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let agriculture dispersed from Northeast China to the Russian Far East: Integrating archaeology, genetics, and linguistics

Millet agriculture dispersed from Northeast China to the Russian Far East: Integrating archaeology, genetics, and linguistics - ScienceDirect

1. Baiyinchanghan 白音长汗 31. Lijiagang 李家岗 61. Amsa-dong
2. Nanwanzi 南湾子 32. Jiushanmen 九扇门 62. Unseo-dong
3. Xinglonggou 兴隆沟 33. Maodu Xila 毛肚西拉 63. Anmyundo
4. Erdaojingzi 二道井子 34. Jubaoshan 聚宝山 64. Boryeong
5. Weijiawopu 魏家窝铺 35. Yaojingzi 腰井子 65. Oun 1
6. Sanguandianzi 三官甸子 36. Zuojiashan 左家山 66. Gulpo-ri
7. Niuheliang 牛河梁 37. Yuanbaogou 元宝沟 67. Songgun-gil
8. Dongshanzui 东山嘴 38. Yabuli 亚布力 68. Pyeonggeodong
9. Reshuitang 热水汤 39. Wokenhada 倭肯哈达 69. Sanchon-ri
10. Xinglongwa 兴隆洼/Zhaobaogou 赵宝沟 40. Daobeishan 刀背山 70. Tongsamdong
11. Xiaohexi 小河西 41. Xiaonanshan 小南山 71. Ulsan Sejuk-ni
12. Banlashan 半拉山 42. Lidovka 1 72. Ojin-ri
13. Dawopu 大窝铺 43. Chertovy Vorota 73. Songjuk-gil
14. Hutougou 胡头沟 44. Xinkailiu 新开流 74. Tongchon-dong
15. Sanjiazi 三家子 45. Valentin-peresheek 75. Munam-ri
16. Xiaonailingao 小奈林稿 46. Risovoe 4 76. Yongdae-ri
17. Chahai 查海 47. Sheklyaevo 7 77. Asan-si
18. Xinle 新乐 48. Rettikhovka-Geologicheskaya 78. Osan-si
19. Wangbaoshan 王宝山 49. Mustang 1 and Bogolubovka 1 79. Binong-san
20. Wangjiacun/Guojiacun 王家村/郭家村 50. Novoselishche 4 80. Anganggol
21. Xiaozhushan 小珠山 51. Kirovsky 81. Neunggok-dong/Namkyung-ni
22. Beiwutun 北吴屯 52. Krounovka 1 82. Amsa-dong
23. Houwa 后洼 53. Boisman 2 83. Hanam-si
24. Dazhuxian 大朱仙 54. Gvozdevo 4 84. Vodopadnoe-7
25. Haminmangha 哈民忙哈 55. Zaisanovka 1, 2, and 7  
26. Zhangjiantuozi 张俭坨子 56. Sop’ohang  
27. Aobaoshan 敖包山 57. Pomuigusok  
28. Houtaomuga 后桃木噶 58. Yinggeling 莺歌岭  
29. Dongwenggenshan 东翁艮山 59. Kosan-ri  
30. Tengjiagang 滕家岗 60. Chitam-ni

 

 

 

 

Sedentism, Settlements, and Radiocarbon Dates of Neolithic Korea

  • March 2015
  • Asian Perspectives 54(1):113-143
Authors:

(PDF) Sedentism, Settlements, and Radiocarbon Dates of Neolithic Korea (researchgate.net)

 

Abstract and Figures

abstract: There are two conflicting models regarding the role of the Neolithic millet cultivation in the appearance of the Bronze Age farming economy in South Korea. The “continuity model” suggests that the emergence of a farming economy was a consequence of increasing sedentism, and that millet cultivation practiced during the Neolithic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ransition to the Bronze Age. On the contrary, the “discontinuity model” suggests that the appearance of the Bronze Age farming economy heavily dependent on rice had little to do with previous millet cultivation in the Neolithic and the degree of sedentism during the latest Neolithic was very low. We test these models by looking into a temporal variation of sedentism,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quantity of pit houses and settlements based on relative chronology and radiocarbon dates. Sedentary settlements with small-scale millet cultivation appeared in the central-western Korea during the early fourth millennium b.c . They increased sharply during the late fourth millennium b.c . and also appeared in central-eastern and southern Korea, but they almost disappeared in central and southern Korea from the late third millennium b.c ., suggesting a return to increased mobility and/or sharp decrease in population. Hence a continuity model for the emergence of a farming economy cannot be accepted. We suggest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s a prime mover for both the appearance of millet cultivation during the fourth millennium b.c . and the disappearance of sedentary settlement from the late third millennium b.c . in Korea.
 

 

JOURNAL ARTICLE

The Transition from Foraging to Farming in Prehistoric Korea

Current Anthropology, Vol. 52, No. S4, The Origins of Agriculture: New Data, New Ideas (October 2011), pp. S307-S329 (23 pages)
 

Abstract

As a secondary setting of agricultural origins, prehistoric Korea may offer insights into the social interactions involved in crop acquisition and the human modification of local landscapes to accommodate a new agrarian way of life. Recent data may point to Korea as one of several areas where the local domestication of two crops, azuki and soybean, may have taken place. This paper explores various economic adaptations and transitions to resource production in several ecological and social settings, including the central west and southeast coasts, islands on the west coast, and the floodplains in central and southeastern Korea during the Chulmun period (7500–3400 BP). The paper reviews two popular explanations of the transition to food production, environmental impulse and migr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archaeology and beyond.

 

Introduction

Prehistoric Korea1 is situated in a context of agricultural transition in which introduced crops became important in subsistence and indigenous plants may have undergone domestication. The origins of agriculture in primary regions have received more scholarly attention than that in secondary regions, where domesticated species spread later, but it was the “spread of farming” that had the major impact on human society (Price 2000b:316). For example, case studies in Europe have produced in-depth understanding of how the spread of agriculture shaped tremendous changes in social organizations, technologies, and ideologies (e.g., Ammerman and Biagi 2003; Hodder 1990; Price 2000a; Rowley-Conwy 2004). This supplement to Current Anthropology is also dedicated to illuminating the agricultural dispersal worldwide, including the Pacific region (Bellwood 2011), Japan (Crawford 2011), Atlantic Europe (Rowley-Conwy 2011), and the Aegean and Balkans (Özdoğan 2011). These papers not only cover the new regional data but also provide insights into the issues of population changes, social interactions, and ecological views on the transition. As a part of these effort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mechanisms of agricultural spreads and the social consequences with a regional example.

