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angulation supports agricultural spread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

Show authors

Nature volume 599pages616–621 (2021)Cite this article

  • 159k Accesses
  • 52 Citations
  • 1359 Altmetric
  • Metrics

출처; Triangulation supports agricultural spread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

 

Discussion

Triangulation of linguistic, archaeological and genetic evidence shows that the origins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 can be traced back to the beginning of millet cultivation and the early Amur gene pool in Neolithic Northeast Asia. The spread of these languages involved two major phases that mirror the dispersal of agriculture and genes (Fig. 4). The first phase, represented by the primary splits in the Transeurasian family, goes back to the Early–Middle Neolithic, when millet farmers associated with Amur-related genes spread from the West Liao River to contiguous regions. The second phase, represented by linguistic contacts between the five daughter branches, goes back to the Late Neolithic, Bronze and Iron Ages, when millet farmers with substantial Amur ancestry gradually admixed with Yellow River, western Eurasian and Jomon populations and added rice, west Eurasian crops and pastoralism to the agricultural package.

 

Fig. 4: Integration of linguistic, agricultural and genetic expansions in Northeast Asia.

Amur ancestry is marked in red, Yellow River ancestry in green and Jomon ancestry in blue. The red arrows show the eastward migrations of millet farmers in the Neolithic, bringing Koreanic and Tungusic languages to the indicated regions. The green arrows mark the integration of rice agriculture in the Late Neolithic and the Bronze Age, bringing the Japonic language over Korea to Japan.

 

Bringing together the spatiotemporal and subsistence patterns, we find clear links between the three disciplines (Supplementary Data 26). The onset of millet cultivation in the West Liao region around the ninth millennium BP can be associated with substantial Amur-related ancestry and overlaps in time and space with the ancestral Transeurasian speech community. In line with recent associations between the Sino-Tibetan family estimated at 8000 BP41,42 and Neolithic farmers from the Upper and Middle Yellow River13,14, our results associate the two centres of millet domestication in Northeast Asia with the origins of two major language families: Sino-Tibetan on the Yellow River and Transeurasian on the West Liao River. The lack of evidence for Yellow River influence in the ancestral Transeurasian language and genes is consistent with the multi-centric origins of millet cultivation suggested in archaeobotany28.

The early stages of millet domestication in the ninth to seventh millennia BP are accompanied by population growth (Extended Data Fig. 3), leading to the formation of environmentally or socially separated subgroups in the West Liao region and broken connectivity between speakers of Altaic and Japano-Koreanic.

Around the mid-sixth millennium BP, some of these farmers started to migrate eastwards, around the Yellow Sea into Korea and northeast into the Primorye, bringing Koreanic and Tungusic languages to these regions and bringing from the West Liao region additional Amur ancestries to the Primorye and mixed Amur–Yellow River ancestries to Korea. Our newly analysed Korean genomes are notable in that they testify to the presence of and admixture with Jomon-related ancestries outside Japan.

The Late Bronze Age saw extensive cultural exchange across the Eurasian steppe, which resulted in the admixture of populations from the West Liao region and the Eastern steppe with western Eurasian genetic lineages. Linguistically, this interaction is mirrored in the borrowing of agropastoral vocabulary by Proto-Mongolic and Proto-Turkic speakers, especially relating to wheat and barley cultivation, herding, dairying and horse exploitation.

Around 3300 BP, farmers from the Liaodong–Shandong area 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dding rice, barley and wheat to millet agriculture. This migration aligns with the genetic component modelled as Upper Xiajiadian in our Bronze Age sample from Korea and is reflected in early borrowings between Japonic and Koreanic languages. Archaeologically it can be associated with agriculture in the larger Liaodong–Shandong area without being specifically restricted to Upper Xiadiajian material culture.

In the third millennium BP, this agricultural package was transmitted to Kyushu, triggering a transition to full-scale farming, a genetic turn-over from Jomon to Yayoi ancestry and a linguistic shift to Japonic. By adding unique samples from Nagabaka in the southern Ryukyus, we traced the farming/language dispersal to the edge of the Transeurasian world. Demonstrating that Jomon ancestry stretched as far south as Miyako Island, our results contradict previous assumptions of a northward expansion by Austronesian populations from Taiwan. Together with the Jomon profile discovered at Yokchido in Korea, our results show that Jomon genomes and material culture did not always overlap.

