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

3. 현생인류

3.1 현생인류의 이동

Stanyon et al.(2009)은 현생인류의 이동을 다음과 같이 보았다.

 

동아시아로의 이주 날짜를 60,000년 전으로 되돌려 놓는 것은 인류의 분산에 대한 세계적 시나리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아프리카에서의 최초 이주와 인도 대륙 정착에 대한 가능한 가장 빠른 날짜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아프리카에서 현생 인류 기원의 시간 추정은 에티오피아에서 고생물학적 발견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처럼 150,000년에서 200,000년 전 사이로 올라간다. 아프리카 밖으로 나온 뒤에 해안길을 따른 이주에 대한 대부분의 시기는 50,000년에서 77,000년 전으로 잡고 있는데 그러나 이것은 지금 너무 늦은 것 같다. 중동에는 약 92,000년 전 현생 인류의 고생물학적 증거가 있고, 집단이 예상대로 작다면 아마 100,000년 전에라도 훨씬 더 일찍 아프리카에서 나온 시기를 진지하게 고려해야 한다. 아프리카 집단에 대한 더 좋은 표본 추출로 아프리카 밖으로 이주 및 경로가 여러 개 있었는지의 질문에 대해 답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인간 사이에 전세계적으로 제한된 유전적 다양성으로 인해 연구자들이 그러한 가능성을 배제하게 되었고 겨우 소수의 사람들 아마도 총 600명의 창립자 여성이 관여하였다고 제안한다.

 

 

 

초기 인류 이주 경로 및 년대의 간단한 시나리오. 현생 인류는 아마도 약 200.000년 전(200 KYA)에 아프리카에서 기원하였다. 아프리카 밖으로 나온 경로는 하나 또는 여러 경로가 가능하지만 관련 인원수는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여성은 겨우 600명이다. 이주는 아마도 해안길을 따라 갔고 인디아에 약 70,000년 전에 도착하였다. Shi et al. 은 인류가 약 60,000년 전 동남아시아에 도착한 후 북쪽으로 이동하여 동북아시아와 일본을 점유했다고 제안한다.

 

동아시아로의 이주 경로는 인디아 대륙을 통과해야 한다. 현재 인디아의 유전적 다양성은 아프리카 다음으로 두 번째인데 인간이 아프리카를 떠난 직후의 정착을 의미한다. 아프리카로부터 유라시아를 거쳐 인디아로 분산은 45,000년과 59,000년 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종종 이전에 추정했지만, 66,000년에서 70,000년 전이라는 최근 제안이 Shi et al. 의 추정에 더 일치한다. 유전자 표지와 동아시아 조기 정착 날짜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인간 정착에 대한 현재의 추정치가 약 55,000년 전이기 때문에 동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 독자적으로 이주하여 거주하였다는 가설을 또한 뒷받침한다. 동북아시아에 30.000년 전 이전에 정착하였다는 Shi et al. 의 추정은 또한 인간이 북아메리카에 진입하는 시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은 현재 16,000년 전이라고 제기되었지만 너무 짧게 잡은 것일 수 있다.』

(출처; Stanyon, R., Sazzini, M. & Luiselli, D. Timing the first human migration into eastern Asia. J Biol 8, 18 (2009) doi:10.1186/jbiol115)

 

Xue et al.(2006)은 동북아시아 집단은 모두 빙하기 최고점인 21-18 KYA(천 년 전) 이전인 34,000년 전과 22,000년 전 사이에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동남아시아 집단은 모두 18,000년 전에서 12,000년 전 사이에 확장되기 시작했지만 더 빠르게 성장했다고 보았다. 북부 집단은 매머드 스텝지대의 매머드같은 거대동물을 풍부하게 잡아먹을 수 있었기 때문에 더 일찍 확장할 수 있었고 남부 집단은 더 따뜻하고 안정된 기후로 덩이 줄기같은 식물 자원이 더 풍부해질 때에만 증가할 수 있었다고 제안하였다.

 

한편 Y염색체 하플로그룹의 지리적 분포가 크게 차이가 있다고 한다. haplogroup O(56%)의 전반적인 우세에도 불구하고, 북쪽에 C N, 서쪽에 P J, 동쪽에 O2b  O1*, O2*, 남쪽에 O3d특정 haplogroup은 각 지리적 영역에 집중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Y염색체 haplogroups의 지리적 분포. (A)표본 집단. (B-E) Haplogroups는 주로 북부(B), 서부(C), 남부(D) 및 동부(E) 분포를 보여주는 것으로 분류됩니다. (F)가장 일반적인 haplogroup의 전체 주파수, O.

(출처; Yali Xue, Tatiana Zerjal, Weidong Bao, Suling Zhu, Qunfang Shu, Jiujin Xu, Ruofu Du, Songbin Fu, Pu Li, Matthew E. Hurles, Huanming Yang and Chris Tyler-Smith, Male Demography in East Asia: A North–South Contrast in Human Population Expansion Times

GENETICS April 1, 2006 vol. 172 no. 4 2431-2439; https://doi.org/10.1534/genetics.105.054270)

 

Zhong.et. al(2011)은 동아시아인 주요 하플로그룹 이외에 다른 하플로그룹의 북부 경로를 통한 이주와 각 하플로그룹의 STR 변이 연령대를 제안하였다.

 

우리의 데이터에는 공개된 동아시아 Y-haplogroup 데이터와 함께, 동아시아인 Y염색체의 92.87%를 차지하는 4개의 지배적인 하플로그룹(haplogroup), O-M175, D-M174, C-M130 (C5-M356 제외)  N-M231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데 이는 동아시아의 현대 인류 기원의 제안된 남부 경로와 일치한다.

 

그러나 다른 haplogroups ( 6.79 %) (E-SRY4064, C5-M356, G-M201, H-M69, I-M170, J-P209, L-M20, Q-M242, R-M207  T-M70)은 주로 동북아시아인 집단에서 발견되었으며, 계통학적 분석에 근거하여 중앙-남아시아 및 / 또는 서유라시아 유래로 확인되었다. 특히, 지리학적 분포와 Y 염색체 짧은 탠덤 반복 (Y-STR) 다양성의 증거는 haplogroup Q-M242 (아메리카 원주민 특정 haplogroup Q1a3a-M3의 조상 haplogroup) R-M207이 아마도 북부 경로를 통해 동아시아로 이동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haplogroups 내의 Y-STR 변이의 나이 추정치는 최근의(~3 Ka) 인구 혼합뿐만 아니라 북부 경로를 통한 후빙기(~18 Ka) 이동의 존재를 제시한다. 우리는 남부 경로를 통한 구석기 시대 이주가 동아시아 현대 인간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동남아시아인과 동북아시아 집단 사이의 유전적 차이를 부분적으로 설명하는 WE으로부터 제한적이지만 고대에 기여가 있었다는 것을 제안한다.

 

CSA WE 관련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동아시아인 남성의 6.79%를 차지하고 구조적 분포를 보였다. 그들은 주로 북서부 동아시아에서 발생하고 북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점차 감소한다. 반면에 하플로그룹 C, D, O(18.78-50.62 Ka) STR 변이 연령대와는 달리, CSA- WE- 관련 하플로그룹과 하위 하플로그룹은 2.72Ka부터 23.11 Ka까지 상대적으로 젊은 연령대를 보였다. CSA WE와 관련된 19개 하플로그룹과 하위 하플로그룹 중 대다수는 9.68-17.83 Ka에 이르며, CSA WE로부터 북부 경로를 통한 NEAS로의 고대 이주를 암시하며 이는 빙하기 최고점 이후에 발생했을 것이다.