The initial appearance of domesticated crops in Korea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interactions with Neolithic entities in northeastern China and the maritime region of the Russian Far East. Two types of millet—foxtail (Setaria italica ssp. italica) and broomcorn (Panicum miliaceum)—were the first crops to appear in Korea. Shortly after their initial domestication in the Huanghe Basin (Crawford 2009; Lu et al. 2009), millets seem to have spread to the northeast, as suggested by the findings at the Xinglonggou (8000–7500 BP) and Xinle sites in Liaoning Province (Cohen 2011; Zhao 2011). Millets had dispersed farther east to the Zaisanovka Neolithic culture in the Primorie Province of maritime Russia by 6000 BP (Kang 2009). Some materials at Zaisanovka also indicate interactions with the Xinle culture and the Chulmun2 culture in northeastern Korea. Crops were probably one of the shared items in this interaction sphere.

Considering its proximity to early farming communities in northeastern China and Primorie, northeastern Korea may have begun millet farming earlier than current data from southern Korea suggest.3 In southern Korea, the earliest appearance of domesticated foxtail and broomcorn millet is dated to the Middle Chulmun period, around 5500 cal BP (table 1).

 

 

신석기시대 식물자원 활용 연구 성과와 과제(이경아)

고고학지 제21집 | 간행물 검색:국립중앙박물관 (museum.go.kr)

 

고고학지 제21집 | 간행물 검색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최근 실시된 신석기 토기 압흔 조사는 조나 기장이 중국 동북지역 및 산동성에서 재 배되기 시작한 후 얼마 지나지 않거나 거의 동시기에 한반도에 유입되었음을 시사한다. 가장 이른 조나 기장의 압흔은 신석기 조기 범방 패총과 동삼동 패총에서 보고되었다 (小畑弘己․眞邊彩. 2014). 범방 패총에서는 무문양토기편에서 조와 기장의 압흔이 모 두 확인되었고 동삼동 패총에서는 융기선문 토기편에서 기장만 확인되었다(표 1). 동삼 동 패총 조기층에서 출토된 목탄이나 동물뼈로 측정된 탄소연대 중 비교적 늦은 시료 (5,040–4,900 cal BP, SNU01161)를 제외하면 일련의 탄소연대는 7,820–7,690 cal BP 에서 6,790–6,690 cal BP에 이른다.

 

 

 

고양 가와지볍씨 1 조사와 연구 | 경기도메모리 디지털 아카이브 (library.kr)

 

고양 가와지볍씨 1 조사와 연구 | 경기도메모리 디지털 아카이브

본 서는 일산 2지역(가와지) 고고학과 자연과학 조사, 고양 기와지유적의 선사문화, 일산 신도시 문화유적 발굴조사와 가와지볍씨 발굴의 의미, 고양 가와지유적의 고고지질환경, 고양 가와지볍

memory.library.kr

 

 

 

 

Vavilov center - Wikipedia

Vavilov's 1924 scheme suggested that plants were domesticated in China, Hindustan, Central Asia, Asia Minor, Mediterranean, Abyssinia, Central and South America
Approximate centers of origin of agriculture in the  Neolithic revolution  and its spread in prehistory as understood in 2003: the Fertile Crescent (11,000 BP), the Yangtze and Yellow River basins (9,000 BP) and the New Guinea Highlands (9,000–6,000 BP), Central Mexico (5,000–4,000 BP), Northern South America (5,000–4,000 BP), sub-Saharan Africa (5,000–4,000 BP, exact location unknown), eastern North America (4,000–3,000 BP). [2]

 

 

Early millet use in northern China | PNAS

 

Location of study region and archaeological sites. The Nanzhuangtou and Donghulin sites are indicated by the red rectangle and triangle, respectively (Right). The red star is the locality of Beijing, and the red dots are the localities of other sites mentioned in the text. The light-to-dark green shading indicates low-to-high elevation.

 

 

Archaeological Soybean (Glycine max) in East Asia: Does Size Matter? - PMC (nih.gov)

 

 

 

Rice, Ethnicity, and the Collation of Archaeobotanical Data for Prehistoric Korea | Archaeologies (springer.com)

 

Archaeological and genetic insights into the origins of domesticated rice | PNAS

 

The Transition from Foraging to Farming in Prehistoric Korea on JSTOR

 

The emergence of rice agriculture in Korea: archaeobotanical perspectives |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ciences (springer.com)

 

 

Agriculture Driving Male Expansion in Neolithic Time (sciengine.com)

 

Agriculture Driving Male Expansion in Neolithic Time

The emergence of agriculture is suggested to have driven extensive human population growth. However, genetic evidence from maternal mitochondrial genomes suggests major population expansions began before the emergence of agriculture. Therefore, the role of

www.sciengine.com

 

 

위치와 환경 < 소로리 유적 < 소로리볍씨관 - 소로리볍씨 (cheongju.go.kr)

 

위치와 환경 < 소로리 유적 < 소로리볍씨관 - 소로리볍씨

소로리유적의 토탄층에서 출토된 나무는 소나무과(Pinaceae) 가문비나무속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로 식별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소로리 토탄층의 형성 시기는 홀로세 이전의 층위로 마지막

www.cheongju.go.kr

 

[논문]청원 소로리 구석기유적지 출토 탄화벼 (kisti.re.kr)

 

[논문]청원 소로리 구석기유적지 출토 탄화벼

1. 충북대학교 박물관팀이 충북 청원군 옥산면 소로리에서 구석기시대 유적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13,010BP로 추정되는 상위토탄층에서 고대형 탄화벼가 출토되었고 36,350BP 이전으로 추정되는

scienceon.kisti.re.kr

 

[논문]고대 한반도에서 재배된 벼의 전래 경로에 대한 고찰 (kisti.re.kr)

 

[논문]고대 한반도에서 재배된 벼의 전래 경로에 대한 고찰

최근 활발한 발굴에 따른 곡물의 출토가 많아짐에 따라, 벼의 한반도(韓半島) 전래(傳來) 경로(經路)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한반도(韓半島) 최고(最古) 벼인 청원 소로리(小

scienceon.kisti.re.kr

 

 

Last Updated: Tuesday, 21 October, 2003, 10:14 GMT 11:14 UK 

BBC NEWS | Science/Nature | World's 'oldest' rice found

 

BBC NEWS | Science/Nature | World's 'oldest' rice found

By Dr David Whitehouse BBC News Online science editor Rice was on the menu for ancient man Scientists have found the oldest known domesticated rice. The handful of 15,000-year-old burnt grains was discovered by archaeologists in Korea. Their age challenges

news.bbc.co.uk

World's 'oldest' rice found

By Dr David Whitehouse
BBC News Online science editor

Rice was on the menu for ancient man

 

Scientists have found the oldest known domesticated rice. The handful of 15,000-year-old burnt grains was discovered by archaeologists in Korea.

