 주류 역사학계를 쏘다] ⑨ 노론사관에 일그러진 조선후기사수정 2009-07-08 15:04 등록 2009-07-08 15:04탑골(파고다)공원 전경. 조선 후기 이 일대에는 백탑파라 불렸던 박지원 한국 주류 사학계의 고대사 인식이 일본 식민사관에 깊게 경도되어 있다면 조선 후기사 인식은 노론사관에 깊게 경도되어 있다. 몸은 21세기에 살지만 역사관은 일제와 조선 후기 노론에 두고 있다는 뜻이다. 노론사관과 식민사관은 자기정체성 부인과 사대주의 극대화라는 점에서 인식이 같을 뿐만 아니라 인맥으로도 서로 연결된다. 노론의 뿌리는 인조반정을 주도한 서인이다.일제 가담 노론 출신 일부 학자들조선사편수회 거쳐 사학계 주류로‘상공업 중심 개혁론=노론’ 왜곡 등조작된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