 

게다가 모계로 유전된 mtDNA는 동아시아에서 Y 염색체와 유사한 분포 패턴을 보였다. 동아시아 고유의 mtDNA 하플로그룹은 SEAS NEAS 집단 모두에서 널리 퍼져 있는데, 반면 서유라시아 특정 mtDNA 하플로그룹은 주로 NEAS에서 특히 위구르와 후이에서 발생한다. 또한 이들 서유라시아 mtDNA haplogroup은 북아시아에서 빙하기 이후의 확산을 보여준다. 따라서 Y염색체와 mtDNA 데이터는 남부 경로를 통한 현생 인류의 구석기시대 이주가 현재의 동아시아인에게 큰 기여를 한 반면, 북부 경로를 통한 빙하기 이후의 이주는 현재의 NEAS 집단에 기여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Ages of Y-STR Variation within Y Chromosome Haplogroups

Haplogroup  Age ± Standard Error (n) in thousand years ago 
F2M427a  2.42 ± 1.96 (15) 
G1M285b  14.79 ± 4.77 (7) 
G2aP15b  14.58 ± 2.90 (66) 
H1M52b  9.68 ± 2.07 (167) 
J1M267b  23.11 ± 11.34 (344) 
J2aM410b  17.83 ± 4.63 (176) 
J2a1M322b  5.18 ± 2.42 (7) 
J2a2M67b  12.89 ± 2.39 (52) 
J2a8M319b  8.05 ± 4.44 (18) 
J2bM12b  12.14 ± 2.58 (69) 
J2b2M241b  13.86 ± 3.15 (49) 
L2M317b  12.45 ± 2.47 (6) 
L3M357b  7.93 ± 2.43 (24) 
Q1a1M120a  15.42 ± 7.25 (61) 
Q1a2M25b  2.72 ± 1.24 (5) 
Q1a3*M346b  17.77 ± 4.41 (13) 
R1a1*M17a  15.37 ± 3.46 (84) 
R1bM343b  17.35 ± 4.53 (338) 
R2M124b  11.73 ± 1.67 (100) 
TM70b  15.40 ± 1.35 (14) 
C1M8a  9.96 ± 3.54 (20) 
C3*M217a  18.78 ± 4.19 (374) 
C3cM48a  9.31 ± 2.85 (18) 
C3dM407a  9.47 ± 2.71 (22) 
C3eP53.1a  4.83 ± 2.34 (15) 
D*M174c  50.62 ± 16.60 (44) 
D1M15a  32.67 ± 6.28 (233) 
D2M57a  16.27 ± 3.33 (106) 
D3P47a  12.97 ± 3.35 (282) 
O1a*M119d  35.05 ± 4.58 (346) 
O1a2M110d  39.93 ± 11.55 (21) 
O2a*M95d  41.10 ± 7.61 (343) 
O3*M122a  37.24 ± 4.56 (27) 
O3a*M324a  39.29 ± 5.03 (355) 
O3a3bM7a  41.74 ± 7.00 (88) 
O3a3c1*M133a  29.23 ± 5.47 (242) 
O3a3cM134a  35.32 ± 4.66 (139) 

NOTE.—The numbers (n) in brackets are sample size.

a ;Including East Asians only.

b ;Including individuals from East Asia, CSA, and WE.

c ;Including East Asians and Andamanese.

d ;Including East and Southeast Asians.

(출처;Hua Zhong, Hong Shi, Xue-Bin Qi, Zi-Yuan Duan, Ping-Ping Tan, Li Jin, Bing Su, Runlin Z. Ma, Extended Y Chromosome Investigation Suggests Postglacial Migrations of Modern Humans into East Asia via the Northern Route,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Volume 28, Issue 1, January 2011, Pages 717–727, https://doi.org/10.1093/molbev/msq247)

 

 

Zheng, Hong-Xiang et al.(2011)은 주요 mtDNA 계통 D4, D4b2b, D4a, D4j, D5a2a, A, N9a, F1a1'4, F2, B4, B4a, G2a1  M7b1'2'4 등이 모두 동아시아에서 10kya 이전에 즉 신석기시대 이전에 발생했다고 제안하였다.

 

우리는 주요 mtDNA 계통이 확장을 겪었으며 두 개의 일본인 특정 계보를 제외하고, D4, D4b2b, D4a, D4j, D5a2a, A, N9a, F1a1'4, F2, B4, B4a, G2a1  M7b1'2'4 를 포함하여 모두 10kya 이전에, 즉 동아시아에서 신석기시대 이전에 발생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관찰에 따라 추가 분석에 의하면 동아시아 인구 증가는 13 kya에서 시작하여 4 kya까지 지속되었다. 결과는 동아시아의 인구 증가가 농업 도입의 필요성을 구성했으며 농업의 추가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 중 하나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세 가지 다른 방법(두 가지 ρ 통계 기반 방법과 하나의 베이지안분석)으로 추정된 시간은 JPT 특정 클러스터(D4b2b1 and M7a1a)를 제외하고, 다른 모든 별 모양의 클러스터(D4, B2b, D4a, D4j, D5a2a, A, N9a, F1a1'4, F2, B4, B4a, B4a, B4a, B4a, B4a, B4a, G2a1, M7b1'2'4)는 신석기 시대보다 앞서는 10 KYA 이전에 합쳐졌고 ~6 KYA에 확장했다는 것을 보여 준다. 특히 D4 B4 LGM 이전에 확장되었다. 이러한 관측은 소수의 mtDNA 계보(A11, M9a'b, F1C)  Y 염색체 계보에 대한 앞선 추정과 일치한다.

 

계보 확장의 패턴은 또한 15 KYA 이후 동아시아에서 심각하고 널리 퍼진 인구 병목 현상이 없었으며, 심지어 LGM 이전의 D4  B4 클래드는 20kya 이전에 동부 유라시아에서 확장되었기 때문에 병목 현상이 없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증거를 제공한다. 게다가 D4 클레드가 동아시아 북부에 더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D4가 북중국의 수많은 고고학적 유적지에 따라 LGM때 살아남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 연구에서 다른 모델 설정을 사용한 BSP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동아시아에서 매우 오랜 시간 동안 주요 집단 확장이 지속되었다는 것을(13-4 kya)을 입증하였다. 이 확장은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한 후, 즉 신석기 시대와 농업의 출현 이전인 LGM 이후에 시작되었다. 따라서 우리는 LGM 이후의 집단 성장으로 농업 도입이 필요하게 되고, 집단 규모의 지속적인 성장은 농업의 발전을 이끌고 농업을 보충 식품 공급원에서 주요 식품 공급원으로 전환시키는 원동력 중 하나였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동아시아인이 약 8 kya에 신석기 시대로 들어서자 농업은 인구 증가의 가능성을 제공했다. 우리의 결과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해석은 현재의 고고학 지식에 모순되는데 농업이 8 kya 이전에 나타났다는 것이다.』

 

Age estimations of each cluster with distinct expansion in East Eurasians.