Their age challenges the accepted view that rice cultivation originated in China about 12,000 years ago.

The rice is genetically different from the modern food crop, which will allow researchers to trace its evolution.

Today's rice is the primary food for over half the world's population, with 576,280,000 tonnes produced in 2002.

Rice is especially important in Asia, where it is responsible for almost a third of all calorific intake.

Tracer of evolution

The oldest known rice was discovered by Lee Yung-jo and Woo Jong-yoon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rice DNA will aid evolution study

 

They found the ancient grains during excavations in the village of Sorori in the Chungbuk Province.

Radioactive dating of the 59 grains of carbonised rice has pushed back the date for the earliest known cultivation of the plant.

DNA analysis shows the early rice sample to be different from the modern intensively farmed varieties, thereby offering scientists the opportunity to study the evolution of one of the world's principal food sources.

The region in central Korea where the grains were fou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ites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Stone Age man in Asia.

 

[충북]“세계 最古 소로리 볍씨 아시나요?”|동아일보 (donga.com)

 

[충북]“세계 最古 소로리 볍씨 아시나요?”

세계 최고(最古)로 추정되는 ‘소로리 볍씨’를 재배한 고장이 청주임을 알리기 위한 모임 ‘청주 소로리 볍씨 기념사업 추진위원회’(소기추)가 출범했다. 소기추 공동대표에는 강상…

www.donga.com

청주서 기념사업 추진위 발족
“美서 1만7000년 전 볍씨로 확인… 구석기학회서 새 학명 제안할 것”

 

 

경향신문 선임 기자입력 2019. 12. 3. 06:03

청주 소로리 2토탄층에서 확인된 볍씨. 연대는 대략 1만2000~1만5000년전으로 측정됐다.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

‘조충소기(彫忠小技)’ ‘우인절적 국제대완소(愚人節的 國際大玩笑).’ 한 중국 고고학자(류지이·劉志一)가 2003년 충북 청원군 소로리에서 대략 1만5000년전으로 연대측정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가 발견됐다는 소식에 내뱉은 촌평이다.

 

■조충소기, 국제적대완소?

‘조충소기’는 ‘벌레를 새기는 보잘 것 없는 솜씨’라는 뜻으로 남의 글귀를 토막토막 따다가 맞추는 서투른 재간을 일컫고, ‘우인절적 국제대완소’는 ‘만우절(우인절)의 국제적인 웃음거리’라는 뜻이다. ‘벼농사의 시원=양쯔강(양자강) 유역’설을 믿어온 중국학계가 ‘벼농사의 기원=청주 소로리’라는 소식이 들리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도 있었겠다. 하지만 아무리 중국학자라 해도 명색이 고고학자라는 이가 자국의 학술지 논문에서 ‘한국 학자들이 국제적으로 장난쳤다’는 등의 원색비판을 서슴치않은 것은 과연 올바른 태도였을까.

소로리에서 확인된 볍씨. 2매의 토탄층(부패와 분해가 완전히 되지 않은 식물의 유해가 진흙과 함께 늪이나 못의 물 밑에 퇴적한 지층)에서 127톨의 볍씨와 곤충화석, 그리고 각종 식물자료를 찾아냈다.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

 

■‘비닐이 나왔다는 거야’ 뒷담화의 후유증

비단 중국학계만이 아니다. 1997년 11월 우연치않게도 IMF(국제통화기금) 구제금융 위기와 함께 시작된 충북 청원 소로리 오창과학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사전 발굴은 시작부터 파란만장했다. 100일에 맞춰진 발굴기간에 쫓기던 조사단 중 충북대 발굴지역에서 심상치않은 유물이 나왔다. 그곳에서 확인된 2매의 토탄층(부패와 분해가 완전히 되지 않은 식물의 유해가 진흙과 함께 늪이나 못의 물 밑에 퇴적한 지층)에서 127톨의 볍씨와 곤충화석, 그리고 각종 식물자료를 찾아냈다. 그런데 볍씨 등이 집중 출토된 확인된 토탄층의 연대측정결과가 놀라웠다.

 

미국의 연대 측정기관인 지오크론과 서울대 가속기질량분석시스템(AMS)연구실에 같은 시료를 교차검증을 의뢰했더니 자그만치 1만2890년전~1만4090년전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국내 주류 학계의 반응은 차가웠다. 뭐 ‘벼농사의 기원=중국’설을 믿어온 국내 학계에서도 어느날 갑자기, 그것도 1만5000년전 이전의 볍씨가 한반도 청주에서 나타났다는 소식에 당황했을 법도 했다.

하지만 발굴 자체에 대한 회의감은 도에 지나쳤다. 문화재를 처음 담당한 필자의 귀에 들렸던 수근거림도 기가 막혔다. ‘들었어? 소로리 유적의 토탄층에서 비닐이 나왔다는 거야.’

인간이 수확했다는 증거로 제시된 소지경의 흔적. 벼가 익어 저절로 떨어지면 잘린 단면은 원형이 매끌매끌 하지만 인위적으로 자른 단면은 울퉁불퉁하고 거칠다.(왼쪽 사진) 같은 층에서 확인된 홈날연모. 아마도 1만5000여년전 구석기인들은 이 연장으로 벼를 수확했을 가능성이 있다.|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

 

무슨 말인가. 고고학 발굴조사는 안정적인 층위에서 이뤄져야 가치를 갖게 된다. 그런데 1만5000년전 볍씨가 출토됐다는 토탄층에서 비닐이 나왔다면 층위가 뒤집어졌다는 뜻이고, 현대의 볍씨가 비닐과 함께 토탄층에 혼입되었다는 얘기나 다름없었다. 이런 수근거림은 소로리 유적을 근본부터 불신하는 결과를 낳았다. 역사시대 유적이든 선사시대 유적이든 ‘비닐이 섞여나왔다’는 이야기를 나온다면 그런 유적을 발굴한 고고학자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다는 말인가. 그렇다면 어떻게 ‘비닐’ 이야기가 나왔을까.

