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약용 (2)
력사를 찾아서

러시아 학자 엘 에르 꼰체비찌는 ① 고대 조선족과 숙신(물길ㆍ말갈의 선민족)의 인구분포가 사료와 지리상으로 일치하고 ② 이들의 종족 형성 과정이 유사하며 토템이 공통적으로 새[鳥]라는 점, 종족 발상지가 백두산(白頭山)이라는 점, ③ 그리고 이들을 묘사하는 말이 비슷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사실상 동일 종족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 김운회의 '대쥬신을 찾아서' 쥬신의 실제 뿌리, 물길과 말갈 ***유리(羑里)에 가서 불탄다**노태맹이제 유리에서 푸른 강의 은유는 끝났네.물고기 산중에 매달려있고아침이면 가장 높은 곳으로부터마른 북 울리며 늙은 소 물 마른 강가로 내려오네.불길한 괘처럼 태양 속에 별이 뜨고우리 딱딱한 혀는 얼마나 오래 유리의 은유를 견디는지.스스로가 스스로에게 적인 유리 나무들 제 마..

한국사학사 - Daum 백과 목차개요고대사학중세사학근대사학현대사학개요한국사학사는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즉 고대·중세·근대·현대의 사학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역사학계에서 시대구분이 아직 정설화되지 않았으므로 여러 견해가 있지만, 역사학의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시대구분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고대사학은 역사서가 정식으로 편찬된 삼국 초기로부터 10세기초 신라의 멸망까지, 중세사학은 고려왕조와 16세기말의 조선왕조 중엽까지, 근대사학은 17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현대사학은 1945년 민족해방 이후의 역사학으로 구분한다. 고대사학 우리나라에서 역사학의 시작은 한자(漢字)가 전래되어 역사를 기록한 때부터이다.한자는 BC 2세기말 한군현을 통해 전래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역사를 기록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