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아리랑 (2)
력사를 찾아서

한국과 몽골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많은 문화적·심리적 공통성뿐만 아니라 매우 독특한 관습들도 공유한다. 예컨대 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한 살을 먹는다든가(중국과는 분명히 다르다), 식당이나 가게 등에 가면 한국에서는 '이모', '아제'라고 하듯이, 몽골에서는 '형', '동생'이라고 부른다거나(의제가족) 아이들이 오래 살라고 귀할수록 '개똥이' 등으로 이름을 비하하여 부른다거나 한다. 또 유난히 흰색을 많이 사용한다. ■ , 한·몽 관계를 왜곡하다 ⑧ 아리랑의 고향, 알타이와 몽골 초원김운회 동양대 교수 | 2014.02.13. 드라마 25부에서는 기양의(후일 기황후)가 황제(순제 : 혜종)에게 "저의 복수가 바로 폐하의 복수"라고 하면서 엘테무르(연철)의 제거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그리고 후..

100대 민족문화상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100대 민족문화상징 목록민족 상징 (2개)강역 및 자연 상징 (19개)역사 상징 (17개)사회 및 생활 상징 (34개)신앙 및 사고 상징 (9개)언어 및 예술 상징 (19개)민족 상징 (2개)1 태극기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이며 태극기 자체가 문화적 상징 직관물이다.2 무궁화무궁화는 대한민국의 국화이며 근역(槿域)이라는 용어에 역사적 함의를 담고 있다.강역 (6개)3 독도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독도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야 하는 필요성이 거론되는 곳이다. 또한 한반도 해양 강역의 최고 상징이기도 하다.4 백두대간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등뼈 역할을 하는 생태적 주축이다. 또한 한민족의 문화 경관을 형성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