소로리 볍씨의 성격을 두고 몇가지 의문점을 던진 논문(‘청원 소로리 토탄층 출토 볍씨 제고’, )을 쓴 안승모 전 원광대 교수도 ‘비닐설의 유포’를 완곡하게 비판했다. “발굴 당시 볍씨가 출토된 구역에서는 3.3m 깊이로 토목공사를 위해 주변 저지대를 매립한 인위적인 성토층이 있었다”는 것이다. 안승모 씨는 “아마도 ‘비닐’ 운운한 이는 이 성토층에서 나온 비닐을 토탄층에서 출토된 것으로 착각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좋게 말해 착각이지, 나쁘게 말한다면 악의적인 공격이라 할 수 있다. 어쨌든 이런 공격이 통한 탓인지 1998년 문화재위원회는 볍씨가 출토된 ‘토탄층의 보존안’을 일축했다. 요즘으로 치면 근거없는 악플(비닐 운운)로 죄없는 사람(유적)이 죽는 꼴이 된 것이다. 안승모씨는 “그때 제대로 보존해서 조사했더라면 훨씬 많은 정보를 얻었을 것”이라고 아쉬워했다. 이런 판국이니 필자 같은 비전문가는 ‘비닐’ 이야기 때문에 소로리 유적을 백안시할 수밖에 없었다.

소로리에서 확인된 1만2000~1만5000년전의 벼. 국내외 4개기관의 연대측정 결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한다.|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

 

■토탄에 박힌 볍씨의 연대

하지만 소로리 유적의 토탄층 연대측정 결과는 층위상 안정적이다. 가장 오래된 시기층인 밑부분 토탄층은 1만6890년전이고 그 위부터 1만6340년전~1만4090년전~1만3750년전~1만2890년전~9510년전~8800년전 등의 순서이다. 볍씨가 가장 많이 나온 2토탄층의 연대는 1만2500년전~1만4820년전이었다. 맨밑부터 위까지 시기가 차근차근 올라간다는 것은 지층이 뒤집어지지 않았다는 의미한다. 즉 현대에 제작된 비닐이 1만5000년전의 토탄층에 들어갈 수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현대의 볍씨’가 1만5000년전에 쌓인 토탄층에 혼입될 수 없다.

 

학계 일각에서는 그래도 확실한 것이 좋으니 토탄층에 박힌채 출토된 ‘고대볍씨’ 그 자체의 연대측정이 필요하다고 권유했다. 이에따라 조사단을 이끈 당시 이융조 충북대 교수(현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이사장)는 ‘토탄에 박힌 볍씨’를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 AMS연구실에 보냈다. 그 결과 1만2550년전(토탄)과 1만2520년전(볍씨)이라는 연대가 나왔다. 이것은 서울대 AMS 연구실 측정결과(토탄 1만2900년전, 유사벼 1만2500년전)와 완전히 일치했다. 이융조 교수는 “미국의 지오크론 연구소와 애리조나대와 서울대 AMS 연구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국내외4개 연구기관에서 흙과 볍씨, 토탄 등을 시료로 해서 교차검증해보니 동일한 결과를 얻어냈다”고 밝혔다. 이는 토탄 퇴적 층위가 매우 안정적이며, 볍씨들이 바로 그 원위치에서 출토되었음을 일러주는 것이다.

소로리에서 홈날연모로 볍씨를 따는 사람을 복원한 그림이다.|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

 

■1만5000년전 자포니카

그렇다면 토탄층에서 발견된 볍씨는 요즘의 볍씨와는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른가.

서울대 허문회 교수(2010년 작고)는 소로리 출토 볍씨(127톨)을 분석한 결과 기원벼(18톨)와 유사벼(109톨)로 나누었고, 기원벼를 다시 자포니카형(17톨)와 인디카형(1톨)로 구분했다. 허교수는 “소로리 볍씨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로 알려졌던) 고양 가와지 볍씨(5200년전)와 크기 및 모양이 비슷하며 현재 재배종에 비해 벼알의 어깨쪽이 약간 좁고 가운데에서 끝쪽으로 약간 굵게 보인다”는 관찰기록을 남겼다. 이미 이 시대에도 이른바 자포니카형, 즉 단립형 벼를 선호했다는 사실이 이채롭다. 이융조 교수는 “사람들의 입맛이 작은벼(자포니카형)로 발전해가는 과정은 이미 가와지 1형(5000년전)과 2형(3000년전) 볍씨에서도 보인다”면서 “소로리 볍씨 단계에서 이미 작은벼(자포니카형)에 대한 기호현상이 있었다는 것은 한국벼의 진화과정과 연결되는 중요한 자료”라고 해석했다. 이융조 교수는 “또 볍씨의 DNA 구조를 분석해봤더니 소로리벼는 야생벼에서 잡초벼, 인디카, 자포니카 등이 분화되는 원시형 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물론 소로리 볍씨는 현대벼와는 완전히 다른 그룹이다.

1만5000년전에도 이른바 자포니카형인 단립형 벼와 인디카형인 장립형 벼가 존재했다.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

 

■1만5000년전 구석기인의 벼수확 흔적

또 하나 중요한 포인트는 이른바 ‘소지경(小枝莖·줄기에 붙어있는 부분)’의 관찰기록이다.

곡물의 순화, 즉 야생→재배벼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형태변화는 야생형에서는 벼알이 완전히 익으면 저절로 떨어지지만 재배벼에서는 그대로 달려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자연스레 떨어진 부분 즉 탈립면에는 원형의 매끄러운 흔적이 남는다. 반면 순화형 벼의 경우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달려있다가 인간의 수확행위로 잘리게 된다, 그 경우 잘린 단면은 매우 거칠게 나타난다.

