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환국은 어떤 나라인가?(4)

 

2.4.4 삼국사기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삼성기 전 하편12개국 주해에서 구다천국과 매구여국은 삼국사기에 구다국과 매구곡이란 이름으로 남아 있다고 보았다.(1)

 

三國史記卷第十四 髙句麗本紀 大武神王 九年冬十二月에 구다국이 항복해왔다는 기사가 있다.

 

12월에 구다국(句茶國)의 왕이 개마가 멸망한 것을 듣고 해()가 자신에게 미칠 것을 두려워하여 나라를 들어 항복해왔다. 이로써 땅을 개척하여 점차 넓어졌다.

十二月, 句茶國王聞蓋馬滅, 懼害及己, 舉國來降. 由是拓地浸廣.(2)

 

또한 三國史記卷第三十七 雜志 第六 地理四 百濟 삼국의 이름만 있고 그 위치가 상세치 않은 곳에 구다국 이름이 들어있다.

 

삼국의 이름만 있고 그 위치가 상세치 않은 곳

조준향(調駿鄕) 신학촌(神鶴村) 상란촌(翔鸞村) 대선궁(對仙宮)

봉정촌(鳳庭村) 비룡촌(飛龍村) 사용향(飼龍鄕) 접선향(接仙鄕)

경인향(敬仁鄕) 호례향(好禮鄕) 적선향(積善鄕) 수의향(守義鄕)

단금향(斷金鄕) 해풍향(海豊鄕) 북명향(北溟鄕) 여금성(麗金成)

접령향(接靈鄕) 하청향(河淸鄕) 강녕향(江寧鄕) 함녕향(咸寧鄕)

순치향(馴雉鄕) 건절향(建節鄕) 구민향(救民鄕) 철산향(鐵山鄕)

김천향(金川鄕) 목인향(睦仁鄕) 영지향(靈池鄕) 영안향(永安鄕)

무안향(武安鄕) 부평향(富平鄕)곡성향(穀成鄕) 밀운향(密雲鄕)

의록향(宜祿鄕) 리인향(利人鄕) 상인향(賞仁鄕) 봉덕향(封德鄕)

귀덕향(歸德鄕) 영풍향(永豐鄕) 율공향(律功鄕) 용교향(龍橋鄕)

임천향(臨川鄕) 해주성(海洲成) 강릉향(江陵鄕) 철구향(鐵求鄕)

강남향(江南鄕) 하동향(河東鄕) 격란향(激瀾鄕) 노균성(露均成)

영수성(永壽成) 보검성(寶劒成) 악양성(岳陽成) 만수성(萬壽成)

탁금성(濯錦成) 하곡성(河曲成) 악남성(岳南成) 추반성(推畔成)

진금성(進錦成) 간수성(澗水成) 방해성(傍海成) 만년향(萬年鄕)

음인향(飮仁鄕) 통로향(通路鄕) 회신향(懷信鄕) 강서향(江西鄕)

이상향(利上鄕) 포충향(抱忠鄕) 연가향(連嘉鄕) 천로향(天露鄕)

한녕성(漢寧成) 회창궁(會昌宮) 요선궁(邀仙宮) 북해통(北海通)

염지통(鹽池通) 동해통(東海通) 해남통(海南通) 북요통(北傜通)

말강성(末康成) 순기성(脣氣成) 봉천성(奉天成) 안정성(安定成)

내원성(萊遠城) 내진성(萊津成) 건문역(乾門驛) 곤문역(坤門驛)

감문역(坎門驛) 간문역(艮門驛) 태문역(兌門驛) 대호성(大岵城)

대산군(岱山郡) 고미현(枯彌縣) 북외군(北隈郡) 비뇌성(非惱城)

표천현(瓢川縣) 고이도(皐夷島) 천주(泉州) 냉정현(冷井縣)

위례성(慰禮城) 비지국(比只國) 남신현(南新縣) 요거성(腰車城)

사도성(沙道城) 골화국(骨火國) 마두책(馬頭柵) 괴곡성(槐谷城)

장봉진(長峰鎭) 독산성(獨山城) 활개성(活開城) 모로성(芼老城)

광석성(廣石城) 좌라성(坐羅城) 호명성(狐鳴城) 도야성(刀耶城)

호산성(狐山城) 임해진(臨海鎭) 장령진(長嶺鎭) 우산성(牛山城)

