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골음; 땅이름

출처; 최춘태 지음, 갑골음으로 식민사학·동북공정

 

神市(신시);

 

神市(신시)今彌達(금미달)이라고도 하고 阿斯達(아사달), 弓忽(궁홀), 白岳(백악), 甑山(증산), 三危(삼위), 西鎭(서진)과 같은 다른 이름들이 많네.

결국, 神市[ᄀᆞ미ᄃᆞᆯ]로 읽혔다네. 이것이 곧 今彌達일세. , 의 갑골음과 은 같은 음이라는 것일세.

[gəm(ᄀᆞᆷ)]의 개음절형으로 훈석되어 [ᄀᆞ미(gəmi)]가 되고, 는 음이 [ᄃᆞᆯ(dər)]이네. 그런데 古音(고음)[gəm(ᄀᆞᆷ)]이고 개음절형은 [ᄀᆞ미(gəmi)]일세. 그래서 -今彌[ᄀᆞ미(gəmi)]-[ᄃᆞᆯ(dər)]이 되는 것이네.(338~340)

 

阿斯達(아사달);

 

阿斯를 조합하면 [gər sər]가 되네. [gər sər]는 우리말 읽기 방식에서 [gəsər(ᄀᆞᄉᆞᆯ)]로 읽는다네. ‘다섯여섯다여섯>대여섯으로 읽는 동음생략이라 했네. 이것은 앞선 시기의 (), ()[ᄀᆞᄉᆞᆯ(gəsər)]()[ᄀᆞᄉᆞᆯ(gəsər)]阿斯[gəsər]는 모두 햇빛을 뜻하는 우리말이네. 후에 阿斯達[가사ᄃᆞᆯ]로 읽혀 濊山, ()의 근거지를 말하는 것일세. ‘빛의 땅이란 것이네. 뒤에 朝鮮(조선)의 어원 편에서 말하겠지만 [ᄀᆞᄉᆞᆯ(gəsər)][gər sər]의 축약인데, 이 둘은 을 뜻하네. 가라족, 사라족이 모두 햇빛 종족이라는 것일세.(337)

 

今彌達(금미달);

 

현재 의 일본 訓音かみ[kami]인데, かみ[kami][kam]의 일본어식 표기이다. 단군조선의 도읍지인 神市(신시)今彌達(금미달)이라 하는 것도 かみ[kami]인데 今彌(ᄀᆞ미)의 음과 대응하고 의 갑골음은 [tərə>tər]인데 과 대응한다.(247)

<삼국사기>今彌達(금미달)弓忽(궁홀)이라 했는데, 今彌[ᄀᆞ미]로 재구되는 개음절식 발음이네. 이것이 과 같다고 했네. 한 때, 今彌達儉瀆(검독)과 음이 같았다네. 儉瀆의 고음도 [kama dar]일세.(310)

 

弓忽(궁홀); [ᄀᆞᄆᆞ ᄀᆞᄅᆞ(gəmə kərə)]

 

今彌達弓忽이라고 했으니 今彌達[ᄀᆞ미ᄃᆞᆯ(gəmi dər)]弓忽[ᄀᆞᄆᆞ ᄀᆞᄅᆞ(gəmə kərə)]를 대조하면 今彌=, =이 되네. 今彌은 같은 음이고 弓 熊도 같은 음이라 했네. 의 훈독이 今彌[ᄀᆞ미]였고 곰 토템 종족에게는 이었던 게지. 은 높은 산, 읍락을 말하는 것으로 의미가 같다네.

결론적으로 弓忽[ᄀᆞᄆᆞ ᄀᆞᄅᆞ(gəmə kərə)]곰뫼’, ‘熊山을 뜻하네. 곰족이 사는 읍락을 말하지.(340~342)

 

白岳(백악); ; ‘ᄇᆞᆰᄃᆞᆯ

 

迦葉原(가섭원);

 

(ka)(sap)[버르/]로 읽혔네. ()의 어말 (버르)의 어두 과 겹쳐 동음생략됨으로써 가사()버르()’로 읽었던 것이네. ‘이란 끗이네. ‘버르()’에 해당하는 韓音으로는 徐羅伐(서라벌), 達句伐(달구벌)과 같이 로 읽는데, ‘너른 벌판, 도시를 의미하네.(323)

 

于山國(우산국):

 

鬱陵의 옛 지명 于山의 갑골음은 [ᄀᆞᄅᆞᄃᆞᄅᆞ](219)

 

于山[ᄀᆞᄅᆞᄃᆞᆯ]로 읽힌 것이다. 의 음이 변하여 더 이상 [ᄀᆞᄅᆞ]로 읽지 못하게 되자 鬱陵[ᄀᆞᄅᆞ]로 한자를 바꾸게 된 것이다. 설문AD 121년에 완성되었고 鬱陵[ᄀᆞᄅᆞ]로 읽혔으므로 이 두 지명은 최소한 설문시기에 존재했다는 것이다. 이로써 보면 지증왕 때 이사부가 울릉을 접수하기 훨씬 전인 後漢 이전에 于山은 이미 [ᄀᆞᄅᆞ] 땅이며 우리 땅이었던 것이다.(220)

 

<참고자료>

 

최춘태, 갑골음으로 식민사학·동북공정》, 북랩, 2017

 

'우리겨레력사와 문화 > 우리겨레 말과 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골음; 일반 이름  (2) 2024.02.03
갑골음; 나라 이름  (1) 2024.02.03
우리겨레말(한국어)  (0) 2021.07.05
훈민정음/한글(1)  (0) 2021.07.05
훈민정음/한글(2)  (0) 2021.06.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