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박정학 (2)
력사를 찾아서
《우리 겨레 력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통사 1.9.1 2010년 1월 14일 한겨레 〈[한민족의 시원, 만주] 대한민국 청년에게 고함 (1)한민족의 광활한 뿌리, 고려에서 맥 끊겨〉 법륜 스님 『[한민족의 시원, 만주] 대한민국 청년에게 고함 (1) 환인 한나라, 환웅 배달, 고조선, 고구려 터전 신라는 정통성 없고 조선은 사대로 역사 ‘망각’ 일본강점기까지 ‘만주’라고 불렸던 중국의 동북 3성인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은 고조선은 물론 고구려, 발해, 고려 등의 터전이었고, 항일독립운동이 펼쳐진 우리 민족의 주요한 활동무대였다. ‘민족의 성산’ 백두산 곳곳에는 한민족의 숨결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최근 만주 일대에서는 고조선과 관련이 있는 유적과 유물이 잇따라 발굴되고 있다. 그런데 중국은 ..
한국사학사 - Daum 백과 목차개요고대사학중세사학근대사학현대사학개요한국사학사는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즉 고대·중세·근대·현대의 사학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역사학계에서 시대구분이 아직 정설화되지 않았으므로 여러 견해가 있지만, 역사학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시대구분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고대사학은 역사서가 정식으로 편찬된 삼국 초기로부터 10세기초 신라의 멸망까지, 중세사학은 고려왕조와 16세기말의 조선왕조 중엽까지, 근대사학은 17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현대사학은 1945년 민족해방 이후의 역사학으로 구분한다. 고대사학 우리나라에서 역사학의 시작은 한자(漢字)가 전래되어 역사를 기록한 때부터이다.한자는 BC 2세기말 한군현을 통해 전래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역사를 기록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