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함평신덕고분 (2)
력사를 찾아서

김현희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신덕고분은 30년전 발굴 당시 일본의 고대 무덤 형태를 보이고 있어 연구가 진행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연구를 한 결과 발굴된 유물이 백제와 왜 문화가 혼합돼 있어 고분의 주인은 백제와 왜에 영향력이 있는 집단의 수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광주=뉴시스] 국립광주박물관은 1991년 3월 발굴된 함평 예덕리 신덕고분에 대한 연구결과가 이달 말 발표된다고 10일 밝혔다. 사진 위 왼쪽부터 둥근 구슬' '금동관' '말띠 꾸미개', 사진 아래 왼쪽 '연리문 유리구슬' '굽다리 접시' '짧은 목 항아리와 돌 뚜껑'. (사진=국립광주박물관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발굴 당시 고분에서는 사람의 것으로 추정되는 두개골 일부와 치아..

영산강 유역에 있는 나주 복암리고분, 나주 영동리 고분, 나주 정촌고분, 함평 신덕고분, 광주 월계동 장고분 등을 알아봅니다. 나주 복암리고분, 나주 영동리 고분, 나주 정촌고분은 옹관(독널)묘인데, 이 옹관묘는 3~5세기 말까지 영암·함평·무안 등 영산강을 따라 유행했습니다. 특히 나주평야 한복판인 대안리·신촌리·덕산리 일대에 집중된 36기의 무덤군이 있는데, 이를 반남(潘南)고분군이라 합니다. 특히 신촌리 9호분에서는 금동관과 금동신발, 환두대도 등이 확인됐는데, 이 일대를 다스리던 수장이었음이 확실합니다. 이런 금동제는 백제식이 분명하지만, 왜계와 가야계 유물도 엿보입니다. 1996년 5월 어느 날이었다. 영산강 유역인 전남 나주 다시면 복암리 3호분을 발굴 중이던 전남대 조사단이 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