By advancing new evidence from ancient DNA, our research thus confirms recent findings that Japanese and Korean populations have West Liao River ancestry, whereas it contradicts previous claims that there is no genetic correlate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 family13.

Although some previous research regarded the Transeurasian zone as beyond the area suitable for farming20, our research confirms that the farming/language dispersal hypothesis remains an important model for understanding Eurasian population dispersals21. Triangulation of linguistics, archaeology and genetics resolves the competition between the pastoralist and farming hypotheses and concludes that the early spread of Transeurasian speakers was driven by agriculture.

 

 

서동준 동아사이언스 기자입력 2021. 11. 12. 03:03수정 2021. 11. 12. 03:05

"한국어 기원, 9000년전 中요하 농경지".. 중앙亞 유목민설 뒤집히나 (daum.net)

 

"한국어 기원, 9000년전 中요하 농경지".. 중앙亞 유목민설 뒤집히나

한국어 몽골어 일본어 등의 ‘뿌리 언어’로 여겨지는 ‘트랜스유라시아어족(알타이어족)’의 기원이 약 9000년 전 중국 동북부 요하(遼河·랴오허) 일대 농업 지역이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v.daum.net

獨연구팀에 韓-中-日-러-美 참여.. 공동연구결과 '네이처'에 발표
주어-목적어-술어 어순 알타이어족, 언어학-고고학-유전생물학 등 분석
"공통 기원 언어 3000개 요하로 연결.. 쌀 농업 한반도로 유입돼 日에 도달
유전체 분석 결과 공통 요소 발견"

한국어 몽골어 일본어 등의 ‘뿌리 언어’로 여겨지는 ‘트랜스유라시아어족(알타이어족)’의 기원이 약 9000년 전 중국 동북부 요하(遼河·랴오허) 일대 농업 지역이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약 4000년 전 중앙아시아 유목민이 이주하면서 언어가 퍼져나갔다는 기존의 ‘유목민 가설’을 뒤집은 것이다.

마르티너 로베이츠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 고고학부 교수 연구팀과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등의 연구진이 대거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성하 한국외국어대 교수, 김재현 동아대 교수, 안덕임 한서대 교수 등 국내 연구진도 공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은 동쪽의 한국, 일본으로부터 시베리아를 거쳐 서쪽의 터키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대륙을 가로질러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 모음조화, 문법상 성별 구분이 없는 등 공통점이 있다. 방대한 규모의 언어집단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전파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유목민 가설’이 힘을 얻었었다.

국제공동연구팀은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의 기원과 전파 양상을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언어학, 고고학, 유전생물학 등 세 분야를 입체적으로 조명했다. 고대의 농업·축산 관련 어휘를 분석하고, 신석기·청동기시대 유적지에 대한 고고학 연구결과, 고대 농경민의 유전자 분석결과와 비교했다.

언어학적으로 기원이 공통된 언어 3000여 개를 모아 계통수를 그려나간 결과, 9000여 년 전 요하 일대 기장 농업 지역에서 사용된 언어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신석기 때 원시 한국-일본어, 원시 몽골-퉁구스어 등으로 분화됐다. 청동기에 한국어, 일본어, 몽골어, 퉁구스어, 튀르크어 등으로 분리되면서 당시 새로 도입된 쌀, 밀, 보리 같은 작물 단어와 낙농업, 실크 등의 언어가 추가됐다.

고고학적으로 255개 유적지에서 발굴된 작물의 탄소 연대 측정 결과를 분석하니 약 9000년 전 요하 일대의 기장 농업은 크게 두 분류로 나뉘어 한 분류는 5500년 전 한반도 방향으로, 나머지 한 분류는 5000년 전 북쪽 방향의 아무르강 유역으로 퍼져나갔다. 쌀 농업은 중국 랴오둥과 산둥 지역에서 3300∼2800년 전 한반도로 유입됐으며, 3000년 전 일본까지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9500∼300년 전 한국, 일본, 아무르강 유역에 살았던 19명의 유전체와 유라시아와 동아시아의 현대인 194명의 유전체를 분석하고 비교했다. 그 결과 트랜스유라시아어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에게서 공통적인 유전적 요소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세 분야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농경문화와 함께 언어의 확산과 분리가 일어났다는 ‘농경민 가설’을 제시했다. 특히 유전적 증거를 통해 한국과 일본인이 트랜스유라시아어족과 관련 없다는 기존의 일부 학설도 반증했다. 또 욕지도에서 나온 고대인의 DNA를 분석해 중기 신석기시대 한국인 조상의 유전자가 일본 토착민인 조몬인(繩文人)과 95% 일치한다는 사실도 처음 확인했다.

