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백제무왕 (3)
력사를 찾아서
백제왕궁박물관에서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가치를 알리고 보존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미륵사지미륵사지는 익산시 금마면에 위치한 미륵산 아래 구릉 사이에 자리하며,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사찰이다. 미륵사에 대해서는 『삼국유사(三國遺事)』 무왕조에 창건 기록이 전한다.미륵사지석탑미륵사지 석탑은 사역의 서원에 자리하고 있으며, 현존하는 국내 최고, 최대의 석탑으로 목탑에서 석탑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가장 잘 보여주는 한국석탑의 시원(始源)이다. 무왕과 왕비가 사자사(師子寺)에 불공드리러 가던 중 용화산 밑 연못가에서 미륵삼존(彌勒三尊)이 나타나 왕비의 청에 의해 연못을 메우고 탑과 금당, 회랑을 각각 3개소씩 만들었다. 이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우선 미륵사가 백제의 국력을 모은 국가적 가..

백제왕궁박물관에서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가치를 알리고 보존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일반현황유적명 : 익산 왕궁리유적(사적, 1998. 9. 11 지정)지정면적 : 216,862㎡유적 내에 국보 익산 왕궁리 5층석탑이 있고, 인근지역에 동쪽으로 익산 제석사지 2㎞, 북서쪽으로 익산 미륵사지가 약 4.8㎞ 거리에 위치함.연혁백제 30대 무왕(武王 : A.D.600 ~ 641)대에 조성백제 무왕대에 왕궁으로 건립되어 그 후 사찰로 변화됨1965년 : 석탑 해체보수1976년 :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시굴 조사1989년 ~ 현재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발굴조사 왕궁리유적은 전북 익산시 왕궁면에 위치한다. 왕궁리유적은 백제 말기 익산 경영과정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인 왕궁으로 사비(부여)와..

■ 익산 왕궁리유적 2012년 11월 26일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이상준)는 사적 제408호 전북 익산 왕궁리 유적 북쪽의 후원(後苑) 공간으로, 보도(步道)시설이 잘 남은 북동쪽 성벽과 후원의 중심부를 경계 짓는 환수구(環水溝), 추정 원지(苑池), 곡수로(曲水路) 등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왕궁리 유적은 백제 무왕(武王:600~641) 시기에 조성된 왕궁성(王宮城)으로 지난 1989년부터 백제문화권 유적정비사업의 하나로 연차 발굴이 이뤄졌으며 이번 조사지역은 2009년부터 발굴하고 있는 유적 북쪽의 후원(後苑) 공간이다. 【대전=뉴시스】박희송 기자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의 '익산 왕궁리 유적'에서 연못으로 추정되는 원지(苑池)와 수로 등이 발견됐다.(출처; https://v.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