Haplogroup n ρ method with Soares complete genome ratea ρ method with Soares synonymous rateb Bayesian MCMC by BEASTc
T(kya)± σ(ky) T(kya)± σ(ky) T(95%CI)(ky)    
D4 70 26.66±2.78 31.3±5.54 26.86 (19.34, 34.82)
D4b2b 14 12.37±2.34 14.61±5.21 14.2 (10.39, 18.49)
D4b2b1d 7 7.50±2.00 6.74±3.18 9.72 (5.9, 13.96)
D4a 12 14.06±3.19 15.08±5.68 14.99 (10.65, 19.66)
D4j 9 17.42±3.28 16.61±5.17 14.46 (9.61, 20.09)
D5a2a 10 14.76±3.51 11.8±6.24 13.4 (9.4, 17.75)
A 28 19.72±2.69 21.92±5.81 20.55 (13.24, 28.64)
N9a 21 16.84±3.05 17.61±5.34 16.54 (11.46, 21.94)
F1a1'4 11 17.71±4.21 15.02±5.30 12.97 (9.35, 16.8)
F2 12 20.92±3.16 22.30±5.71 15.78 (10.86, 21.38)
B4 42 36.24±3.23 40.10±7.27 37.57 (26.61, 48.94)
B4a 10 20.15±4.21 18.89±5.78 15.65 (10.8, 21.62)
G2a1 7 16.97±2.64 20.24±5.50 13.16 (8.93, 17.39)
M7a1ad 8 7.21±2.56 9.84±5.73 12.46 (7.75, 17.53)
M7b1'2'4 20 14.62±2.88 11.41±3.99 15.01 (11.02, 19.36)

(출처; Zheng, Hong-Xiang et al. “Major population expansion of East Asians began before neolithic time: evidence of mtDNA genomes.” PloS one vol. 6,10 (2011): e25835. doi:10.1371/journal.pone.0025835)

 

 

Wang. et al(2013) Y염색체 하플로그룹 C, D, N, O의 이주 경로를 다음과 같이 보여 준다.

 

 

 

동아시아에서 Y 염색체 haplogroup C, D, N  O의 이주. 점선은 대체 이주 경로를 나타낸다.

(출처; Wang, Chuan-Chao, and Hui Li. “Inferring human history in East Asia from Y chromosomes.” Investigative genetics vol. 4,1 11. 3 Jun. 2013, doi:10.1186/2041-2223-4-11)

 

 

Yan. et al(2014)는 수정된 현생 인류의 이주 경로를 다음과 같이 보여 준다.

 

 

 

수정된 현생 인류의 이주 경로. (a) 아프리카 밖 최초의 조상과 아시아의 초기 이주의 분열. (b) LGM 이전과 LGM 동안의 주요 하플로그룹의 출현. (c) 8 kya 이전의 현재 haplogroup 분포의 기초. (d) 신석기 시대 동아시아의 주요 집단 확장 사건과 현대 어족과의 관계.

 

(b) LGM 이전과 LGM 동안의 주요 하플로그룹의 출현의 확대 그림.

출처;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evised_migration_routes_of_modern_human_33-19_kya.png

 

 

 

(출처;Yan S, Wang C-C, Zheng H-X, Wang W, Qin Z-D, Wei L-H, et al. (2014) Y Chromosomes of 40% Chinese Descend from Three Neolithic Super-Grandfathers. PLoS onE 9(8): e10569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05691)

 

 

Jin, H., Kwak, K., Hammer, M.F. et al. (2003)은 한국인의 하플로그룹 분포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Haplogroup DE-YAP는 일본에서만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지만 한국의 2.5 %를 포함하여 동북아시아에서도 낮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이 염색체의 북쪽 기원을 암시한다. Haplogroup C-RPS4Y 711은 한국과 만주에 중간 빈도로 존재했다. 동남아시아 집단보다 많지만 동북아시아 집단보다 낮은데 이는 아마도 이 혈통의 몽골이나 시베리아로부터 북아시아 확장을 암시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주요 Y염색체 확장은 haplogroup O-M175(및 그 하위 계통)의 확장이다.  haplogroup은 동남아시아에서 시작하여 동아시아 전역으로 확장되었을 것이다. 한국인의 한 하위 계통인 haplogroup O-LINE1 (12.5 %)의 중간 빈도는 중국인 집단과의 상호 작용의 결과일 수 있다. 또 다른 하위 계보의 연령, haplogroup O-SRY+465  Y-STR 하플로타잎의 다양성은 원래 중국에서 한국을 통해 일본으로 비교적 최근에 이주한 남성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Y-염색체 haplogroups의 분포 패턴은 한국인의 복잡한 기원을 드러내는데, 이는 북아시아인의 정착과 관련한 유전적 기여와 주로 중국 남부에서 중국 북부로의 범위 확장에 기인한다.』

(출처; Jin, H., Kwak, K., Hammer, M.F. et al. Y-chromosomal DNA haplogroup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dual origins of the Koreans. Hum Genet 114, 27–35 (2003). https://doi.org/10.1007/s00439-003-1019-0)

 

Jin H-J, Tyler-Smith C, Kim W. et al(2009)에 따르면 한국인의 peopling은 초기에 북아시아인이 정착하고 그 다음에 동남아시아쪽에서 북쪽으로 이주(쌀농사의 확산과 관련 있음)한 것으로 보았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mtDNA 프로파일은 남부 기여가 적다고 제안되었지만 개별 haplogroup 분포의 분석과 집단 간의 유전적 거리 또는 분자 변화의 분석을 통해 다른 동북아시아인 집단과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Y- 염색체 데이터의 재분석은 다른 동북부 집단과의 전반적인 유사성 및 동남부 집단으로부터 더 큰 부계 기여 둘 다를 확인했다.

 

이 연구는 한국의 peopling은 초기에 북아시아인이 정착하고, 그 다음에 아마도 쌀농사의 확산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남성위주로 남쪽에서 북쪽으로의 이주로 해석되는 복잡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인류학적 및 고고학적 증거는 초기 한국인 집단이 남동부 시베리아의 알타이 산맥과 바이칼호의 일반 지역에 살고 있던 몽골 민족 집단과 관련이 있었다고 보여 준다. 한국의 건국 신화에 따르면 고대 조선은(한국의 첫 번째 국가 수준의 사회) 만주 남부 지역에 BC 2,333 년에 설립되었고, 나중에 한국 북서부의 평양 지역으로 옮겼다. 또한 고고학적 증거로 쌀 재배가 중국의 황하 및 / 또는 양쯔강 유역에서 도입되어 약 BC 1,000-2,000년에 한반도 대부분 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드러난다.

 

고전적 유전자 마커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은 동아시아인들 가운데 몽골인과 밀접한 유전적 친화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반면 Y-염색체 DNA 변이의 최근 조사는 한국인 집단은 동남아시아인과 동북아시아인 양쪽의 전형적인 계보를 포함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들은 만주족, 중국 남부의 윈난 중국인 그리고 베트남인과 유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mtDNA 풀의 가장 높은 빈도(23.8 %)는 하플로그룹 D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동북아시아와 특히 조선족(21.6 %)과 만주인(20.0 %)에 널리 퍼져있다. 전체적으로 하위 하플로그룹(D4, D4a, D4b, D5, D5a)을 포함한 haplogroup D 계보는 한국인 mtDNA pool 32.4 %를 차지했다. 또한, 한국인은 (하위)하플로그룹 A(8.1 %)  (하위) 하플로그룹 G(10.3 %) 계보에서 중간의 빈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주로 동북아시아와 동남부 시베리아에 널리 퍼져 있다. 다른 시베리아인 및 몽골인에 우세한 하플로그룹 C, Y, Z 계보는 한국 mtDNA 풀의 4% 미만을 구성한다. Haplogroups A5a Y2는 거의 독점적으로 한국에서 발견되었지만 매우 낮은 빈도로 존재했다.