파리미성(波里彌城) 실진성(實珍城) 덕골성(德骨城) 대림성(大林城)

벌음성(伐音城) 수산성(橾山城) 다벌국(多伐國) 근암성(近嵒城)

근노성(신출자) 가잠성(椵岑城) 당항성(党項城) 석토성(石吐城)

부산성(富山城) 아단성(阿旦城) 부라성(缶羅城) 이산성(耳山城)

감물성(甘勿城) 동잠성(桐岑城) 골평성(骨平城) 골쟁(骨爭)이라고도 이른다. 달함성(達咸城)

서곡성(西谷城) 물벌성(勿伐城) 소타성(小陁城) 외석성(畏石城)

천산성(泉山城) 옹잠성(雍岑城) 독모성(獨母城) 부곡성(缶谷城)

서단성(西單城) 미후성(瀰猴城) 앵잠성(櫻岑城) 기잠성(岐岑城)

기현성(旗懸城) 혈책성(穴柵城) 와산성(蛙山城) 습수(濕水)

용마(龍馬) 저악(猪岳) 병산(甁𠬌山) 직명(直明)

달벌(達伐) 타산(朶山) 목출도(木出島) 구양(狗壤)

대구(大丘) 사현(沙峴) 능곡(能谷) 풍도(風島)

부현(斧峴) 낭산(狼山) 총산(叢山) 안북하(安北河)

박작성(泊灼城) 개마국(蓋馬國) 구다국(句茶國) 화려성(華麗城)

조나국(藻那國) 혁현진(赫炫鎭) 단려성(檀廬城) 가시성(加尸城)

석성(石城) 수구성(水口城) 비창성(卑倉城) 개모성(蓋牟城)

사비성(沙卑城) 우산성(牛山城) 도살성(道薩城) 백암성(白嵒城)

건안성(建安城) 창암성(蒼嵒城) 욕이성(辱夷城) 송양국(松讓國)

행인국(荇人國) 횡산(橫山) 백수산(白水山) 가섭원(迦葉原)

동모하(東牟河) 우발수(優渤水) 엄표수(淹淲水) 혹은 개사수(蓋斯水)라고도 이른다.

비류수(沸流水) 살수(薩水) 모둔곡(毛屯谷) 골령(鶻嶺)

용산(龍山) 골천(鶻川) 량곡(凉谷) 기산(箕山)

장옥택(長屋澤) 역산(易山) 여진(礪津)

위중림(尉中林) 오골(烏骨) 사물택(沙勿澤) 귀단수(貴湍水) 안지(安地)

살하수(薩賀水) 모천(矛川) 마령(馬嶺) 학반령(鶴盤嶺)

마읍산(馬邑山) 왕골령(王骨嶺) 두곡(豆谷) 골구천(骨句川)

이물림(理勿林) 거회곡(車廻谷) 갈사수(曷思水) 연야부(椽耶部)

북명산(北溟山) 민중원(閔中原) 모본(慕本) 계산(罽山)

왜산(倭山) 잠지락(蠶支落) 평유원(平儒原) 구산뢰(狗山瀨)

좌원(坐原) 질산(質山) 고국곡(故國谷) 좌물촌(左勿村)

고국원(故國原) 배령(裴嶺) 주통촌(酒桶村) 거곡(巨谷)

청목곡(靑木谷) 두눌하(杜訥河) 시원(柴原) 기구(箕丘)

중천(中川) 해곡(海谷) 서천(西川) 곡림(鵠林)

오천(烏川) 수실촌(水室村) 사수촌(思收村) 봉산(烽山)

후산(候山) 미천(美川) 단웅곡(斷熊谷) 마수산(馬首山)

장성(長城) 마미산(磨米山) 은산(銀山) 후황(後黃)

영류산(嬰留山) 소수림(小獸林) 독산(禿山) 무려라(武厲邏)

대부현(大斧峴) 마수성(馬首城) 병산책(甁山柵) 보술수(普述水)

봉현(烽峴) 독산책(禿山柵) 구천책(狗川柵) 주양성(走壤城)

석두성(石頭城) 고목성(高木城) 원산성(圓山城) 금현성(錦峴城)

대두산성(大豆山城) 우곡성(牛谷城) 횡악(橫岳) 견아성(犬牙城)

적현성(赤峴城) 사도성(沙道城) 덕안성(德安城) 한천(寒泉)

부산(釜山) 석천(石川) 구원(狗原) 팔곤성(八坤城)

