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금관 (3)
력사를 찾아서
신라 시대 고분이 모여 있는 경주 대릉원 일원에서 잘 알려진 무덤 중 하나가 바로 천마총(天馬塚)입니다. 황남대총을 발굴하기 전 경험을 쌓고자 시작한 조사에서는 자작나무 껍질에 '천마'가 그려진 말다래를 비롯해 금관, 금 허리띠 등 1만1천500여 점의 유물이 쏟아졌습니다. 경주 천마총 (경주=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지난달 23일 찾은 경주 천마총 입구 모습. 2023.4.3 yes@yna.co.kr "오늘은 날씨도 청명했지만, 아침부터 현장은 다시 긴장된 분위기가 감돌기 시작했다." (1974년 발행된 '천마총 발굴 조사 보고서' 중)경북 경주시 '황남동 155호 고분'의 발굴 일지는 1973년 8월 22일을 이렇게 전한다. 발굴 조사 전 천마총의 모습 사진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201..
금관총 금관은 1921년 발굴된 첫번째 금관(국보 87호)입니다. 일제강점기에 발굴된 신라 금관 가운데 가장 먼저 발견된 경주 '금관총 금관'(국보 제98호).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1921년 금관총 발굴은 초기에 고고학자 대신 일반인이 유물 수습에 나서 유물 배치도마저 작성되지 않는 등 부실하게 이뤄졌다. 1921년 사상 처음으로 발굴된 신라금관. 이 발굴은 당시 경주에서 대서소를 운영하던 모로가 히데오(오른쪽)의 주도로 3~4일간 졸속으로 마무리됐다.|함순섭 국립대구박물관장 제공 사상 처음으로 금관이 출토된 금관총 발굴은 대서소 주인이던 모로가 히데오(諸鹿央雄·오른쪽 사진)이 주도했다. 1921년 10월19일 경북도지사가 조선총독에게 보낸 보고서는 이미 ① 9월27일 현장을 발견한 뒤..
신채호 조선상고사선비족 대 고구려의 관계고구려와 한나라의 중간에 선 탓에 고구려를 도우면 고구려가 이기고 한나라를 도우면 한나라가 이기는 식으로 양국의 승패를 좌우하는 존재가 있었으니, 그게 바로 선비(鮮卑)라 불린 종족이다. 선비족이 조선의 서북쪽인 몽골 지역에 거주하다가 흉노족 모둔에게 패해 본거지를 잃고 외흥안령·내흥안령1) 부근으로 이주했다는 점은 제2편 제3장(제3편 제2장 조선 분립 이후의 신조선의 착각인 듯하다_옮긴이)에서 서술했다.그 뒤 선비족은 둘로 나뉘었다. 하나는 여전히 선비라고 불렸고, 또 하나는 오환(烏桓)이라고 불렸다. 둘은 언어나 풍속이 거의 동일했다. 이들은 짐승 고기를 먹고 짐승 가죽을 입으며 목축과 수렵으로 생활했다. 각각 읍락에 나뉘어 살았는데, 전체 부족을 관할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