그런데 당시 박태식 박사(농총진흥청 작물시험장)이 소로리 볍씨 가운데 소지경 분석이 가능한 볍씨 13톨을 분석했더니 그중 4톨에서 아주 유의미한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즉 소지경이 매우 울퉁불퉁 거친 상태로 잘렸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이 어떤 도구로 수확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마침 볍씨가 출토된 문화층에서는 사용흔적이 관찰되는 홈날연모가 나왔다. 이융조 교수는 “소로리 사람들이 이 홈날연모를 써서 다 익은 벼를 수확한 뒤 먹을거리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볍씨가 토탄층에 떨어졌다는 것이다. 이교수는 “그렇다면 소로리 볍씨는 1만2000~1만5000년전 인간의 먹이얻기로 남겨진 유체로 인류가 남긴 위대한 문화유산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볍씨가 출토된 시대의 기후는 어땠을까. 볍씨가 많이 출토된 2토탄층의 화분 분석 자료는 ‘상대적으로 온난 습윤한 저습지에 형성된 토탄층’이라는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나무분석 자료를 봐도 오리나무-밤나무 류의 낙엽활엽수가 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세계적으로 온난한 기후였던 알레뢰드/뵈링 간빙기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볍씨들이 집중출토된 소로리 토탄층. 토탄층은 부패와 분해가 완전히 되지 않은 식물의 유해가 진흙과 함께 늪이나 못의 물 밑에 퇴적한 지층이기 때문에 유물이 잘 남아있다.|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

 

■국뽕사관의 산물인가?

이 ‘소로리 볍씨’는 국내 주류 학계의 냉대와 외면 속에 발굴·연구자인 이융조 충북대 교수 등의 동분서주로 국제학계에 알려졌다. 2003년 BBC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벼가 발견됐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과학자들이 소로리에서 가장 오래된 순화벼(domesticated rice)를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소로리’ 관련 기사는 이후 르몽드 등에서도 소개되었다. 이융조 교수에 따르면 고고학 개론서인 <Archaeology> 제4판(2006년)에 ‘중요한 식량과 짐승종들이 처음으로 순화된 위치’가 담긴 세계지도를 첨부하면서 ‘한반도 청주 부근에 쌀그림’을 표시해두었다. 그 책에는 ‘최초로 순화된 동식물과 전세계 문화발전 편년표’를 작성하면서 ‘벼=한국 1만3000년전’이라 했다.

과문한 필자는 ‘청주 소로리 볍씨=세계 최고(最古)의 재배벼’라는 주장이 100% 옳은지 판단할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 실제로 ‘소로리 볍씨’의 연구·발표 단계에서 ‘검증이 완료되지 않는 가설단계의 내용을 전세계에 홍보하는 국수주의’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시쳇말로 ‘국뽕 사관’이라는 것이었다.

예컨대 ‘소지경’과 관련해서도 탈립면(잘린 부분)이 울퉁불퉁하다고 해서 ‘인간의 수확행위’로 규정하는 것 자체가 무리하는 주장도 있다. 인간이 아닌 다른 짐승이 볍씨를 따먹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또한 ‘벼농사의 기원국’이라는 타이틀을 얻으려면 고고학적으로 연속적인 성과물이 축적되어야 하는데 소로리의 경우 그렇지 않다는 약점도 있다. 즉 중국의 경우 소로리와 비슷한 연대의 벼 유적인 중국 후난성(湖南省) 유찬얀(玉蟾岩) 동굴을 비롯해 허무두(河姆渡) 유적(7000년전)까지 벼농사 역사의 흔적이 계속 나온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1만5000년전(소로리)와 5000년전(고양 가와지) 사이에 무려 1만년의 공백기가 있다. 소로리 단 하나의 에피소드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으며, 이것은 벼농사의 기원·발전을 언급할 때 하나의 약점일 수 있다.

1만5000년전 무렵이면 지금의 한반도와 중국 대륙은 육지로 붙어 있었다. 따라서 소로리 벼가 지금의 한반도가 아니라 중국 양쯔강 유역 등지에서 동물(철새)이나 사람(수렵민)에 의해 운반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관련, 이융조 교수는 벼농사의 기원과 관련해서 “중국학자 옌원밍(嚴文明)의 ‘벼농사 다중기원설’을 주목한다”고 밝힌다. 벼농사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이곳저곳에서 시작되었으며 소로리도 그런 지역 중 한 곳이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소로리 만이 벼농사의 기원지로 주장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융조 교수는 “소로리 볍씨는 재배단계 초기 농경 단계 사이의 순화가 진행되던 순화벼(domesticated rice)라고 해석되며 순화초기단계로 볼 수도 있다”고 밝힌다.

오창산업단지 부지로 조성되기 전의 소로리. 이곳에서 1만5000년전 벼가 확인됐다.|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

 

■소로리 볍씨의 과제

‘소로리 볍씨’를 정리해보면서 한가지 드는 생각이 있다. 일단 소로리 토탄층과 볍씨의 연대가 1만2500년전~1만5000년전으로 측정된다는 것이 눈에 띈다. 국내외 4개 기관(서울대·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오크론 연구소·애리조나주립대) 등에서 얻은 연대측정 기록이라 한다.

토탄층 연대가 미심쩍다 해서 토탄층에 박힌 볍씨 연대를 직접 측정했고, 그 결과가 같다면 믿어야 하지 않을까. 무엇보다 이 연대측정을 교차검증한 결과 각 층위별로 안정적인 퇴적층을 이루고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소로리 볍씨는 벼농사 기원논쟁의 차원을 떠나서도 그 자체, 즉 ‘1만5000년전의 볍씨’라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도 ‘소로리 볍씨’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백안시하는 분위기가 남아있는 듯 하다. 그러나 정작 학술논문으로 문제를 제기한 이는 사실상 단 한 연구자(안승모 전 원광대 교수)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그저 뒷담화 수준이다. ‘소로리 볍씨’가 그렇게 미심쩍다면 안교수처럼 논문으로 제기해야 학문 하는 이의 기본자세일 것이다.

