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규원사화 (4)
력사를 찾아서

《대동사강》(大東史綱)은 1929년에 김광(金洸)이 쓴 책으로, 단군조선에서 대한제국 순종 황제까지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근거가 되는 사료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규장각학사 민경호(閔京鎬)의 서문에 의하면, 역사와 야승을 수 년간 모아 엮었다고 한다. 오진영(吳震泳)이 교정을 보았다. 출간사항 1929년(쇼와 4년), 대동사강사에서 상·하 2권으로 출간되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상권 1권과 하권 2권이 보관되어 있다. 1974년, 경문사에서 상·하권을 합본하여 출간하였다. 권초에 '동국역대제왕전수통도(東國歷代帝王傳授統圖)'가 그려져 있다. 이에 따르면, 기씨조선 이후로는 기씨조선, 한, 부여, 예, 맥, 옥저, 숙신 등의 여러 나라로 나뉘었으며, 이들이 서로 합쳐지고 나뉘면서 단씨조선-기씨조선-마한..
《환국-가사라국》 4. 환인은 누구인가?(4) 《규원사화》에도 환인이 나온다. 《규원사화》는 북애노인이 병자호란(1636년~1637년)이 끝나고 약 40년 뒤인 1675년(숙종 원년)에, 고려 말 이명이 지은 《진역유기》를 참조하여 지은 사서이다(이명은 고려 초 발해 유민이 쓴 《조대기》를 토대로 《진역유기》를 지었다고 한다). 이맥이 지은 《태백일사》보다 약 150년 뒤에 지어진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은 1945년 규원사화를 구입하였고 1972년 11월 고서심의위원인 이가원, 손보기, 임창순 3인이 조선 중기에 쓰인 진본임을 확인하고 인증서를 작성하였다. 고려대본, 동국대본(권상노(權相老) 소장본을 필사), 서울대본(방종현(方鍾鉉) 소장본을 등사), 등 다른 필사본도 전해지고 있다. ..
북애자(北崖子)는 조선후기 『규원사화』의 저자로 알려진 은사(隱士)이다.북애는 별호이며, 본명 등은 미상이다. ≪규원사화 揆園史話≫의 자서(自序)에 따르면, 그는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실의에 빠져 전국 각처를 순방하였다. 이 때 지리와 역사, 특히 우리의 잃어버린 상고사나 그 강역(疆域)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그의 저서로 전하여지고 있는 ≪규원사화≫는 고려 말 공민왕 때에 이명(李茗)이 지은 ≪진역유기 震域遺記≫와 중국의 사서(史書)를 참고로 하여 단군고사의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고조선의 실존과 그 고증에 기여하기 위하여 저술한 것이다. 그는 모화사상에 물들어 사대주의만을 능사로 알았던 그 당시 통치자들의 기존 역사관을 과감히 비판하고 새로운 민족사관을 제시하려고 한 것이다.(1) ..

■ 고조선 이전 태백산 아래 환인·환웅의 배달국 있었다. 한민족 역사와 관련한 기록에 처음 나타나는 나라와 통치자라 할 수 있는 이름은 ‘환국(桓國)’ ‘환인(桓因)’이다. 아직까지 유적이나 유물, 관련 사서들에 의해 나라의 존재 시기나 위치 등을 확증할 수는 없으나 여러 사서에서 이 이름에 대한 기록들을 남기고 있다. 따라서 한민족 상고 역사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땅 넓이 남북 5만리, 동서 2만리…중국은 ‘동북공정’ 역사침탈 기록이 말하는 환국의 역사 고려 충렬왕 때 일연(1206~1289년)이 지은 에서는 다음과 같이 고조선 이전에도 나라 또는 통치자가 존재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옛 기록에 이르기를, 옛적에 환인(桓因)이 있었다(제석을 이른다). 서자부에 환웅께서 계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