 

전체적으로 이들 북부 하플로그룹은 한국인의 mtDNA 유전자 풀의 ~ 60 %를 차지한다. 또한 동남아시아인에서 우세한 mtDNA 계보인 (하위) 하플로그룹 B(14.6 %), M7(10.3 %), F(9.7)도 한국인 집단에서 중간의 빈도로 발견된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mtDNA 풀의 30% 이상이 남부 기원의 모계 계통에 기인한다고 제안한다. 우리는 또한 한국인 집단에서만 M7a1 haplogroup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하플로그룹 M7a는 일본과 한국에 제한되어 있다는 이전의 보고와 일치한다. 따라서 mtDNA haplogroups의 분포 패턴은 한국의 peopling이 여러 근원을 포함하고 있는 것 같다고 생각하게 한다.

 

우리의 연구는 한국인과 이웃 집단과의 유전적 관계를 유례없이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두 가지 중요한 결과가 나타난다. 첫째, 한국인은 전반적으로 동남아시아인보다 동북아시아인과 비슷하다. 이 결론은 인간 개체군에서 관찰된 유전적 변이와 지리학의 일반적인 상관관계로부터 기대될 수 있으며, 개별 mtDNA haplogroup의 검사, mtDNA 또는 Y 염색체 데이터로부터 유래된 개체군 간의 유전적 거리, 집단의 다른 그룹 사이의 유전적 다양성의 배분으로 뒷받침된다.

 

둘째, mtDNA Y염색체 분석의 결론이 다르다. 성에 편향된 혼합은 아프리카에서 반투어를 말하는 농부, 중국에서 한족 집단의 확산 또는 아메리카 대륙의 컬럼비아 이후의 peopling과 같은 인류 확장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한국에서의 영향은 미묘하지만, 동남아시아로부터 한국인 집단에 대한 기여도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컸는데, 이는 Y 염색체는 남부의 83% 기여도에 비해, mtDNA는 남부에서 35% 기여도의 혼합 추정치로 가장 명확하게 밝혀졌다.

 

동북아시아인들과의 우세한 유전적 관계는 다른 증거들과 일치한다. Xue et al.은 동북아시아인 집단은 수적으로 빙하기 최고점인 21-18 KYA 이전에 확장하기 시작하였고, 반면 동남아시아인 집단은 모두 그 이후에 확장하기 시작했는데 더 빠르게 성장했다고 보고했으며, 북부 집단은 "매머드 초원 (Mammoth Steppe)"의 풍부한 거대 동물들을 잡아먹을 수 있었기 때문에 더 일찍 확장했고, 반면 남부 집단은 기후가 더 따뜻하고 안정되어 덩이줄기와 같은 풍부한 식물 자원이 생길 때만 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었다고 제안했다.

 

이 기준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약 30 KYA에 확장한 것으로 보이고 다른 북부 집단과 비슷하다.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최초의 국가 사회인 고대 조선은 만주 남부 지역에 건국되었고, 나중에는 한반도 북서부의 평양 지역으로 옮겼다. 고고학 및 인류학 데이터를 기반으로, 초기 한국인 집단은 아마도 알타이 - 사얀의 북부 지역과 동남부 시베리아의 바이칼 지역에 기원이 있다.』

(출처; Jin H-J, Tyler-Smith C, Kim W (2009) The Peopling of Korea Revealed by Analyses of Mitochondrial DNA and Y-Chromosomal Markers. PLoS ONE 4(1): e421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04210)

 

Kim SH, Kim KC, Shin DJ, et al. (2011) haplogroups O2b*-SRY465 O2b1-47z가 이전에 예상한 것처럼 동남아시아나 일본보다는 동북아시아인 특히 선사 시대 한국인들에게 원래 기원이 있었다는 것을 지지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동아시아 인구가 남성 haplogroup 균질성을 특징으로 하며 haplogroup O-M175 계통의 주요 Y- 염색체 확장을 보여 주었다. 흥미롭게도 haplogroup O2b-SRY465의 높은 빈도(31.4 %) (및 그 하위 계통)는 한국인 남성의 특징인 반면 동아시아 인구의 다른 곳에서의 haplogroup 분포는 고르지 않다. haplogroup O2b-SRY465 혈통의 시대(~ 9,900 년)와 혈통의 변화 패턴은 동북아시아 인근 지역에서 고대 기원을 제안한 후 한반도 인근에서 확장되었다. 또한 haplogroup O2b1-47z의 나이에 대한 유착 시간 ( 4,400 년) Y-STR 다양성은이 계통이 아마도 한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암시한다.

 

이러한 발견은 언어학적, 고고학적, 역사적 증거와 일치하는데 이는 한국인의 직계 조상이 신석기 시대(BC 8000-BC1,000)와 청동기시대(BC1,500-BC 400) 동안 중국의 북동부 지역과 한반도에 거주했던 원-한국인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인은 지리적으로 동북아시아인 그룹이며 알타이어 사용 인구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인류학 및 고고학 증거로 초기 한국인은 알타이 산맥과 남동부 시베리아의 바이칼호 지역의 일반 지역에 거주하는 몽골 민족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초기 현생 인류 석기 문화는 알타이 산맥과 남동부 시베리아와 한반도에서 25,000년 전부터 45,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의 건국 신화에 따르면 고조선(최초의 국가 수준 사회)은 만주 남부 지역에 BC 2,333년경에 건립되었지만 나중에는 중국 북동부 지역에서 한반도 북부 지역까지 뻗어 나갔다. 따라서 고대 한국인 (원-한국인)은 신석기 시대(BC 8,000-1,000)와 청동기 시대(1,500-400 BC)에 남동부 시베리아와 만주의 일반 지역에 살고 있는 동북아시아 집단과 공통의 기원을 공유했을 것이다.

 

Hammer and Horai haplogroup O2b-SRY465와 그 하위 혈통인 O2b1-47z는 약 2,300년 전인 야요이시대 동안 한반도로부터 demic 확산 과정을 거쳐 현대 일본 본토 집단에 기여한 Yayoi 남성 혈통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Hammer et al.은 또한 haplogroup O2b1-47z 돌연변이는 Yayoi 이주의 초기 단계 동안 조상 O2b-SRY465 염색체에서 일어났다고 제안했다. 이 혈통은 또한 몽골, 만주 및 동남부 시베리아인 집단과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및 미크로네시아에도 산발적으로 분포한다. Lin et al.  Y2 대립 유전자와 연관된 O2b1-47z Y 염색체가 중국의 황하 근처의 허난 (Henan) 또는 산시 (Sanxi) 남부의 조상 집단에서 유래하였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동아시아인 Y-SNP 조사에서 18개 하플로그룹이 확인되었고 우리 한국인 그룹에는 15개 하플로그룹이 존재하였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동아시아인 집단은 대부분 하플로그룹 O-M175 혈통의 확장을 보여주는 남성 하플로그룹의 균질성이 특징이라는 것을 알았다. 하플로그룹 O3a3-P201, O2b*-SRY465, O3a*-M324, C3-M217 O2b1-47z (O2b내 하위그룹)가 한국인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으며, 각각 한국인 Y 염색체의 28.9, 22.5, 15.0, 12.3  8.9 %를 차지하였다.

