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실학 (3)
력사를 찾아서

유교사학이 중화사관이라는 틀 속에 우리 역사를 최초로 집어넣은 사건은, 신채호가 "조선역사상 일천년 이래 제일 대사건"이라고 표현했던 고려중기 서경천도운동(1135)과 그 실패 과정에서 드러난 선도(仙道:선불습합) 세력과 유교 세력의 대충돌 사건이 일어난 시기에 이루어졌다. 승리하여 정치권력을 장악한 유교 세력은 문신을 중심으로 하는 유교정치 표방을 합리화하고 유교사관 확립을 도모하였다. 한국사를 유교사관으로 해석한 삼국사기를 편찬하면서 배달국과 단군조선을 역사기록에서 배제하고 신라를 중심으로 삼국사를 서술함으로써 한민족의 역사인식을 송두리째 바꾸고자 하였다. ■ [기고] 선도 홍익사관의 전승 과정 연구(4) 고대사 중심무대를 한반도로 축소한 김부식과 중화사관 도입K스피릿 입력 2022.05.16 1..

이종휘는 조선후기 『동사』, 『수산집』 등을 저술한 학자이다. 1731년(영조 7)에 출생하여 1797년(정조 21)에 사망하였다. 자는 덕숙이고 호는 수산이다. 조선 후기 양명학자로서 주자학의 폐쇄성을 비판하였으며, 『동사(東史)』를 저술하였다. 『동사』에서는 단군에서 후조선으로 이어지는 민족의 기원을 확인하고 부여, 발해를 중시하여 만주 땅을 고토(故土)로 인식하였다. 특히 고구려를 역사 계승의 중심축으로 삼아서, 도학적 역사관의 중화주의적 의리사관과 구별되는 민족사관의 단초를 볼 수 있다. 문집으로 『수산집』이 있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숙(德叔), 호는 수산(修山). 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이정철(李廷喆)이다. 조선 후기 양명학자로서 주자학의 폐쇄성을 비판하였으며, 역사서인 『동..

[박석무의 실학산책] 성호 이익의 간쟁론2022. 11. 3. 00:39박석무 다산학자, 우석대 석좌교수 고전을 읽으면 현재도 보이고 미래도 예측할 수가 있다. 현재나 미래와 무관한 옛날의 책을 모두 고전이라고 할 수 없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세상일이 제대로 보이지 않고, 풀리지 않는 일로 나라와 백성에 대한 근심을 떨칠 수 없을 때에는, 고전을 읽어서 옛날·현재·미래에 대한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찾아내는 경우가 있다.그래서 요즘 나는 고전을 자주 들여다보고 있다. 까맣게 잊어버린 내용들을 다시 기억해내면서 다시 읽는 고전의 재미는 쏠쏠하다. 특히 조선 후기 실학자들인 반계·성호·연암·다산 등의 대학자들의 저술은 대부분 고전인데, 그런 책을 읽으면서 오늘의 난제들을 풀어보는 지혜를 얻고 싶은 심정에서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