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가사라 력사를 찾아서

고구려(9) - 고대의 압록수는 어디인가? 본문

여러나라시대/고구려(고려,고리)

고구려(9) - 고대의 압록수는 어디인가?

대야발 2024. 5. 25. 16:07

 

 

 

남의현

 

 

 

고대 압록강은 어디인가?

기자명오종홍 입력 2017.02.14 16:59수정 2017.03.13 12:16

 

고려시대까지 압록강은 현재의 요하였다...

 

역사지리의 위치를 찾는 것은 역사연구의 핵심이다.

현재 북한과 중국의 국경선으로 작용하는 압록강은 언제 붙여진 이름일까?

중국의 수많은 정사류正史類는 압록강이 현재의 요하라고 한다.

 

압록강이 요하라면 우리역사 다시써야...

고려와 요의 전쟁에서 요나라 군대가 건넌 압록강은 현재의 압록강일까? 또한 이성계가 회군한 곳이 현재의 압록강일까? 우리나라 역사를 배우다 보면 알 수없는 것들이 너무나 많다. 압록강도 그 중의 하나다. 중국의 '연산도燕山圖'라는 고지도를 보면 압록강이 현재의 요하에 그려져 있다. 만약에 현재의 압록강이 고려시대까지의 압록강이 아니라면 우리역사는 처음부터 다시 써야 할 판이다. 서희가 거란으로부터 외교담판으로 뺏은 강동6주는 현재의 압록강근처가 아니라 현재 중국 요령성 요하근처가 된다. 이처럼 고려시대까지의 압록강의 위치를 찾는 것은 우리역사에서 너무나 중요하다. 특히 중국의 역사침략과 이를 통한 영토침략까지 예고된 상태에서 압록강의 위치를 바로 잡는 것은 미래의 민족의 운명과도 직결된다.

 

현재 압록강은 일제식민사관의 잔재...

압록강이 고대부터 현재까지 북한의 압록강이었다는 인식은 일제식민사관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제가 일제침략의 일환으로 우리역사를 반도사관에 따라 만들었는데 그 주요기준점이 현재의 압록강이다. 그리고 이 기준에 따라 평양도 북한의 현재 평양으로 새겨 놨다. 이 바탕위에서 우리역사가 전개된다.

그런데 이러한 통설을 깨는 주장이 나와 향후 강단식민사학과의 역사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그동안 강단식민사학과의 가장 큰 논쟁은 중국한나라 식민기관, 한사군이 어디에 있었느냐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런데 압록강이 현재의 압록강이 아니라 요하라는 주장은 또 다른 역사전쟁의 전선이 형성됨을 알리는 것이다. 압록강이 현재의 중국 요하라면 한사군 위치 문제도 저절로 해결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강단식민사학의 정설로 굳어진 낙랑군(한사군) 재평양설이 깨지는 것이다.

▲강원대학교 사학과 남의현 교수가 서기2017.2.13. 유라시안 역사인문학특강에서 압록수의 위치를 설명하고 있다. 남 교수는 이날 문헌사료는 물론 현장답사를 통해서 얻은 자료를 통해 고구려 때의 압록수가 현재의 요하라고 했다.

 

압록강 위치를 바로 찾는 것은 중국 동북공정 무력화 시키는 길...

서기2017.2.13. 서울 광화문한국통신(KT)건물에서 유라시안네트워크(이민화 대표)가 주최한 유라시안 역사인문학 특강에서 강원대학교 사학과 남의현 교수가 압록강의 위치를 새롭게 비정하는 연구성과를 발표해 큰 관심을 끌었다. ‘고구려시대의 압록강은 어디?’라는 주제로 강의에 나선 남 교수는 역사 연구를 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역사에 나타나는 물줄기의 위치를 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역사에 나타나는 강이나 하천의 위치가 현재 어디냐를 확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먼저 선행되어야 다음 과제를 풀어나갈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국내의 연구를 보면 이러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다고 했다. 특히 남 교수가 발표하는 역시기록상의 압록강의 위치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하나도 없다고 했다. 이어 남 교수는 우리나라는 특히 중국의 동북공정 도발로 미래의 운명이 보장되지 않는 상태라고 했다. 중국이 우리역사를 강탈한 사실을 지적하면서 현재 중국의 교과서에서 고구려나 발해를 서술하고 그려 놓고 있지만 우리역사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지방정권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국도 우리역사를 왜곡해서 학생들에게 가르치다 보니까, 그 학생들이 성장하여 우리나라 대학에 유학을 와서 관련 역사를 공동관심사로 얘기를 하다 보면 충돌이 생긴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그러나 이러한 갈등은 아주 사소한 것에 속한다는 것이다. 정말 심각한 문제는 장차 중국이 이러한 역사왜곡이론을 가지고 우리 땅에 대하여 연고권을 주장하는 것이다. 특히 우리가 남북통일을 하려고 할 때 중국이 역사적 연고권을 내세워 통일을 방해하는 일까지 벌어질 것이라는 것이다.