관미성(關彌城) 석현성(石峴城) 쌍현성(雙峴城) 사구성(沙口城)

두곡(斗谷) 이산성(耳山城) 우명곡(牛鳴谷) 사정성(沙井城)

마포촌(馬浦村) 장령성(長嶺城) 가불성(加弗城) 위천(葦川)

호산(狐山) 혈성(穴城) 독산성(獨山城) 금현성(金峴城)

각산성(角山城) 송산성(松山城) 적암성(赤嵒城) 생초원(生草原)

마천성(馬川城) 침현(沈峴) 진도성(眞都城) 고울부(高鬱府)

갈령(葛嶺) 지라성(支羅城) 혹은 주류성(周留城)이라고도 이른다. 대산책(大山柵) 욱리아(郁里阿)

숭산(崇山) 장토야(張吐野) 절영산(絶影山) 청진(淸津)

유봉도(遺鳳島) 대거(大阹) 견롱(汧隴) 부서도(鳧栖島)

봉택(鳳澤) 용구(龍丘) 연성원(連城原) 부운도(浮雲島)

천마산(天馬山) 해빈도(海濱島) 학중도(壑中島) 옥새(玉塞)

연봉(連峯) 총림(叢林) 승천도(升天島) 승황도(乘黃島)

팔준산(八駿山) 절군산(絶群山) 구린도(求麟島) 부도도(負圖島)

토경산(吐景山) 하정도(河精島) 유기산(遊氣山) 평원(平原)

대택(大澤) 기린택(騏驎澤) 섭경산(躡景山) 금혈(金穴)

난지(蘭池) 서극산(西極山) 포양구(浦陽丘) 철가산(鐵伽山)

도림(桃林) 석력산(石礫山) 서린원(瑞驎苑) 녹원(麓苑)

사원(沙苑) 풍달군(風達郡) 일상군(日上郡)(3)

 

매구곡 사람이 투항하다 ( 3007() )

13(30) 가을 7월에 매구곡(買溝谷) 사람 상수(尙須)가 그 동생 위수(尉須) 및 사촌 동생[堂弟] 우도(于刀) 등과 함께 투항해 왔다.

十三年, 秋七月, 買溝谷人尚須, 與其弟尉須及堂弟于刀等, 來投.(4)

 

한편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는 매구곡을 다음과 같이 주해하였다.

 

매구곡(買溝谷) : 현재 정확한 위치는 미상이나, 두만강 하류 일대로 비정할 수 있다. 삼국지30 위서30 동이 동옥저전에 따르면 정시(正始) 연간(240~249) 관구검이 고구려를 침공하였을 때 고구려왕 궁(), 즉 동천왕은 치구루(置溝婁)라고도 일컫는 북옥저(北沃沮)로 피신하였다고 하는데[“毌丘儉討句麗 宮奔北沃沮, 北沃沮一名置溝婁”], 같은 사건을 전하는 삼국지28 위서28 관구검전에서는 왕이 달아난 곳을 매구(買溝)’라 표기하고 있다. 광개토왕릉비에서 매구여민(賣句余民)’의 존재가 나타나는 것을 보면 본래는 치구보다는 매구가 맞고, ‘()’()’를 혼동한 데 따른 결과로 여겨진다. 주목되는 점은 매구[], 즉 치구루가 북옥저라는 것이다. 북옥저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본서 권13 고구려본기1 동명성왕 10(B.C. 28) 11월조에 언급되어 있는데, 중국 지린성[吉林省] 훈춘[琿春]을 중심으로 한 오늘날의 두만강 하류 유역에 위치하였으므로, 매구 혹은 치구도 그 근방일 것이다(김현숙, 101; 여호규, 514~515). 고구려 동북방의 거점인 책성(柵城)이 자리한 곳 역시 이 일대로 보는 데 큰 이견은 없다. 그런데 앞서 살펴본 것처럼 북옥저는 이보다 앞서 고구려에 복속된 것으로 나오기에 해명이 필요한데, 당시 고구려는 중요 거점을 대상으로 영향력을 미쳤던 것이며, 본문에 나오는 매구곡의 상수 등은 중소 지역 집단의 우두머리로서 고구려가 점차 이 일대에 지배권을 강력히 구축함에 따라 그 세력권 아래 편제되기에 이른 것이 아닐까 한다.(5)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4.5 광개토경평안호태황비문

우루성(于婁), 구모성(勾牟), 매구여(賣句余), 객현한(客賢韓) 등 12국의 이름이 나온다. 안부련(安夫連)환웅의 안부련도 나온다.

