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라시아 (2)
력사를 찾아서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 3. 현생인류 3.1 현생인류의 이동(아래 인용한 론문의 잉글리쉬 원문은 구글 번역을 바탕으로 번역하였음.) Stanyon et al.(2009)은 현생인류의 이동을 다음과 같이 보았다. 『동아시아로의 이주 날짜를 60,000년 전으로 되돌려 놓는 것은 인류의 분산에 대한 세계적 시나리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아프리카에서의 최초 이주와 인도 대륙 정착에 대한 가능한 가장 빠른 날짜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아프리카에서 현생 인류 기원의 시간 추정은 에티오피아에서 고생물학적 발견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처럼 150,000년에서 200,000년 전 사이로 올라간다. 아프리카 밖으로 나온 뒤에 해안길을 따른 이주에 대한 대부분의 시기는 50,000년에서 77,000년..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 2. 기후와 지형 2. 1 기후 후기 구석기시대(5만 년 전~1만 년 전)는 빙하기였다. 빙하기는 4만 년 또는 10만 년 주기로 지속되다 1만 년 또는 2만 년 주기로 간빙기가 있었고 마지막 빙하기는 약 11,500년 전에 끝났다고 한다. 25,000년 전부터 15,000년 전 사이가 가장 추워서 이때를 빙하기최고점(last glacial maximum, LGM)이라고 한다. LGM때 세계의 많은 지역은 춥고 건조하며 잦은 폭풍과 먼지가 많은 대기 상태였다. 먼지 수준은 현재보다 20배에서 25배까지 높았다. 후기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빙하기의 추위를 특히 빙하기최고점 때 살던 사람들은 가장 혹독한 추위를 견뎌낸 것이다. 조천호 국립기상과학원장은 〈문명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