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험진 (3)
력사를 찾아서

우리 해동(海東)은 삼면이 바다에 막혀 있고, 한 모퉁이가 육지에 이어져 있는데, 그 폭과 둘레는 거의 10,000 리(里)나 된다. 고려(高麗) 태조(太祖)가 고구려(高句麗) 땅에서 일어나 신라(新羅)를 항복시키고 백제(百濟)를 멸망시켜, 개경(開京)에 도읍을 정하니, 삼한(三韓)의 땅이 하나로 통합되었다. 그 이후로 5도(五道)·양계(兩界)를 정하니, 양광(楊廣)·경상(慶尙)·전라(全羅)·교주(交州)·서해(西海)·동계(東界)·북계(北界)가 그것이다. 모두 합하여 경(京)이 4개, 목(牧)이 8개, 부(府)가 15개, 군(郡)이 129개, 현(縣)이 335개, 진(鎭)이 29개이었다. 그 사방 경계[四履]는, 서북은 당(唐) 이래로 압록(鴨綠)을 한계로 삼았고, 동북은 선춘령(先春嶺)을 경계로 삼았..
고려의 명장 윤관이 세운 동북9성이 두만강 북쪽의 중·러 국경지대 부근에 있었다는 학술 주장이 처음으로 제기됐다.경복대학교 이인철 교수는 “윤관이 여진족을 몰아내고 국경선으로 삼은 동북9성의 최북단이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둥닝(東寧)현 일대임을 관련 문헌과 현지 답사를 통해 밝혀냈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의 주장은 동북9성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지목한 학술적 성과이자, 고려의 국경선을 북만주까지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 윤관의 동북9성이 두만강 북쪽 中·러 국경지대에 있었다?동아일보 2017. 5. 23. 11:02 이인철 경복대 교수, 고려 동북국경은 '두만강 이북'설 주장"윤관의 동북9성 최북단은 헤이룽장(黑龍江)성의 중·러 국경지대" 경복대 이인철 교수가 ‘세종실록 ..

고려에서는 여진정벌론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전패를 거울삼아 전투력을 증강하고 특수부대로 별무반을 창설하였다. 거국적인 전쟁준비에 놀란 여진족은 사신을 보내 앞으로 일체의 도발을 중지하고 자손 대대로 고려에 조공을 할 것을 다짐해 왔다. 그러나 고려는 여진족의 거듭되는 화전 양면의 사술에 단호한 결전으로 맞섰다. 예종 2년 11월 여진족이 국경을 침입한다는 보고를 받은 예종은 여진정벌을 명령했다. ■ 여진정벌 큰 공 세우고 벌 받은 윤관김삼웅기자 2024. 2. 27. [겨레의 인물 100선 100] 국토를 지키고 강역을 확장한 고려의 명장 ▲ 윤관장군 묘 웅장한 왕실의 무덤 같다ⓒ 김수종 윤관(尹瓘)은 우리 역사상 다섯손가락 안에 꼽힐만큼 국토를 지키고 강역을 확장한 고려의 명장이다.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