 

 

 

이영완 과학전문기자입력 2021. 11. 12. 03:03수정 2024. 1. 2. 09:16

“한국어 기원은 9000년전 요하 일대 농민” (daum.net)

 

“한국어 기원은 9000년전 요하 일대 농민”

한국어가 투르크어, 몽골어, 일본어와 함께 9000년 전 신석기시대에 지금의 중국 동북부에 살았던 농경민에서 비롯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기존의 유목민 가설을 뒤집는 것이다. 지금까

v.daum.net

막스플랑크 硏, 네이처에 논문
기존 ‘유목민 가설’ 뒤집어… 튀르크·몽골어와 뿌리 같아

한국어가 투르크어, 몽골어, 일본어와 함께 9000년 전 신석기시대에 지금의 중국 동북부에 살았던 농경민에서 비롯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기존의 유목민 가설을 뒤집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그보다 수천 년 뒤에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이 전 세계로 이주하면서 비슷한 체계를 가진 언어들이 퍼졌다고 알려졌다.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연구소의 마티너 로비츠 박사 연구진은 “언어학과 고고학, 유전학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한 결과 유럽에서 동아시아에 이르는 트랜스유라시아 어족(語族)이 신석기시대에 중국 랴오허강(遼河·요하) 일대에서 기장 농사를 짓던 농민들이 이주하면서 형성됐음을 확인했다”고 11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독일과 한국·중국·일본·러시아 등 10국에서 언어학자, 고고학자, 유전생물학자 41명이 참여했다. 한국외국어대의 이성하 교수와 안규동 박사, 동아대의 김재현 교수, 서울대의 매튜 콘테 연구원 등 국내 연구진도 논문에 공저자로 등재됐다.

트랜스유라시아 어족(알타이 어족)의 전파 과정

트랜스유라시아 어족은 알타이 어족이라고도 한다. 서쪽의 투르크어에서 중앙아시아의 몽골어와 시베리아의 퉁구스어, 동아시아의 한국어, 일본어로 구성된다. ‘보글보글, 부글부글’처럼 앞 음절의 모음과 뒤 음절의 모음이 같은 종류끼리 만나는 모음조화가 나타나고, ‘나는 밥을 먹는다’처럼 주어, 목적어, 서술어 순으로 말을 한다.

연구진은 특정 문화와 무관한 ‘들판, 돼지, 집’ 같은 단어들을 비교해 언어의 계통도를 작성했다. 이 단어들의 기원은 9200년 전 기장 농사를 짓던 농민들로 거슬러 올라갔다. 동시에 8500~2000년 전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의 고고학 유적지 255곳에서 발굴된 토기와 농작물, 장례 유적을 분석했다. 농업의 전파 과정은 원시 트랜스유라시아 언어가 퍼진 경로와 일치했다. 마지막으로 시베리아와 몽골·중국·한국·일본·대만에서 9000~300년 전 살았던 사람 23명의 유전자를 비교했다.

세 가지 정보를 종합한 결과 약 9000년 전 요하 계곡에서 기장을 재배하던 농민들이 지금의 트랜스유라시아 어족의 공통 조상으로 밝혀졌다. 이는 3000~4000년 전 중앙아시아 초원지대에서 발원한 유목민이 이주하면서 트랜스유라시아어가 퍼졌다는 ‘유목민 가설’을 뒤집는 결과이다. 로비츠 교수는 “기장 농업이 발달하면서 인구가 늘었고 그들의 언어도 세계로 퍼진 것”이라고 밝혔다. 호주국립대의 피터 벨우드 교수는 이날 네이처에 발표한 논평 논문에서 “설득력 있는 연구 결과”라며 “언어는 절대 혼자 움직이지 않고 말하는 사람들이 퍼뜨리기 때문에 영역이 넓어진다”고 밝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