 

O3-M122는 가장 흔한 중국인 Y 염색체 haplogroup으로 한국에서의 존재는 남쪽에서 북쪽으로의 이주를 통해 demic 확산으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C-RPS4Y는 가장 흔한 몽골인 Y 염색체 haplogroup (C3 혈통)이었으며 주로 북아시아인 (한국인 포함) 집단에서 공유된다. 우리의 C-RPS4Y  O3에 대한 네트워크와 다양성 분석은 남부 경로를 통해 동아시아로 이주한 남부 기원을 지지한다. 흥미롭게도 일본인 그룹은 C1-M105 C3-M217 염색체를 둘 다 가진 것으로 보이고, 반면 하플로그룹 C1-M105는 대부분 동아시아인 집단 (한국인 제외)에 존재하지 않는데. 이것은 이전의 Hammer et al. 의 보고와 일치한다. Haplogroup D2-M55는 한국인은 1.6%를 포함하여 일본인(29.3 %)에서만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고, 반면 베이징-한족을 제외하고는 동아시아인 집단의 다른 지역에서는 없었다. Haplogroup D1-M15는 다른 동아시아인 집단에서 극히 낮은 빈도로 나타났다. 한국의 C1 염색체와 D2 염색체의 발생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최근 연관성에 대한 역사적인 견해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하플로그룹 N-M231은 한국인과 몽골인 그룹에서 중간 빈도로 나타나는데, 초기 한국인 집단이 남동부 시베리아의 알타이 산맥과 바이칼 지역의 일반 영역에 거주했던 몽골 민족 그룹과 공통의 기원을 공유 했었으리라는 것을 시사한다. K- M9로 정의된 염색체(L, Q  R 하위 유형)도 또한 한국인 그룹에서 낮은 빈도로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에서 발생한다. 한국인 집단에서 이러한 하플로그룹의 존재는 한국의 peopling이 여러 사건을 수반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MDS를 플롯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 집단은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 지역 양 쪽의 계보를 포함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O2b*-SRY465(그리고 그 하위 혈통; 함께 지정된 O2B-SRY465 )의 지리적 분포는 그림에 나와 있다. 흥미롭게도 우리는 하플로그룹 O2b*-SRY465의 높은 빈도가 한국인의 특징인 것을 발견했는데(22.5 %), 동아시아인 집단의 다른 곳에서의 분포는 매우 드물다. haplogroup O2b* -SRY465를 가진 사람들은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O2B*-SRY465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패턴은 단일 기원을 나타냈다. 한국인과 다른 동아시아인 집단 사이의 유전적 차이를 AMOVA 로 분석하였다. 샘플을 동남아시아인 (SEA)과 동북아시아인 (NEA)으로 분류했을 때, AMOVA는 이들을 구별할 수 없었다. 또한, 한국인은 다시 SEA 또는 NEA과 구별되지 않았는데, 남부 기원 대 북부 기원은 Y-STR 기반 비교로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흥미롭게도, O2b1-47z 하위혈통은 야요이시대보다는 4,400년 전에 갈라진 것으로 보이는데, 4,000년 전으로 나온 이전의 추정치와 일치한다. 따라서 본 데이터는 O2b1-47z의 일본인 기원보다는 고대 한국인 기원의 가능성을 지지한다. O2b1-47z가 일본인 집단에서 하플로그룹 빈도가 가장 높지만, Y-STR 데이터는 쌍별 차이의 평균 수자와 대립 유전자 크기 변화 비율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인 O2b1-47z 하플로그룹 다양성을 더 드러내고, 선사 시대 한국에서 O2b1-47z 돌연변이의 기원을 지지했다.

 

여기서 연구한 일본인 표본은 큐슈, 시코쿠, 남부 혼슈(한국에 가장 가까운 지역)로부터 유래된 것인데, 일본에서 O2b1 혈통의 빈도가 높은 것은 유전자 이동으로 설명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 발견은 한국보다 일본에서 다양성이 적다는 것을 보여 주는 Nonaka et al. 의 이전 보고서와 일치한다. O2b1-47z TMRCA, 본 연구에서 스타 클러스터 패턴과 이전의 연구는 모두 O2b1-47z와 한국의 peopling의 가능한 연관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일본인 O2b*-SRY465  O2b1-47z 표본은 대부분 또한 클러스터의 핵심(또는 아주 가까이)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인과 한국인이 한국 밖에 있는 같은 원-집단(이 혈통을 가지고 있는)에서 거의 같은 시기에 유래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광대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충분한 표본과 유전체 유전자형 분석에 대한 더 많은 연구는 더 깊은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우리의 결과는 haplogroups O2b*-SRY465 O2b1-47z가 이전에 예상한 것처럼 동남아시아나 일본보다는 동북아시아인 특히 선사 시대 한국인들에게 원래 기원이 있었다는 것을 지지한다. 비교적 최근의 O3 C3 혈통(중국 성분 포함)과 부분적으로 O2b 초기 정착(토착의 원-한국인 성분이 됨)의 조합은 한국인 집단의 현재 Y염색체 조성을 구성하는 몇 가지 주요 사건을 설명한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직접 조상은 신석기시대(BC 8,000-BC 1,000)와 청동기시대 (BC 1,500-BC 400)에 중국 동북부 지역과 한반도에 거주하던 원-한국인이었다고 제시하는 언어학, 고고학 및 역사적 증거와 일치한다.』

(출처; Kim SH, Kim KC, Shin DJ, et al. High frequencies of Y-chromosome haplogroup O2b-SRY465 lineages in Korea: a genetic perspective on the peopling of Korea. Investig Genet. 2011;2(1):10. Published 2011 Apr 4. doi:10.1186/2041-2223-2-10)

 

Lee S, Seo J, Park J, et al.(2017)은 현생인류가 동북아시아에 약 40,000년 전에 이주하였고 한반도에도 약 40,000년 전에 이주한 것으로 보았다.

 

『애매하지만 현생 인류는(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동북아시아에 약 40,000 년 전에 처음 이주한 것으로 추측된다. 동북아시아로의 이주 경로를 설명하는 두 가지 제안된 가설이 있다 : 동남아시아로부터 남에서 북으로 단독 이주와 남에서 북으로 이주와 중앙아시아를 통한 또 다른 이주의 혼합 가설이 있다.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항구가 중국 북부보다 게놈에서 데니소바인 성분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농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동북아시아인들은 동남아시아인들과 분리된 기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현생인류가 한반도에 처음 정착했을 때 약 40,000 년 전에 일어났을 것이다. 일본 열도의 첫 번째 정착민들은 대부분 35,000-38,000년 전 한반도에서 바다 건너편인 규슈 섬에 도착했을 것이다. 동북아시아 국가 간 지속적인 이주와 국제적 접촉이 있었지만 한국인, 중국인 및 일본인 집단은 독점적으로 남아 있으며, 그들의 구별되는 언어와 문화에 간접적으로 반영된 것 같이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집단으로 존재했다. 따라서 이 지역의 집단 간에 유전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은 귀중한 과제이다.』

(출처; Lee S, Seo J, Park J, et al. Korean Variant Archive (KOVA): a reference database of genetic variations in the Korean population. Sci Rep. 2017;7(1):4287. Published 2017 Jun 27. doi:10.1038/s41598-017-04642-4)

 

2019 5 31일자 연합뉴스는 초기 인류가 톈산산맥을 넘고 고비사막을 건넜을 수도 있다는 독일 '막스 플랑크 인류역사 과학 연구소'의 연구결과를 보도하였다.

 

 

 

중앙아시아와 북부 이동 경로 붉은 점은 후기구석기 초기 유적이 출토된 지역. [Nils Vanwezer and Hans Sell 제공]

 

 

『호모 사피엔스는 아프리카에서 나와 지금의 인도, 동남아 등 남쪽 해안을 따라 아시아로 퍼진 것으로 연구돼 있다.

