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구석기시대 (5)
력사를 찾아서
예술 활동을 하는 인간의 모습은 유럽에서 3만 년 전에 시작되었다는 견해가 정설이었다. 하지만 유럽이 아닌 곳에서, 후기 구석기 이전에도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이상희의 모험-사라진 인류를 찾아서] ■ 7만4000년 전 동굴벽화가 준 충격시사IN, 이상희 (캘리포니아 대학 리버사이드 캠퍼스 인류학과 교수)2019.01.16 호수 591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특징에는 예술이 빠질 수 없지요. 인간은 언제부터 예술 활동을 했을까요? 학계에서 오래도록 두루 동의한 예술의 기원은 유럽의 후기 구석기 문화입니다. 유럽의 후기 구석기 문화가 왜 특별한지 알려면 그 이전까지의 문화를 이해해야 합니다. 인류가 석기를 만들어 쓴 자료가 분명히 남아 있는 것은 대략 200만 년 전부터입니다. 물론 그 이..
구석기시대라고 하면 보통 우리는 미개한 원시인이 돌을 깨 돌칼이나 돌망치를 만드는 모습을 떠올린다. 문명은 토기를 사용하며 마을을 일군 신석기시대부터 시작해, 5000년 전 거대한 신전과 도시를 세우고 글자를 사용한 4대 문명에서 꽃을 피운 걸로만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선입견을 깨부수는 여러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이 발견되고 있다. 터키 남부에서 발견된 대형 신전인 1만5000년 전에 만들어진 괴베클리 유적과 동아시아에서 2만년 전에 발견된 토기가 그 좋은 증거이다. 구석기시대에서 나왔다고는 선뜻 믿기 어려운 유적이 계속 발견되면서 이제 고대 문명의 기원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있다. ■ [책과 생각] 강인욱의 테라 인코그니타②구석기시대 문명문명은 갑작스러운 발명품이 아니다. 후기 구석기시대 현생인류..

《만주와 한반도 12,000년 전~ 2,000년 전 년대기》 2.6 제주 고산리유적(3) 2008년 7월 18일자 경향신문 기사 〈[고고학자 조유전과 떠나는 한국사 여행](5) 1만 년 전의 세계 제주 고산리(上)〉 『구석기와 신석기의 경계를 풍미한 맥가이버들1987년 5월 어느 날. 제주도 서쪽 끝 마을인 북제주군 한경면 고산리. 흙을 갈고 있던 마을주민 좌정인(左禎仁)씨가 돌 두 점을 주웠다. 고개를 갸웃거렸다.“이게 뭔고?”고구마처럼 생긴 돌이었는데, 예사롭지 않았다. 좌씨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 돌 두 점을 집으로 가져갔다.“(윤)덕중아, 이 돌들이 이상하게 생겼는데 한번 봐라.”마을엔 제주대 사학과에 다니던 윤덕중이란 학생이 살고 있었는데, 그에게 이 심상치 않은 돌을 보여준 것이다. 윤..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 1. 후기 구석기시대 강인욱은 ‘강인욱의 테라 인코그니타’ 〈문명은 구석기시대에 시작되었다.(2018.12.14.) 〉 라는 글에서 문명은 후기 구석기시대 현생인류가 등장하면서 천천히 걸어온 과정에서 발달한 것이라고 하면서, 터키 남부에서 발견된 대형 신전인 1만 5000년 전에 만들어진 괴베클리 유적과 동아시아에서 2만 년 전에 발견된 토기가 그 좋은 증거라고 제시하였다. 『[책과 생각] 강인욱의 테라 인코그니타②구석기시대 문명문명은 갑작스러운 발명품이 아니다. 후기 구석기시대 현생인류가 등장하면서 천천히 걸어온 과정에서 발달한 것이다. 마치 겨울에 뿌린 씨앗이 봄여름에 꽃을 피우듯 후기 구석기시대부터 일구어낸 인간의 진화가 이어진 것이다. 터키 남부에서 발..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 목차 1. 후기 구석기시대1. 1 세계의 후기 구석기시대1. 2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2. 기후와 지형2. 1 기후2. 2 지형2. 3 만주와 한반도의 지형 3. 현생인류3. 1 현생인류의 이동3. 2 만주와 한반도의 현생인류 4.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4. 1 5만 년 전 이전4. 1. 1 평안남도 덕천 승리산 동굴유적 - 덕천인4. 1. 2 평양 력포구역 대현동 동굴유적 - 력포인 4. 2 50,000년 전~40,000년 전4. 2. 1 평양 상원군 룡곡동굴유적(龍谷洞窟遺蹟) -룡곡인(49,000년 전~46,000 년 전)4. 2. 2 요녕성 해성시 소고산유적 -소고산인(40,000±3500 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