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몬 (2)
력사를 찾아서

《환국-가사라국》 6. 환국과 신석기문화(23) 6.23 부산 가덕도 장항유적; 7200년 전~6400년 전(BP 7200년~BP 6400년) 가덕도 신석기유적은 BC5,000년~BC4,000년 무렵에 해당하는 묘역시설로 BC6,000년까지 즉 8,000년 전 무덤으로 보기도 한다. 총 48구의 인골이 나왔다. 옥제품 6점과 흑요석도 출토되었다. 『남해안지역 신석기사람들 기원전 8,000년을 전후하여 시작한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는 토기의 발생, 석기 제작 방법의 변화, 새로운 도구가 등장하는 시기이다. 빙하기(홍적세洪績世)를 지나 간빙기(충적세沖積世)로 접어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인류는 정주생활을 선택하였고, 새로운 도구를 이용한 기술의 발달은 구덩식집자리(竪穴住居址), 야외 화덕(野外爐址),..

《만주와 한반도 12,000년 전~ 2,000년 전 년대기》 2.6 제주 고산리유적(2) 2008년 7월 25일자 경향신문 기사 〈[고고학자 조유전과 떠나는 한국사 여행](6) 1만 년 전의 세계 제주 고산리(下)〉 『1만1000~1만 년 전 제주로 내려온 사람들이 있었다.후기 구석기 최말기(세형돌날문화)~신석기 여명기(고토기문화)를 산 경계인들이었다. 출발지는? 고산리 신석기 유적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강창화(제주문화예술재단)는 지금의 아무르 강 유역이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식물성 고토기의 모양이 아무르강 유역의 그것과 매우 흡사한 점을 꼽는다. 그들은 어떻게 이 머나먼 제주 땅까지 왔을까. ■ 육지였던 황해 “일단은 1만 년 전의 기후나 지형을 한 번 살펴봐야겠지.”(조유전 토지박물관장)“예, 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