 

396년 기사 : 영락 6년 병신년에 왕이 몸소 수군을 이끌고 잔국(백제)을 토벌하였다. (우리) 군은 영팔성, 구모로성, 각모로성, 간저리성, □□, 각미성, 모로성, 미사성, 사조성, 아단성, 고리성, 리성, 잡진성, 오리성, 구모성, 고모야라성, □□□□, 이야라성, 전성, 어리성, □□, 두노성, □□리성, 미추성, 야리성, 태산한성, 소가성, 돈발성, □□□, 루매성, 산나성, 나단성, 세성, 모루성, 우루성, 소회성, 연루성, 석지리성, 암문, 임성, □□□□□□□리성, 취추성, 발성, 고모루성, 윤노성, 관노성, 삼양성, , □□노성, 구천성 등을 공취(攻取)하고, 그 도성(위례성)[다다랐다]. 백잔은 의()에 복종치 않고 감히 전투에 나섰다. 왕이 매우 노하여 아리수(한강)를 건너 군사를 보내 성을 공격하였고, (백잔군이) 소굴로 도망쳐 성을 포위하였다. 이에 백잔주(아신왕)가 곤핍(困逼)해져 남녀 생구(포로) 1천 명과 세포(細布) 1천 필을 바쳐 항복하고 스스로 "이제부터 영원토록 노객(신하)이 되겠습니다."라고 맹세하였다. 태왕은 앞의 잘못은 은혜로이 용서하고 뒤에 순종한 정성은 기특히 여겼다. 이때 58개 성, 7백개 촌을 얻었고, 백잔주의 동생과 대신 10인을 데리고 도성으로 개선했다.

원문: 以六年丙申 王躬率水軍討伐殘國. □□首攻取 寧八城,臼模盧城,各模盧城,幹氐利城,□□,閣彌城,牟盧城,彌沙城,舍蔦城,阿旦城,古利城,利城,雜珍城,奧利城,勾牟城,古模耶羅城,□□□□,而耶羅城,瑑城,於利城,□□,豆奴城,□□利城,彌鄒城,也利城,太山韓城,掃加城,敦拔城,□□□,婁賣城,散那城,那旦城,細城,牟婁城,于婁城,蘇灰城,燕婁城,析支利城,巖門,林城,□□□□□□□利城,就鄒城,拔城,古牟婁城,閏奴城,貫奴城,彡穰城,,□□盧城,仇天城,□□□□□其國城. 殘不服義 敢出百戰. 王威赫怒 渡阿利水 遣刺迫城 □□歸穴便圍城. 而殘主困逼 獻出男女生口一千人細布千匹 王自誓. "從今以後永爲奴客." 太王 恩赦先迷之愆 錄其後順之誠. 於是得五十八城村七百 將殘主弟幷大臣十人 旋師還都.

 

묘지기 연호(烟戶) 수는 매구여(賣勾余)의 백성 가운데서 국연(國烟)2집 간연(看烟)3, 동해고(東海賈)에서는 국연 3집 간연 5, 돈성(敦城) 백성 가운데서는 4집 모두가 간연, 우성(于城)에서는 간연 1, 비리성(碑利城)에서는 국연 2, 평양성(平穰城) 백성 가운데서는 국연 1집 간연 10, ()에서는 간연 2, ()에서는 간연 2, 안부련(安夫連)에서는 간연이 22, 개곡(改谷)에서는 간연 3, 신성(新城)에서는 간연 3, 남소성(南蘇城)에서는 국연 1집이다.

 

새로 들어온 한()과 예() 가운데는 사수성(沙水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1, 모루성(牟婁城)에서는 간연 2, 두비압잠한(豆比鴨岑韓)에서는 간연 5, 구모객두(勾牟客頭)에서는 간연 2, 구저한(求底韓)에서는 간연 1, 사조성()의 한()과 예() 가운데서는 국연 3, 간연 21, 고모야라성(古模耶羅城)에서는 간연 1, 막고성(莫古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3, 객현한(客賢韓)에서는 간연 1, 아단성(阿旦城)과 잡진성(雜珍城)에서는 합해서 간연 10, 파노성(巴奴城)의 한() 가운데서는 간연 9, 구모로성(臼模盧城)에서는 간연 4, 각모로성(各模盧城)에서는 간연 2, 모수성(牟水城)에서는 간연 3, 간저리성(利城)에서는 국연 2집 간연 3, 미추성(彌鄒城)에서는 구연 1집 간연 11, 야리성(也利城)에서는 간연 3, 두노성(豆奴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2, 오리성(奧利城)에서는 국연 2집 간연 8, 모추성(模鄒城)에서는 국연 2집 간연 5집이다.

