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점말인 (2)
력사를 찾아서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 4.5. 2만 년 전~1만 년 전 4.5.1. 흑룡강성 하얼빈 염가강유적- 하얼빈인; 20,000 BP 『중국 헤이룽장黑龍江 성 하얼빈哈爾濱 시 서남쪽 25㎞ 옌자강에 위치한다. 이 유적은 쑹화松花 강과 윈량허運粮河 강 사이의 해발 146m인 제2단구에 있으며, 윈량허 강에서는 10m높이에 있다. 1982년~1985년까지 조사하여 사람 머리뼈, 석기, 짐승 화석, 뼈연모, 불탄 뼈, 재층 등을 찾았다. 옌자강유적은 A, B, C 3구역에서 20여 개의 시굴 구덩이 조사되었으며, 그중 B구역의 지층이 비교적 완벽하게 남아 있다. 층위는 5층으로 구분되며 위로부터 제5층은 30~50㎝ 두께의 검은 갈색 부식토층이다. 제4층은 135~145㎝ 두께의 노란 갈색의 ..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 목차 1. 후기 구석기시대1. 1 세계의 후기 구석기시대1. 2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2. 기후와 지형2. 1 기후2. 2 지형2. 3 만주와 한반도의 지형 3. 현생인류3. 1 현생인류의 이동3. 2 만주와 한반도의 현생인류 4.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4. 1 5만 년 전 이전4. 1. 1 평안남도 덕천 승리산 동굴유적 - 덕천인4. 1. 2 평양 력포구역 대현동 동굴유적 - 력포인 4. 2 50,000년 전~40,000년 전4. 2. 1 평양 상원군 룡곡동굴유적(龍谷洞窟遺蹟) -룡곡인(49,000년 전~46,000 년 전)4. 2. 2 요녕성 해성시 소고산유적 -소고산인(40,000±3500 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