소로리 토탄층의 연대측정결과. 땅 표면에서부터 깊이 들어갈수록 연대가 올라간다. 층위가 안정되어있다는 이야기다. 볍씨가 집중 출토된 곳은 2토탄층인 6층이다.|한국선사문화연구원 제공

‘소로리 볍씨=1만5000년 전의 볍씨’가 맞다해도 과제는 남아있다. 인근 지역은 물론이고 다른 곳에서 소로리 단계의 볍씨를 찾아내는 것이다. 1998년 ‘소로리 토탄층의 보존’을 일축해버린 문화재위원회의 처사가 두고두고 한심할 따름이다. 지금 청주시 소유지가 된 보존지역이 약간 남아있지만 다른 공장들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어서 제대로 된 토탄층 발굴은 쉽지 않다. 적어도 10~15m 이상의 깊이에 200㎡(10×20m) 면적을 발굴하기는 턱없이 좁다. 이융조 교수는 “폐교된 인근 소로분교를 박물관으로 조성하고 소로리 주변 지역의 농지에 대한 학술발굴을 벌여야 할 것”이라고 희망했다.

또 안승모 교수는 “소로리와 비슷한 중부지역 토탄층에서 학술발굴이 계속 이어져서 추가적인 자료를 확보했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나타냈다. 아닌게 아니라 달랑 소로리 한 곳의 자료 뿐이니 이러쿵저러쿵하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소로리와 비슷한 환경의 다른 지역 토탄층들을 발굴해서 관련자료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가만 보면 남의 발굴 성과를 두고 뒷담화만 할 게 아니라 볍씨와 벼농사 관련 자료를 발굴하고 확보하는 것이 학자들의 자세가 아닐까. 이 대목에서 일단 이렇게 정리해두고 싶다. 어느날 갑자기 밑도 끝도 없이 1만5000년전 볍씨가 나타났다고 해서 백안시할 게 아니다. 다른 소로리 단계의 볍씨를 아직까지 찾아내지 못했을 뿐이 아닐까. 그렇다면 소로리 단계의 토탄층 발굴을 해보고 나서야 이러쿵저러쿵 결론을 내릴 수 있지 않을까.

 

 

'청주 소로리볍씨'의 오늘과 내일 < 학술·문화재 < 문화 < 기사본문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jbnews.com)

 

'청주 소로리볍씨'의 오늘과 내일

[중부매일 이지효 기자] 중부매일과 학술협약을 맺은 중원포럼(이사장 박선주)이 지난 27일 청주 우민아트센터 세미나실에서 제 138회 학술 발표회를 개최했......

www.jbnews.com

세계적인 고고학 개론서에 청주 소로리 볍씨가 기존 중국것보다 앞선다는 것이 명시돼 있다. 출처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http://www.jbnews.com)

 

세계적인 고고학 개론서에 청주 소로리 볍씨가 기존 중국것보다 앞선다는 것이 명시돼 있다. (확대본) 출처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http://www.jbnews.com)

 

한국볍씨가 기원 명시된 책 출처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http://www.jbnews.com)

 

 

중앙일보입력 2017.05.24 00:01업데이트 2017.05.24 11:46

[굿모닝 내셔널]인류 최초 쌀 기원지 기념 조형물이 청주에 들어선 사연은? | 중앙일보 (joongang.co.kr)

 

[굿모닝 내셔널]인류 최초 쌀 기원지 기념 조형물이 청주에 들어선 사연은? | 중앙일보

그는 “소로리에서 발견한 볍씨와 토탄을 미국의 연구소와 서울대에 보내 방사선 탄소 연대 측정을 했더니 이들 볍씨가 1만2000~1만2500년, 토탄은 1만2000~1만3920년 전 것으로 확인됐다”며 “탄소

www.joongang.co.kr

1998년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에서 발견된 '청주 소로리 볍씨' [사진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와~. 드디어 볍씨를 찾았다.”
1998년 1월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 A지구(토탄 2구역) 구석기 유적 발굴현장. 97년 11월부터 석달째 밤낮으로 볍씨를 찾던 충북대 조사단 일행에 낭보가 전해졌다. 2.5m 깊이 구덩이 아래 토탄층(土炭層·유기물 점토)에서 형태가 온전한 볍씨가 발견된 것이다. 한겨울 유적지 옆 비닐하우스에서 충북대 학생과 이곳 주민이 일일이 손으로 흙덩어리를 쪼개 볍씨를 찾던 중 벌어진 일이다.

1998년 2월 소로리 구석기 유적에서 파낸 흙 덩어리에서 충북대 조사단이 볍씨를 찾고 있다. [사진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충북대 조사단은 그해 4월까지 소로리에서 고대벼(ancient rice) 18톨과 유사벼(quasi rice) 41톨을 발견했다. 이후 2001년 진행된 추가 조사에서 유사벼 68톨을 더 발견해 학계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청주 소로리 볍씨를 찾았다”고 발표한다.

당시 충북대박물관장으로 조사단장을 맡아 청주 소로리 볍씨 연구를 주도해 온 이융조(76)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이사장. 그는 “소로리에서 발견한 볍씨와 토탄을 미국의 연구소와 서울대에 보내 방사선 탄소 연대 측정을 했더니 이들 볍씨가 1만2000~1만2500년, 토탄은 1만2000~1만3920년 전 것으로 확인됐다”며 “탄소 연대 측정 값을 ‘다시 계산하기’ 방법으로 환산하면 청주 소로리 볍씨의 실제 출토 연대는 약 1만5000~1만7000년 전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1998년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에서 발견된 '청주 소로리 볍씨'. 소지경이 인위적으로 잘린 흔적이 보인다. [사진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이 이사장은 2003년 미국에서 열린 제5차 세계 고고학대회에서 청주 소로리 볍씨를 세계 최고(最古) 볍씨로 발표했다. 청주 소로리 볍씨가 발견되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는 97년 중국 후난성(湖南省) 위찬옌(玉蟾岩) 유적에서 출토된 볍씨다. 이 볍씨는 약 1만2000년 전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에서 발견된 청주 소로리 볍씨가 중국보다 최소 3000년이나 앞선 것이다.

 

고고학계는 뒤집어졌다. 구석기 유적에서 인류 최초의 재배벼 흔적이 발견된 것도 이례적이지만, 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발원해 한반도 등 아시아로 퍼지는 벼 전파 경로의 정설을 한번에 뒤집는 결과였기 때문이다.