남 교수는 압록강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서 역사를 바로 세우고자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했다.

 

그렇다면 압록강이 현재의 요하라는 근거는 무엇일까?

 

남 교수가 제일 먼저 근거로 내세운 것은 <대명일통지>다. 대명일통지는 명나라 당시 중국의 역사인문지리서이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명의 위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 대명일통지에 우리나라 땅이라고 알려진 평양성과 살수 그리고 압록수가 나온다. 그리고 위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다. 그 위치는 결코 현재 우리나라 땅이 아니다. 남 교수의 말대로 현재의 요령성 요하일대로 나타난다. 당시 이성계이 소중화 조선 정권이 한반도에 있었다. 그런데도 <대명일통지>에서는 압록강과 평양성, 살수를 명나라의 땅이라고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위치도 현재의 요하일대라고 한다. 평양성의 내력을 보면 정확하게 조선(단군)부터 기자조선 그리고 한사군의 중심지로 설명하고 있다. 그렇다면 소중화 조선시대의 평양과 살수 그리고 압록강은 무엇이란 말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 후 고려를 멸망시키고 소중화 조선을 개국하면서 반도내로 우리역사를 재설정하면서 지명도 새롭게 새겨 넣은 것이다. 세종시대에 지리지를 편찬하면서 전국의 지명의 유래를 설정한다. 이것이 세종실록지리지다. 이후에 이를 바탕으로 <동국여지승람> 같은 지리서가 뒤를 잇는다. 이때에 대륙에 있던 평양과 살수 그리고 압록강을 현재의 위치로 새긴 것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 현재 중국 요령성 요하에 있는 요하를 간단하게 소개하고 있는 표지석. 여기에는 이 요하가 고대에는 '구려하'였다고 새기고 있다. 위 사진 빨강색 화살표 지시부분에 '구려하'라고 새겨져 있다.

그러나 남 교수가 연구한 결과물을 보면 압록강이 현재의 요하라는 증거가 수없이 나온다. 남 교수는 명나라이전과 이후에 등장하는 사료를 제시하며 압록강이 현재의 요하라는 것을 고증해 나갔다. 특히 눈길을 끄는 사료는 <성리대전>과 <주자어류>다. 천하에는 3개의 큰물이 있는데 장강(양자강)과 황하 그리고 압록이라고 한다. 또는 천하에 오직 세 개의 큰물이 있다. 가장 큰 것이 양자강과 황하 그리고 혼돈강이라는 것이다. 역기서 혼돈강은 압록수로 증명된다. 이들 사료들이 말하는 압록강이 현재의 압록강이라고 한다면 전혀 맞지 않는다. 요하일 때만이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요사>태조9년조에는 요태조가 압록강에서 낚시질을 했다는 기록까지 나온다. 현재의 압록강이라면 이해할 수없는 기사다. 적국의 황제가 적을 앞에 두고 낚시질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의 <삼국유사>를 보면 요수가 압록이라고 나온다.

"살펴보면 고구려 때의 도읍은 안시성이며(按麗時都安市),

이름 하여 안정홀이라고도 하는데(一名安丁忽),

요수 북쪽에 있다(在遼水之北).

요수의 또 다른 이름은 압록인데(遼水一名鴨淥)

지금은 안민강이라고 한다(今云安民江).

어찌 송경 흥국사의 이름이 여기에 있겠는가(豈有松京之興國寺名)?"