 

백제 남쪽에 사는 한() 가운데서는 국연 1집 간연 5, 대산한성(大山韓城)에서는 간연 6, 농매성(農賣城)에서는 국연 1집 간연 7, 윤노성(閏奴城)에서는 국연 1, 간연 22, 고모루성(古牟婁城)에서는 국연 2집 간연 8, 전성()에서는 국연 1집 간연 8, 미성(味城)에서는 간연 6, 취자성(就咨城)에서는 간연 5, 삼양성(穰城)에서는 간연 24, 산나성(散那城)에서는 국연 1, 나단성(那旦城)에서는 간연 1, 구모성(勾牟城)에서는 간연 1, 어리성(於利城)에서는 간연 8, 비리성(比利城)에서는 간연 3, 세성(細城)에서는 간연 3집이다.(6)

 

2.4.6 환단고기》 《단군세기

단군세기에는 15세 대음단군 때 양운국과 수밀이국의 사신이 와서 특산물을 바쳤다는 기록과 우루 사람 20가 투항해와서 염수 근처에 정착시켰다는 기록이 있다.

 

辛巳, 二年(674, BC1660) 洪水大漲民家, 多被害. 帝甚憐恤, 移其栗於蒼海·蛇水之地, 均給于民. 冬十月, 養雲須密爾二國人來獻方物.

己丑, 十年(682, BC1652) 帝西幸弱水, 命臣智禹栗, 採金鐵及膏油. 秋七月, 虞婁人二十家來投, 命定着于鹽水近地.

 

2.4.7 환단고기》 《태백일사》 〈대진국본기

환단고기》 《태백일사》 〈대진국본기2세 무황제 때 개마, 구다, 흑수의 여러 나라가 모두 신하가 될 것을 청하며 공물을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天統二十一年(3052, AD719), 崩于大安殿. 廟號曰太祖, 諡號曰聖武高皇帝. 太子武藝立, 改元曰仁安, 西與契丹, 定界烏珠牧東十里, 臨潢水. 是歲(3065, AD732), 蓋馬·句茶·黑水諸國, 皆稱臣納貢.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삼성기 전 하편우루국 주해에서 태백일사》 〈대진국본기에는 10세 선황제때 지금 대흥안령산맥인 북대개마 남 · 북에 자리 잡고 살던 우루를 공략하여 여러 부를 설치하였다고 한다. 이로 보아 위나단군 때 내몽골에 있는 염수 지역에 정착한 우루인이 다시 대흥안령산맥 북쪽으로 이동하여 부족을 형성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7)

 

歷毅宗定皇帝元瑜, 康宗僖皇帝言義, 哲宗簡皇帝明忠, 至聖宗宣皇帝仁秀, 天資英明, 德氣如神, 才兼文武, 乃有太祖之風.

南定新羅, 置泥勿·鐵圓·沙弗·岩淵等七州, 北略鹽海·羅珊·曷思·藻那·錫赫, 及南北虞婁, 置諸部. 長白之東曰安邊, 鴨江之南曰安遠, 牧丹之東曰鐵利, 黑水之上曰懷遠, 灤河之東曰長嶺, 長嶺之東曰東平, 虞婁在北大蓋馬嶺之南北, 地廣九千里, 境宇大開, 文治熙洽

 

 

<주>

 

(1)계연수 편저,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58

 

(2)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sg_014r_0020_0150

 

(3)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0&prevPage=0&prevLimit=&itemId=sg&types=r&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sg_037r_0030_0120&position=-1

 

(4)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sg_014r_0020_0180

 

(5)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

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sg_014r_0020_0180

 

(6)위키백과, 광개토왕릉비;

https://ko.wikipedia.org/wiki/%EA%B4%91%EA%B0%9C%ED%86%A0%EC%99%95%EB%A6%89%EB%B9%84

 

(7)계연수 편저, 안경전 역주, 환단고기, 5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