 

중앙아시아와 북부는 험준한 산맥과 사막에 가로막혀 초기 인류가 발을 들여놓지 못했을 것이라는 전제가 깔려있다. 그러나 인류가 유라시아로 퍼진 홍적세 말기에 중앙아시아와 북부지역의 기후가 현재와는 사뭇 달라 산맥과 사막이 장애물이 되지 않았을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지역도 인류의 주요 이동 경로로 탐구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독일 '막스 플랑크 인류역사 과학 연구소'에 따르면 이 연구소의 인류진화학 교수인 미카엘 페트라글리아 박사는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 및 고인류연구소(IVPP)와 진행한 공동연구에서 지금까지 경시돼온 중앙아시아와 북부가 오히려 사람족(hominin)의 확산과 상호 접촉이 이뤄지는 주요 경로일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지금은 사람이 지내기 힘든 혹독한 자연 환경을 갖고 있지만 과거에도 늘 그랬던 것은 아니라는 증거가 쌓이는 것이 근거가 됐다.

 

연구팀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인도 사막에서 진행된 앞선 연구를 통해 초기 인류가 이 사막을 건넜다면 고비 사막이나 타클라마칸 사막을 못 건널 이유는 없으며 톈산산맥이나 티베트 고원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특히 고(古)기후 연구를 통해 중앙아시아 일대의 강수량과 호수 크기, 결빙지역 등에 관한 자료가 확보되면서 이 지역의 환경이 홍적세 때 극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어 인류의 이동 경로로 이용됐을 가능성을 더 높여주고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지금보다 훨씬 더 큰 고대 호수의 흔적이 남은 몽골 비게르 누르 [Nils Vanwezer 제공]

 

 

 5만~3만 년 전에 고비 사막 등에 지금보다 비가 더 많이 내려 수목이 자랄 때가 있었으며, 초기 인류가 이때 이동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런 연구결과를 정리한 논문을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 온라인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실었다.

 

논문 공동저자인 막스 플랑크 인류역사 과학 연구소의 패트릭 로버츠 박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런 경로가 홍적세 때 인류의 이동로로 실제 이용됐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고학에서 경시됐던 지역에 인류가 존재하고 이동하며 다른 사람족과 교류했는지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발견된 것들을 고려할 때 중앙아시아 사막 한가운데서 또는 깊은 산맥의 얼음 밑에서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흔적을 찾아낸다고 해도 놀랄 일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소 고고학 부문 책임자인 니콜 보이빈 교수는 "이번 연구가 지금까지 잊힌 지역이었던 북부와 중앙 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조사와 현장탐사의 자극제가 될 것"이라면서 앞으로 몇년간 북부와 중앙 아시아 이동 모델에 대한 현장 확인 작업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190531083300009?input=1179m)

 

 

한편 연합뉴스 2019 8 19일자는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학(UC 데이비스)에 따르면 이 대학 고인류학 부교수 니컬러스 즈윈스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시베리아와 몽골 북부 사이에 있는 항아이(杭愛)산 선사 유적지 발굴 결과를 토대로 현생인류의 몽골 이주가 1만년 더 앞선 4만5천 년 전 이뤄졌다는 주장을 폈다고 한다.

 

 

 

몽골 톨보르계곡(왼쪽 별표지역)과 전경(오른쪽 검은 화살표) [사이언티픽 리포츠 논문 캡처]

 

연구팀은 2011년부터 항아이산 톨보르 계곡 16 지역에서 5년에 걸친 발굴작업을 벌여 수천점의 석기 유물을 발굴했다. 이 중 826점은 현생 인류의 최초 이주와 관련된 것으로 중국 북서부와 시베리아 등지에서 발굴된 석기와 비슷해 이 지역의 현생인류 이주가 광범위하게 이뤄졌음을 보여줬다. 연구팀은 이 석기들이 길이나 돌날 등에서 이전과는 다른 높은 수준의 표준화된 형태를 보인 것으로 분석하면서, 이는 체계화된 방식으로 석기를 만들고 기술과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현장에서 현생 인류의 뼈가 직접 발굴된 것은 아니지만 표준화된 석기의 주인이 멸종한 고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나 데니소바인일 가능성은 배제했으며, 이런 표준화된 석기 기술의 출현은 현생인류의 이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톨보르계곡에서 발굴된 현생인류 석기연구팀은 길이나 돌날 등에서 이전과 다른 높은 수준의 표준화된 형태를 띤 것으로 분석했다. [사이언티픽 리포츠 논문 캡처]

 

그 시기는 석기가 발견된 지역의 퇴적물에 대한 발광연대 측정과 동물 뼈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약 4만5천 년 전인 것으로 추정됐다. 몽골 지역에서 현생인류의 두개골 화석 뼈가 발견된 것보다 1만년가량 더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는 현생인류가 아프리카에서 나온 지 약 1만5천년 뒤로, 현생인류가 처음으로 데니소바인을 만나 이종교배를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 자료를 통해 확인한 시기와도 일치한다.

 

석기에 남은 풀과 유기물 등을 분석한 결과, 기후는 이전보다 더 따뜻해지고 습해져 인간이나 가축에게 더 적합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동물 뼈 조각은 홍적세 때 초원이나 툰드라 등지에 살던 들소나 양, 염소, 말 등의 것으로 나타났다. 즈윈스 박사는 "현생인류와 데니소바인이 어디서 만나게 됐는지는 모르지만, 데니소바인에게서 물려받은 유전자는 나중에 현생인류가 티베트고원과 같은 고지대에서 저산소증을 극복하고 정착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톨보르-16 발굴지는 현생인류가 데니소바인 등 현지에 있던 고인류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높은 시베리아와 중국 북서부를 잇는 루트로서 중요한 고고학적 의의를 갖는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오픈액세스 저널인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출처;https://www.yna.co.kr/view/AKR20190819057800009?input=1179m)

 

 

권중석은 유라시아어와 한국어〉 블로그에서 후기 구석기시대에 알타이, 우랄, 바이칼 지역 등의 현생 인류를 잘 설명해준다.

 

이러한 최초의 흔적은 4.7만 년 전의 알타이 산맥과 우랄 산맥 사이의 우랄 평원의 Ob강의 지류인 우스트 이쉼 유적에서 최초로 발견되는 고인골과 3.7만 년 전의 모스크바 남쪽의 돈강에서 발견된 코스텐키 유적, 이보다 북쪽의 우랄 지역인 Sunghir 유적, 체코의 Vestinoche 등등에서 발굴되는 3~5만 년 전의 고인골들을 보면 이들은 주력 유전자가 지금과는 달리 부계로 C1a, C1b형이다.

 

지금에는 이런 유전자가 거의 유럽에 발견되지 않지만 이는 파푸아뉴기니와 호주 원주민에서 널리 보이는 오세아틱 유전자로 이는 순다 대륙을 출발하여 동북아시아를 거쳐 툰드라에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물론 여기 이동 경로에는 이견이 있겠지만 지금은 유럽에 없는 부계 C형 고인골이 유럽에서 대거 발굴된다는 점과 이들이 멀리로는 유럽인들의 유전적 토대를 형성한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이들은 3만 년 이전부터 자취를 감추다가 최대 빙하기 이후로 다시 유럽 수렵채집인들의 주류를 형성하여 유럽 토착 원주민인 WHG(West Hunter Gatherer)를 형성한다. 이들은 신석기 농업혁명 이전에 유럽인들의 주요한 유전자를 형성하며 신석기 농업 혁명 중에도 20% 가량 유지하다가 청동기 때 흑해 북단의 초원에서 노마드인들이 대거 이주하면서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된다. 