청주 소로리 볍씨 발견을 계기로 세계적인 고고학 개론서인 『고고학(Archaeology)』에는 쌀의 기원지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바뀌었다. 91년에 발간된 이 책은 2003년까지 중국 후난성에서 출토된 볍씨를 근거로 쌀의 기원을 중국 양쯔강 유역으로 표기했다. 하지만 2004년(4판) 출간된 책부터 지난해 발간한 최신 개정판(7판)까지 쌀의 기원지를 한국으로 명시했다. 한국에서는 2006년『현대 고고학의 이해』로 번역 출판됐다.

세계적인 고고학 개론서인 『고고학(Archaeology)』에 한국이 쌀의 기원지로 표기돼 있다. 한국에서는 2006년 『현대 고고학의 이해』로 번역 출판됐다. 최종권 기자

세계적인 고고학 개론서인 『고고학(Archaeology)』에 벼가 최초로 순화된 위치가 한국으로 표시돼 있다. 1만5000년 전(BC 1만3000년)에 인류가 벼를 생산했다고 연대표에 나와있다. 사진 최종권 기자

소로리 볍씨는 오늘날 재배벼의 기원이자 원조벼로 평가받고 있다. 소로리 볍씨(고대벼)는 벼의 줄기 부분과 낱알을 연결하는 ‘소지경’이 인위적으로 잘린 흔적이 발견된데다 현대 벼의 종류인 자포니카(Japonica)종과 인디카(Indica)종 모양의 볍씨가 모두 발견됐다. 고대벼 18톨에서는 현대 재배벼의 특징인 '유봉돌기(볍씨 껍질에 있는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발견됐다. 자포니카종은 한국과 일본, 중국 등에서 먹는 쌀로 씨앗 길이가 짧다. 반면 인디카종은 낱알이 길쭉하고 밥을 지었을 때 찰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 이사장은 “소로리 볍씨는 야생벼의 초기 재배단계와 농경이 완전히 정착되는 과정에 있었던 ‘순화벼(domesticated rice)’로 해석할 수 있다”며 “세계 벼의 기원과 진화의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라고 말했다.

충북 청주시는 지난해 11월 소로리 볍씨가 발견된 옥산면 소로리 입구에 볍시 모양의 조형물을 세웠다. 청주=최종권 기자

청주시는 지난해 11월 소로리 마을 입구에 높이 5.5m의 소로리 볍씨 조형물을 세우고 시청 상징물(CI) 역시 소로리 볍씨 모양으로 바꿨다. 19년 전 발견한 소로리 볍씨의 의미를 되새기고 청주가 쌀 기원라는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다. 이승훈 청주시장은 “소로리 볍씨가 세계 최고의 인류 문화유산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해 소로리 볍씨 상징물을 설치했다”며 “소로리 유적을 쌀 농사의 기원지로 국내외에 인식시키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청주=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세계 고고학 개론서 'Archaeology'에 쌀의 기원 '한국' 명시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jbnews.com)

 

세계 고고학 개론서 'Archaeology'에 쌀의 기원 '한국' 명시

[중부매일 송창희 기자]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읽는 고고학 개론서인 'Archaeology'에 쌀의 기원이 '한국'(청주소로리볍씨)으로 명시돼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

www.jbnews.com

 

 

 

김남중 기자입력 2014. 10. 15. 02:50수정 2014. 10. 15. 02:50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7000년 전의 팥 흔적이 국내에서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강원도 양양군 오산리 출토 토기 압흔(壓痕·눌린 흔적) 조사에서 신석기 시대의 팥 흔적이 발견됐다"며 "지금까지 한국, 중국, 일본에서 팥을 재배한 시기로는 5000년 전이 가장 이른 것으로 추정됐는데, 이번 조사 결과로 이보다 2000년 더 이른 시기에 팥이 재배됐을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14일 밝혔다.

발견된 팥 압흔은 2점이며 팥 압흔이 있는 토기 표면의 탄화유기물을 미국 베타연구소에 보내 연대 측정한 결과 7314∼7189년 전으로 나왔다. 팥 압흔의 크기는 각각 2.2㎜, 2.8㎜ 정도로 현재의 팥(4∼8㎜)보다 작다.

 

연구소는 또 강원도 양양군 손양면 송전리에서 발견된 점토 덩어리에서 신석기 중기에 해당하는 곤충의 압흔을 확인했다. 이 곤충은 농업 해충으로 알려진 노린재목에 속하는 것으로 선사시대 유물에서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송전리 출토 토기에서는 다량의 조, 기장, 들깨 압흔도 발견됐다. 이는 신석기 중기에 와서 조, 기장 등의 잡곡과 들깨까지 직접 재배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조미순 연구사는 "지금까지는 신석기는 채집사회였으며 농경은 청동기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됐다"며 "신석기 유물에서 기장이나 조, 들깨 등의 흔적이 다량 발견됨에 따라 신석기 시대에도 경작이나 농경이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입력 2014. 10. 14. 10:50수정 2014. 10. 14. 22:00

[한겨레] 신석기 토기서 팥알 '압흔' 발견

동아시아서 가장 오래된것 추정

'5천년전 농경 시작' 학설 뒤집어

 

팥은 오곡중 하나로 떡고물을 만들거나 동짓날 죽으로 쑤어먹는 친숙한 곡식이다.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7000년 전 농경을 시작한 증거로 보이는 당시 팥알들의 흔적이 발견됐다. 신석기시대 조상들이 수확해 토기에 담은 팥알들로 추정된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강원도 양양군 오산리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토기들을 최근 분석한 결과 토기 안에 팥알이 눌려 남은 흔적인 '압흔'(사진)을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팥의 압흔은 신석기 조기(8000~6500년 전)와 중기(5500~4500년 전)에 각각 1점이 확인됐다. 팥알 흔적의 크기는 각각 2.2㎜, 2.8㎜ 정도로 현재의 팥(4~8㎜)보다는 작다.

지금까지 한국, 중국, 일본에서 팥을 재배한 가장 이른 시기는 5000년 전으로 추정해왔다. 쌀도 90년대 경기도 고양에서 발견된 5000여년 전 가와지 볍씨 등으로 미뤄 비슷한 시기 시작됐다는 학설이 나온 바 있다. 이번 조사 결과는 그보다 2000년 이른 시기에 곡물 농경이 시작됐을 가능성을 비친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신석기 조기~중기에 팥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크기가 점차 커지는 재배화(栽培化) 흐름도 보여 동아시아 농경의 뿌리를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이와함께 양양군 송전리 유적에서 나온 점토 덩어리에는 5000여년 전 신석기 중기에 해당하는 곤충의 압흔이 확인됐다. 농작물 해충으로 알려진 노린재목에 속하는 것으로, 선사시대 농경과의 연관성이 주목된다. 또 같은 유적 출토 토기에서는 다량의 조, 기장, 들깨의 압흔 등도 드러났다. 연구소 쪽은 "신석기 중기에 조, 기장 등 잡곡과 들깨까지 재배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흔적"이라고 설명했다.

