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최춘태 (5)
력사를 찾아서
《환국-가사라국》 5. 9환족은 누구인가?(9) 夷(이), 尸(시)에서 분화된 [ᄀᆞᄅᆞ], [ᄉᆞᄅᆞ], [ᄃᆞᄅᆞ], [ᄇᆞᄅᆞ]가운데 [ᄃᆞᄅᆞ]는 ‘높다’는 뜻으로 쓰이고 나머지는 모두 가라족, 사라족, 부루족의 모체가 되었다. 5.7 최춘태의 《갑골음으로 잡는 식민사학·동북공정》(5) 夷族(이족) 『濊(예)는 ‘더럽다’고 했고 夷(이), 狄(적), 戎(융), 蠻(만)을 모두 ‘오랑캐’라 했네. 夷(이)의 본질인 尸(시)는 ‘사람이 앉은 모습’임에도 ‘주검, 시체’를 뜻하는 字(자)로까지 가차되었다네. 그러나 중국의 史書(사서)에서 夷(이)를 극찬하는 내용은 이와 사뭇 다르다네. 後漢書>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네. “夷(이)는 뿌리라 했고 말은 어질고 고우며 만물의 生함이 모두 땅에 ..
《환국-가사라국》 5. 9환족은 누구인가?(8) 西戎(서융)족이 虎(범)족이었다. 5.7 최춘태의 《갑골음으로 잡는 식민사학·동북공정》(4) 최춘태의 《갑골음으로 잡는 식민사학·동북공정》에 따르면 西戎(서융)족은 虎(범)족이었고, 西戎(서융)족도 北狄(북적)의 일파이고 東夷(동이)족도 北狄(북적)의 일파이고 남만(南蠻)도 북적의 일파이니 四夷가 모두 하나의 종족에서 분파된 것이라고 한다. 虎族(호족) 『우리는 앞에서 北狄(북적)의 딴 이름 戎狄(융적), 犬戎(견융)을 보았네. 게다가 北戎(북융)이라고도 한 것은 戎의 근거지가 처음에는 北狄(북적)의 일원이었음을 알 수 있네. 戎狄(융적)에 대립된 翟狄(적적)이 있다는 것은 戎과 翟이 모두 狄에 속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일세. … 北狄..
《환국-가사라국》 5. 9환족은 누구인가?(7) 北狄(북적)의 갑골음은 [ᄇᆞᄅᆞᄃᆞᄅᆞ]이다. 5.7 최춘태의 《갑골음으로 잡는 식민사학·동북공정》(3) 최춘태의 《갑골음으로 잡는 식민사학·동북공정》에 따르면 北狄(북적)의 갑골음은 [ᄇᆞᄅᆞᄃᆞᄅᆞ]이고, 熊족은 北狄(북적)의 후예라고 한다. 北狄(북적) 『北狄(북적)은 처음에는 北翟(북적)으로 적었네. 翟에서 깃털(羽)과 새(⾫)가 있는 것으로 보아 종족의 특성은 새와 관련된 종족임이 틀림없을 걸세. … 翟의 古音(고음)은 일단 [dərg(ᄃᆞᆰ)]로 귀착되네. 이와 짝이 되는 음은[drəg(ᅞᆞᆨ)]인데, 앞에서도 말했지만 이 둘은 [də¹rə²g]에서 변천한 것들이네. ə¹이 동음생략되면 [drəg(ᅞᆞᆨ)]이 되고, ə²가 생략..
《환국-가사라국》 5. 9환족은 누구인가?(6) 貉(맥)의 갑골음은 [gərə(ᄀᆞᄅᆞ)]이다. 5.7 최춘태의 《갑골음으로 잡는 식민사학·동북공정》(2) 최춘태의 《갑골음으로 잡는 식민사학·동북공정》에 따르면 貉(맥)의 갑골음은 [gərə(ᄀᆞᄅᆞ)]이다. 貉(맥)의 갑골음은 [gərə(ᄀᆞᄅᆞ)] 『설문>에서 貉(맥)은 북방의 맥족으로 豸와 各의 합성이라 했고 各이 성부라 했네. 各이 聲符(성부)인 閣, 恪은 현재 음이 [kak]으로 어두가 [k]인데 洛, 絡은 [lak]으로 읽어 어두가 [l]일세. 이처럼 두 가지 음을 가졌다는 것은 어두가 복성모 kl-을 가졌다는 것이네. … 핵모는 a, 운미는 g일세. 이들을 조합하면 [grag]이 되네. gr사이에 있었던 모음을 복원하면 앞..
《환국-가사라국》 5. 9환족은 누구인가?(5) 桓(환), 濊(예)의 갑골음은 [gəsər(ᄀᆞᄉᆞㄹ)]이고, [ᄀᆞᄅᆞ kər(ə)]와 [ᄉᆞᄅᆞ sər(ə)]로 분리 변천하였다. 5.7 최춘태의 《갑골음으로 잡는 식민사학·동북공정》(1) 최춘태의 《갑골음으로 잡는 식민사학·동북공정》에 따르면 桓(환)의 갑골음과 濊(예)의 갑골음은 [gəsər(ᄀᆞᄉᆞㄹ)]로 같다. 桓족이 곧 濊족임을 알 수 있다. 이 濊족이 나중에 가라족과 사라족으로 나뉘었다고 한다. 桓(환)의 갑골음은 [gəsər(ᄀᆞᄉᆞㄹ)] 『설문>에 桓(환)은, 木이 의미부이고 亘(긍)은 聲符(성부)라 했네. 木이 의미부라는 것은 오행의 東夷(동이)에 해당하는 덕목일세. 亘의 本字는 亙(긍)인데, 求回也라 하여 무엇을 구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