 

이 흑해 북단의 노마드인들은 고대 북유라시아인 즉 ANE(Ancient North Eurasian)에서 기원한다. ANE(Ancient North Eurasian)는 이미 5만 년 전에 인류가 툰드라에 진입을 하고 빙하기가 끝나는 1만 년 이전까지 유전적으로 분기한다. 이런 유럽인들의 초기 조상은 2.4만 년 전 바이칼 인근의 말타 부렛유적지의 남자 아이 유골에서 처음 보이는데 최대 빙하기가 끝나고 1.7만 년 전의 알타이 지역의 Afontoba-Gora유적에서 보여 주는 바는 이런 유럽인들의 유전자가 이 바이칼 알타이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분화하였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적어도 기원전 5만 년 전에는 이미 이 북방 툰드라 지역에 현생인류가 진입하였고 이들은 부계가 동아시아적인 C형으로 그 뒤 3만 년 동안의 장구한 세월 속에 이 북방 지역에서 유전자 분기가 일어난 것이다. 그리고 후속으로 발굴된 알타이 지역의 Afontoba-Gora3 유적에서는 더욱 아메리카 인디언과 유사한 특질을 보이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아메리카 인디언 유전자가 발생하여 아메리카 대륙으로 넘어가 14~38%의 인디언을 형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은 부계로는 새로이 분기해 나간 Q를 갖고 가지만 모계는 우리와 같은 극동 지역 유전자를 갖고 간 것이다.  14~38%을 제외한 나머지는 부계조차 동시베리아인들이 넘어간 것이다. 아마도 당시는 모계 사회로 서쪽에서 새로 분기된 부계 Q를 받아 아메리카로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출처; 우리말이 왜 인류사적으로 중요한가? https://m.blog.naver.com/joonghyuckk/220890607561)

 

3.2 만주와 한반도의 현생인류

한국고고학사전은 한반도의 현생인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한반도의 고인류 확산 과정은 동아시아 지역의 고인류 출현과 시간적, 공간적인 관련성에서 고려하여야 한다. 중국 동북부의 북경 지역 일대에서 이미 150만 년 전에 호모 에렉투스가 출현한 것으로 미루어 한반도에도 상당히 이른 시기에 출현하였을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도 호모 에렉투스의 화석은 한반도나 만주 지역에서 출토되지 않는다.

 

랴오닝(요녕)성의 진뉴산(금우산)유적에서는 고형의 호모 사피엔스의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와 유사한 단계의 화석으로 북한 지역에서 발견된 것은 역포인이나 덕천인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현생인류의 화석으로서 만달인과 승리산인 그리고 이보다 더 오래된 사례로 용곡인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생인류 화석들은 북한 인류학자에 의해서 현대 한국인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만달인의 경우를 보면 좀돌날석기와 함께 출토되어 북방에서 확산된 사람으로 불 수 있다.

 

남한 지역에서는 단양 상시 동굴유적에서 단계가 불분명하지만 현생인류보다는 약간 고형의 화석이 발견된 바 있다. 그러나 한반도의 주민 확산의 단계나 과정은 이러한 고인류 화석으로만 판단하기는 어렵다. 결국 한반도 주민의 시작은 구석기 공작에 의해서 확인될 수밖에 없다.』(출처;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구석기시대편, 한국의 구석기문화)

 

이형구는 《한국 고대문화의 비밀》에서 덕천인을 지인 단계, 승리산인·만달인·룡곡인을 신인 즉 현생인류로 보면서 우리나라 사람의 본토기원설을 주장하였다.

 

현생인류의 직접 조상인 신인의 출현은 지금으로부터 약 5~4만 년 전에서 시작하여 대략 1 4000년 전까지 계속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 시기를 후기 구석기시대라고 한다. 후기 구석기시대의 인류 화석으로 요동반도에서는 1981년에 발견된 요녕성 해성현 소고산(小孤山) 선인동(仙人洞) 동굴유적이 있다.

 

이 유적에서는 어린이의 이빨 화석과 다리뼈 화석이 다량의 포유동물 화석과 석기와 함께 출토되었다. 그리고 짐승의 이빨에 구멍을 뚫어 만든 장식품이 처음으로 발견되기도 했다. 이 밖에 요동반도에서는 금우산 유적[위층]과 묘후산 동동(東洞) 유적에서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이 발견된 바 있고, 1978년에 압록강 하구의 요녕성 동구현 전양동(前陽洞) 유적에서 후기구석기 유적이 발견된 바 있다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석문산촌 유적에서도 1963년 포유동물 화석이 발견된 데 이어 1978년 후기 구석기시대 인류의 이빨 화석 1과가 발견되었다.

 

북한에서는 주로 대동강 유역에서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는데, 지인 단계의 덕천인 화석이 발견된 덕천군 승리산 유적의 위층에서 또 하나의 신인 단계의 승리산인(勝利山人) 화석이 발견되었다. 1977년부터 1980년 사이에는 평양시 승호구역 만달리 동굴유적과 화천동 동굴유적에서 신인 단계의 인류화석이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북한의 구석기시대 연구가 김교경에 의하면 승리산인의 연대는 4~3만 년 전에 해당한다고 한다특히 룡곡 동굴유적은 맨 아래층에서 신인 단계의 후기 구석기시대 인류화석[룡곡인]이 출토되고, 맨 위층에서는 신석기시대의 인류화석이 발견되어 우리나라 고대 인류의 진화·발전 단계를 분명하게 밝혀주었다

 

만주 지역과 한반도에서 발견된 현생인류의 신인 단계 인류화석은 한민족의 뿌리를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승리산인이나 만달인 그리고 룡곡인은 우리나라에서 인류 진화의 발전 과정을 거친 신인의 핏줄을 이어 형성된 우리나라 사람의 직접적인 선조이다. 신인 단계의 인류는 오늘날의 인류와 같은 이른바 현생인류(現生人類, Homosapiens sapiens)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은 본토기원(本土起源)의 집단이며 만달인은 우리나라 사람의 시원이 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은 우리나라 사람의 선조가 다른 나라에서 태어나 이동해온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탄생하여 오늘까지 살아왔다고 하는 이른바 본토기원설이다. 이 점이 우리가 주목해야 할 매우 중요한 대목이다.(출처; 이형구, 한국 고대문화의 비밀, 구석기 유적의 발견)

 

만주와 한반도에서 발견된 인골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덕천인을 네안데르탈인으로, 력포인을 현생인류 이전의 호모사피엔스로, 만달인·승리산인·상시인을 현생인류로 본다. 《한국고고학전문사전》은 덕천인을 네안데르탈인으로, 력포인·상시인을 고형의 호모 사피엔스로, 만달인·승리산인·룡곡인을 현생인류로 본다. 《위키백과》는 덕천인·력포인·상시인을 호모 하이델베르크인으로 분류하고 만달인·점말인은 현생인류로 본다.

