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임오군란 (1)
력사를 찾아서

고종과 명성황후가 장악한 신정부는 국제관계의 대세와 일본의 군사적 위력을 의식해 1876년 2월 병자수호조약을 체결했다. 1811년 통신사가 끊어진 뒤 65년 만에 교린 외교가 아닌 근대 외교가 시작됐다. 12조로 된 이 불평등조약엔 문제점이 많았다. 제5조는 ‘조선은 부산 이외에 두 항구(원산, 인천)를 20개월 내 개항해 통상을 허용한다’는 내용이다.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고종, 일본과 불평등 병자수호조약 체결…개방·개혁정책 펼치며 대원군과 차별화한국경제 윤명철 동국대 명예교수·사마르칸트대 교수입력 2023.04.17 10:00 수정 2023.04.17 10:00 생글생글 797호 (138) 개항에서 임오군란까지 (上) 대마도 최익현 유배지. 최익현은 을사조약 후 의병장으로 활동하..
남국/조선
2024. 5. 30. 1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