 

남 교수가 근거로 내세운 사료는 중국의 <수서>, <구당서>, <신당서>, <통전>, <자치통감>, <통감>, <송사>, <요사>등이다. 우리 사료로는 <삼국유사>, <대동수경> 등이다. 이들 사료에 나오는 압록강 기사를 현재의 압록강에 갖다 맞춰 보면 맞지 않는 것이 압도적이다. 반면에 요하에 갖다 놓으면 자연스럽게 풀이되는 것이 더 많다.

한편 남 교수는 요하와 현재의 북한 압록강을 과학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고대의 압록강이 현재의 요하일 수밖에 없음을 증명했다. 강폭과 길이 그리고 계절에 따른 강의 변화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또한 서기1930년대 나온 <성경통지>등을 통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의 요하가 고대의 압록강이라고 고증해 나갔다. 요하에는 현재 표지석이 크게 있는데 예전에는 ‘구려하’라고 새겨져 있다고 했다.

압록강이 고려시대까지 요하라는 파격적인 강의여서 인지 많은 시민들이 참석하여 큰 관심을 보였다. 또한 지난 설날 특집으로 한국방송에서 멕시코와 한국과의 문화적 동질성 관련 방송을 했는데, 그때 취재한 한국방송 관계자가 취재를 하기도 했다. 강의가 끝나고 박정학 한배달 이사장과 인하대 복기대 교수가 보충 설명을 하기도 했다. 질문도 이어졌다. 한성대의 아무개 교수는 고구려 개국지와 관련하여 질문했고 복기대 교수가 자신 있게 답변을 해주었다. 남 교수는 자신의 이러한 연구 성과는 시작에 지나지 않는다고 했다. 또한 한계도 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다 같이 더 연구를 하자고 제안했다.

▲ 남의현 교수가 비정한 고려시대까지의 압록수와 평양성의 위치도.

새롭게 해결되어야 할 과제...

이 날 강의에서 한계를 지적하는 질문도 있었다. 고려시대까지 현재의 요양이 평양(서경)이라고 했는데 <요사>지리지의 동경도 편에는 동경도의 치소가 요양으로 나온다는 것이다. 이는 요나라 동경도의 치소와 고려의 서경이 같다는 의미다. 있을 수 없는 모순이 생긴다.

또한 요양 서쪽의 요하를 건너 조양 또는 의무려산 근처가 고구려의 첫 도읍지인 홀승골성 또는 졸본이라고 <삼국사기> 지리지에 나온다. <삼국사기>고구려본기에 따르면 고구려 초기 대무신태왕부터 마지막 보장태왕까지 고구려 태왕들은 이곳 졸본에 있는 시조 묘에 제사를 지내러 간다. 어떤 때는 1달까지 머물다 온다. 고구려가 문 닫을 때 까지 이곳에 꾸준히 제사지내러 갔다는 얘기는 요하를 넘어 조양지역도 고구려 땅이었다는 얘기다. 그런데 고구려 수도 평양은 요하 동쪽에 두고 시조 묘는 적국에 더 가까운 요하 서쪽에 둔다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주최 측 이민화 교수는 다음 달 강에서 설명이 될 것이라고 했다. 다음 특강은 서기2017.3.13. 같은 장소에서 ‘고려의 서경은 어디?’ 라는 주제로 인하대 고조선 연구소 윤한택 교수가 강의를 맡는다.(1)

 

 

 

 

 

황순종

 

 

 

고대사학계의 거짓말 잔치(43) 고구려의 압록수와 평양은 현 압록강과 평양 아니다!

"『삼국사기』는 동천왕이 옮긴 평양을 지금의 평양으로 보지 않았으나, 훗날 장수왕이 천도한 고구려의 마지막 도읍 평양에 대해서는 지금의 평양으로 인식하여 “평양은 서경인 것 같고 패수는 대동강이다.”라고 썼다. 그러나 고구려의 평양은 한 번도 지금의 평양에 있은 적이 없었고, 대륙에 있었다. 이를 수ㆍ당나라의 고구려 침략 기록을 통해 밝히겠다.

▲ 고구려 시기의 압록수, 살수, 평양, 사비성 위치

고구려 때의 ‘압록수’는 현 요하
중국의 수나라가 남북을 통합한 후 양제는 612년에 2백 만 대군으로 고구려에 쳐들어왔다. 수나라의 9군은 요수를 건너 요동에 이른 뒤 ‘압록수의 서쪽’에 재집결했는데 을지문덕 장군이 압록수를 건너와 거짓 항복하겠다고 속이고 다시 압록수를 건너 돌아왔다. 수나라는 뒤늦게 속은 것을 알고 압록수를 건너 추격했는데, 이때의 상황을 『삼국사기』‘영양왕’ 조에 이렇게 기록했다.

