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3/04 (2)
력사를 찾아서

유형원은 조선후기 『반계수록』을 저술한 유학자이자 실학자이다. 1622년(광해군 14)에 태어나 1673년(현종 14)에 사망했다. 2세 때 아버지를 여의었고 과거에는 합격하지 못했다. 32세 이후 전라도 부안에 은거하다가 사망했다. 이때 체험한 농촌생활을 토대로 경세제민의 정책론인 『반계수록』을 저술했다. 이 책은 100년 뒤 영조의 칭찬을 받고 간행되었다. 그의 개혁 의지와 사상은 당시 재야 지식인의 이상론이 되었고, 그의 학문은 실학을 학문으로 자리잡게 하는 단초가 되었다. 그외 다방면의 저작이 있었다고 하나 목록만 전해진다. 서울 출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덕부(德夫), 호는 반계(磻溪). 세종 때 우의정을 지낸 유관(柳寬)의 9세손이다. 현령 유위(柳湋)의 증손자이고, 할아버지는 정..

한백겸(1552년(명종 7)~1615년(광해군 7))은 조선 후기에, 호조참의, 강원도안무사, 파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명길(鳴吉), 호는 구암(久菴). 정선군수 한승원(韓承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문천군수(文川郡守)한여필(韓汝弼)이고, 아버지는 판관 한효윤(韓孝胤)이며, 어머니는 예빈시정(禮賓寺正) 신건(申健)의 딸이다. 민순(閔純)의 문인이다. 1579년(선조 12) 생원시에 합격하고, 1585년 교정청(校正廳)이 신설되자 정구(鄭逑) 등과 함께 교정낭청에 임명되어 『경서훈해(經書訓解)』의 교정을 보았다. 1586년 중부참봉(中部參奉)이 되었으며, 이어 경기전참봉·선릉참봉 등에 제수되었으나 재직중 병으로 사직하였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 때 자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