오산리와 송전리 유적은 2006년 발굴조사 당시 신석기 시대 조~중기에 해당하는 주거지, 야외노지, 저습지 등이 드러난 바 있다. 중부 동해안 지역의 신석기시대 문화상을 보여주는 주요 유적들로 꼽힌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2012-06-26 00:37 송고

강원 고성 문암리유적에서 신석기시대 경작유구(밭) 발굴 - 뉴스1 (news1.kr)

 

강원 고성 문암리유적에서 신석기시대 경작유구(밭) 발굴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고성 문암리 유적’(사적 제426호) 발굴 현장 © News1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영원)는 26일 오전 11시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고성 문암리 유적’(

www.news1.kr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고성 문암리 유적&rsquo;(사적 제426호) 발굴 현장 &copy; News1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영원)는 26일 오전 11시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고성 문암리 유적’(사적 제426호) 발굴 현장에서 신석기시대 경작(耕作) 유구인 ‘밭’을 발굴하고 현장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에 ‘고성 문암리 유적’에서 발굴된 것은 중국, 일본에서도 발견된 예가 없는 동아시아 최초의 신석기시대

밭 유적으로 추정된다.

 

2010년부터 고성 문암리 선사유적 종합정비사업의 하나로 발굴조사 중인 이 유적에서 발굴된 밭은 크게 상·하 2개 층으로 구분된다.

 

상층 밭은 전형적인 이랑(갈아 놓은 밭의 한 두둑과 한 고랑을 이름) 밭의 형태를 띠지만 청동기시대 밭의 형태와 비교할 때 두둑과 고랑의 너비가 일정하지 않고 이랑이 나란하게 이어지지 않는 고식적(古式的) 형태이다.

 

하층 밭은 상층 밭과 다르게 복합구획 밭의 형태로 원시적인 모습을 띤다. 특히, 신석기시대 중기(기원전 3600년~기원전 3000년)의 토기편(짧은빗금무늬토기), 돌화살촉과 함께 그 층을 파고 조성한 신석기시대 집자리 1기가 확인돼 신석기시대 중기의 밭 유적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밭 유적 중 가장 빠른 시기의 것은 청동기시대(기원전 1,500년~기원전 400년)이다. 한반도의 신석기시대 농경에 대해서는 석기(돌괭이, 뒤지개, 보습, 갈판, 갈돌 등)와 탄화곡물(조, 기장)을 근거로 그 존재 가능성을 추정하여 왔으나, 구체적인 농경의 증거인 ‘밭’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상인 기자입력 2019. 8. 15. 17:12

[문화재의 뒤안길]5,000년 전 빗살무늬토기 속 곡식 흔적 (daum.net)

 

[문화재의 뒤안길]5,000년 전 빗살무늬토기 속 곡식 흔적

[서울경제] 영국의 고고학자 고든 차일드는 농경의 시작을 ‘신석기혁명’이라 명명했다. 농경과 함께 나타난 토기와 간석기(갈아 만든 석기)의 출현을 신석기문화의 대표 요소로 들었다. 실제

v.daum.net

 

 

인천 운서동의 전기 신석기 유적의 토기 틈에서 신석기시대 조의 흔적이 발견됐다. /사진제공=문화재청

 

[서울경제] 영국의 고고학자 고든 차일드는 농경의 시작을 ‘신석기혁명’이라 명명했다. 농경과 함께 나타난 토기와 간석기(갈아 만든 석기)의 출현을 신석기문화의 대표 요소로 들었다. 실제로 신석기시대 유적을 발굴하면 집 자리와 야외 노지 같은 곳에서 토기와 간석기가 자주 발견되며 신석기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이면 어디서든 이들 유물을 볼 수 있다.
 

신석기시대의 대표 유물인 빗살무늬토기에 대해 흔히 그 무늬나 형태에만 주목하는데 토기 표면에 나 있는 작은 구멍도 유심히 볼 필요가 있다. 신석기시대의 농경을 가늠해볼 수 있는 조·기장 등의 재배식물과 당시 생활상을 알 수 있는 팥·들깨·곤충·조개 등의 다양한 흔적이 구멍 속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석기인들은 토기를 제작하면서 우연히 혹은 의도적으로 식물이나 곡물들을 넣었고 이후 이들이 타고 남아 눌린 흔적이 토기에 종종 남아있다.

 

일반적으로 농경을 확인할 수 있는 고고학적 증거는 불에 타서 남은 종자, 토양이나 갈판에 남아 있는 화분·식물규산체·전분 등이다. 하지만 이 증거들 중에는 생물교란, 보존환경 등의 문제로 연대 해석이 잘못되거나 식물의 흔적이 보존되지 않아 분석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토기에 남은 흔적은 적어도 토기 제작연대와 동일한 시기라는 점, 신석기시대 출토 유물의 절대다수가 토기라는 점에서 그 분석이 매우 유용하다.

최근 토기에 남은 눌린 흔적을 찾는 조사(압흔 분석)를 통해 한반도 중서부지역인 인천 운서동의 전기 신석기 유적에서 그동안 보고되지 않았던 조와 기장이 발견됐다. 5,000년 전 토기 덕에 당시의 생계활동과 농경 출현 경로 등이 새롭게 조명받게 됐다. /조미순 문화재청 발굴제도과 학예연구관

양양 송전리 신석기 중기 유적지에서 당시의 곤충 흔적이 발견됐다. /사진제공=문화재청

 

 

<참고자료>

 

신석기시대편 - 문화유산 지식e음 (nrich.go.kr)-신석기시대 농경

 

선사시대, 제주에서 농업이 늦게 태동한 이유는? - 헤드라인제주 (headlinejeju.co.kr)

 

Rice - Wikipedia

 

Timeline of agriculture and food technology - Wikipedia

 

구석기시대편 - 문화유산 지식e음 (nrich.go.kr)-소로리유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