“(수나라 군대는) 동쪽으로 나아가 살수를 건너 평양성에서 3십 리 되는 곳에 산을 의지하여 진영을 펼쳤다.”

매국사학에서는 이 압록수를 당연히 지금의 압록강으로, 그리고 살수를 청천강으로 보고 있으며, 각 급 학교에서 모두 이렇게 가르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혀 위 기록과 맞지 않는 반도사관에 불과하다. 수나라 군사가 ‘압록수의 서쪽’에 집결했다고 했는데, 만약 압록수가 지금의 압록강이었다면 동서로 흐르는 압록강의 서쪽이 아니라 북쪽에 집결했다고 해야 된다. 또 수나라 군대가 압록수를 건너 ‘동쪽으로’ 나아가 살수를 건넜다고 했다. 살수가 만약 청천강이라면 압록강을 건넌 후 동쪽이 아니라 ‘남쪽으로’ 진격해야 이르게 됨은 삼척동자도 알 수 있는 일이다.

위의 압록수는 지금의 랴오허(遼河)를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수나라 군대가 남북으로 흐르는 이 랴오허의 서쪽에 집결한 것이며, 또 이를 건너 동쪽으로 진군하여 살수에 이른 것이다. 『삼국유사』 ‘순도조려’ 조에 보이는 “요수(지금의 랴오허)는 일명 압록인데, 지금은 안민강이라 부른다.”고 한 기록에서 랴오허를 이전에 압록수라 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의 평양은 현 북한의 평양 아니다!
그리고 또 수나라 군대가 동쪽으로 살수를 건너 평양성에서 3십 리 되는 곳에 머물렀다고 했다. 그러므로 고구려의 마지막 도읍인 이때의 평양은 살수의 동쪽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결코 청천강의 남쪽인 지금의 평양이 될 수 없음도 자명하다.

이를 증명하는 기록이 또 하나 있다. 수 양제는 거듭된 패전에도 불구하고 614년에 3차 원정에 나섰으며, 이때 수나라 수군 대장 내호아는 비사성으로 진격했는데 이에 관하여 ‘영양왕’ 조에 이렇게 기록했다.

“내호아가 비사성에 이르자 우리 군사가 맞아 싸우니 내호아는 이를 쳐 이기고 장차 평양으로 향하려고 하였다. 왕이 두려워하여 사신을 보내 항복을 청하고 ··· ”

여기의 비사성은 지금의 랴오허 동쪽, 발해의 동북쪽 모서리에 있는 하이청(海城)을 말한다. 매국사학에서는 지금의 랴오허(요하)를 옛 요수로 간주하여 그 강이 고구려와 수나라와의 경계였던 것으로 우기지만 두 나라의 국경인 옛 요수는 지금의 랴오허가 아니라 훨씬 더 서쪽인 지금의 베이징 부근을 흐르는 강이었다.

그러므로 양제가 처음베이징 부근의 국경인 요수를 건너 압록수(지금의 랴오허)까지 진격하여 군사들을 그 서쪽에 재집결시켰고, 수군대장 래호아가 랴오허 하류의 비사성(지금의 하이청)에 상륙한 것은 평양성을 공략함에 가장 가까운 곳으로 상륙했을 것이다.

따라서, 평양성은 랴오허와 살수의 멀지 않은 동쪽, 비사성으로부터도 멀지 않은 북쪽에 있어야 하는데, 최근 강원대 남의현 교수는 요양이 당시의 평양이었다고 밝혔다. 만에 하나라도 평양이 지금의 평양이었다면 내호아는 당연히 대동강으로 상륙하지 거기서 멀리 떨어진 요하 입구로 상륙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다. 고대사학계에서는 이렇게 명확한 것조차도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2)
 
 

 

 

 

 

<주>

 

 

(1) 고대 압록강은 어디인가?  - 코리아 히스토리 타임스 (koreahiti.com)2017.02.14

 

 

 

(2) 고구려의 압록수와 평양은 현 압록강과 평양 아니다!  - 한국NGO신문 (ngonews.kr) 2017.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