 

(표1) 만주와 한반도에서 발견된 인골의 분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고고학사전 위키백과 조빈복중국 동북 구석기문화 추정년대
묘후산인 묘후산인 호모 에렉투스 5층; 곧선사람   후기 원인(호모 에렉투스) 247,000 BP
묘후산인 호모 에렉투스의 한 단계 뒤인 호모 사피엔스 6층; 슬기사람   초기 지인(호모 사피엔스) 142,000 BP
금우산인(진뉴산인) 초기 슬기사람(호모 사피엔스) 고형의 호모 사피엔스   초기 호모 사피엔스 200,000 BP
덕천인 네안데르탈인 네안데르탈인 호모 하이델베르크인   100,000년 전~40,000년 전
력포인 현생인류 이전의 호모사피엔스 고형의 호모 사피엔스(고인단계) 호모 하이델베르크인    
합자동인         50,000 BP
룡곡인   현생인류     49,000년 전~46,000년 전
승리산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4만 년 전~3만 년 전
소고산인 현생인류 현생인류   현생인류 40,000 BP
흥수아이 슬기슬기사람 현대 슬기사람(modern 호모 사피엔스)     40,000년 전
상시인 곧선사람의 전통을 지니는 슬기사람 슬기사람 호모 하이델베르크인   BC39,000~BC30,000
만달인     현생인류   BC30,000~BC20,000
정선인         29,000년 전
동동인       현생인류 28,000 BP
유수인   후기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현생인류 26,000 BP
안도인       현생인류 26,000 BP
하얼빈인       현생인류 20,000 BP
학전인       현생인류 20,000 BP
전양인       현생인류 18,000 BP
점말인 슬기슬기사람   현생인류   BC12,860~BC13,000
청두산인       현생인류 10,000 BP

*용어는 원문에서 사용한 대로 표기하였음(야발 작성)

 

 

(2)만주와 한반도에서 발견된 현생인류인골

인골 명칭 발굴 지역 화석 부위, 추정 성별, 추정 나이 추정 년대 발굴 년도, 발굴 기관
룡곡인 평양특별시 상원군 상원읍 용곡리 10개체 이상 49,000년 전~46,000년 전 1980~1981
소고산인 요녕성 해성시 소고산 이빨 6, 어린이 허벅지뼈 1 40,000±3500 BP 1981,1983,1990, 1993
승리산인 평안남도 덕천군 승리산유적(위층)
 
아래턱뼈 1, 두 번째 작은 어금니의 뒷조각과 첫 번째 큰 어금니, 35세 중년 남자 추정 40,000년 전~30,000년 전 1972~1973,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흥수아이 충청북도 청원군 두루봉동굴 두 사람의 모든 뼈, 1호 사람;34살쯤, 2호 사람;6~7살쯤 40,000년 전 1976~1983, 충북대 박물관, 연세대 박물관
상시인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상시리 상시바위그늘유적 양쪽 윗머리뼈, 왼쪽 앞팔뼈, 오른쪽 뒤팔뼈, 오른쪽 주걱뼈, 남성 BC39,000~BC30,000 1964,
1981년, 연세대학교 박물관
만달인 평양시 승호구역 만달리 만달동굴(상층) 얼굴 부분이 없는 머리통뼈, 아래턱뼈, 팔뼈, 넓적다리뼈, 골반뼈, 25~35세 남자추정 BC30,000~BC20,000 1980,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건평인 요녕성 건평현 고골, 성년 추정   1957
안도인 길림성 안도현 오른쪽 아래의 첫째 어금니 1, 중년 또는 장년 추정 36,000년 전~26,000년 전  
동동인 요녕성 본계시 묘후산 동동 어린이 정수리뼈 2, 유아 요골 28,000 BP  
유수인 길림성 유수주가 유방 2점의 두골(頭骨) 화석 조각, 1점의 정강이뼈 26,000 BP 1977
정선인 강원도 정선 매둔동굴 손가락뼈 29,000년 전 2018, 2019, 연세대학교 박물관
하얼빈인 흑룡강성 하얼빈 염가강 오른쪽 윗머리뼈 뒷부분 조각 20,000 BP 1982~1985
학전인 흑룡강성 오상학전 고골; 막 성년이 된 여성 개체, 정수리뼈; 5~6세 어린이 20,000 BP 1986
전양인 요녕성 단동시 동구현(東溝縣) 전양동(前陽洞) 두개골, 아래턱 1, 앞니 1, 11~12세 여성 추정 18,000년 전 1982
점말인 제천시 송학면 포전리 점말 산 68-1 발뼈, 손뼈,
젊은 남녀
BC12,860~BC13,000 1973~1980, 연세대학교 박물관
청두산인 길림성 전곽 청두산 좌측 고골 잔편, 성년 남성 추정 10,000 BP 1983

*용어는 원문에서 사용한 대로 표기하였음(야발 작성)

 

 

<참고자료>

 

Stanyon, R., Sazzini, M. & Luiselli, D. Timing the first human migration into eastern Asia. J Biol 8, 18 (2009) doi:10.1186/jbiol115

 

Yali Xue, Tatiana Zerjal, Weidong Bao, Suling Zhu, Qunfang Shu, Jiujin Xu, Ruofu Du, Songbin Fu, Pu Li, Matthew E. Hurles, Huanming Yang and Chris Tyler-Smith, Male Demography in East Asia: A North–South Contrast in Human Population Expansion Times, GENETICS April 1, 2006 vol. 172 no. 4 2431-2439; https://doi.org/10.1534/genetics.105.054270)

 

Hua Zhong, Hong Shi, Xue-Bin Qi, Zi-Yuan Duan, Ping-Ping Tan, Li Jin, Bing Su, Runlin Z. Ma, Extended Y Chromosome Investigation Suggests Postglacial Migrations of Modern Humans into East Asia via the Northern Route,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Volume 28, Issue 1, January 2011, Pages 717–727, https://doi.org/10.1093/molbev/msq247

 

Zheng, Hong-Xiang et al. “Major population expansion of East Asians began before neolithic time: evidence of mtDNA genomes.” PloS one vol. 6,10 (2011): e25835. doi:10.1371/journal.pone.0025835

 

Wang, Chuan-Chao, and Hui Li. “Inferring human history in East Asia from Y chromosomes.” Investigative genetics vol. 4,1 11. 3 Jun. 2013, doi:10.1186/2041-2223-4-11

 

Yan S, Wang C-C, Zheng H-X, Wang W, Qin Z-D, Wei L-H, et al. (2014) Y Chromosomes of 40% Chinese Descend from Three Neolithic Super-Grandfathers. PLoS onE 9(8): e10569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05691

 

Jin, H., Kwak, K., Hammer, M.F. et al. Y-chromosomal DNA haplogroup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dual origins of the Koreans. Hum Genet 114, 27–35 (2003). https://doi.org/10.1007/s00439-003-1019-0

 

Jin H-J, Tyler-Smith C, Kim W (2009) The Peopling of Korea Revealed by Analyses of Mitochondrial DNA and Y-Chromosomal Markers. PLoS ONE 4(1): e4210.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04210

 

Kim SH, Kim KC, Shin DJ, et al. High frequencies of Y-chromosome haplogroup O2b-SRY465 lineages in Korea: a genetic perspective on the peopling of Korea. Investig Genet. 2011;2(1):10. Published 2011 Apr 4. doi:10.1186/2041-2223-2-10

 

Lee S, Seo J, Park J, et al. Korean Variant Archive (KOVA): a reference database of genetic variations in the Korean population. Sci Rep. 2017;7(1):4287. Published 2017 Jun 27. doi:10.1038/s41598-017-04642-4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531083300009?input=1179m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819057800009?input=1179m

 

권중석 《유라시아어와 한국어》블로그, 우리말이 왜 인류사적으로 중요한가? https://m.blog.naver.com/joonghyuckk/220890607561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구석기시대편, 한국의 구석기문화

 

한국고고학사전(2001)

 

이형구, 한국 고대문화의 비밀, 2012, 새녘출판사

 

조빈복 지음, 최무장 옮김, 중국 동북 구석기문화, 2006, 집문당

 

위키백과

 

*위에 인용한 론문의 잉글리쉬 원문은 구글 번역을 바탕으로 번역하였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