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가사라 력사를 찾아서

1. 백제 (2) 웅진도읍기(문주왕-삼근왕-동성왕-무령왕-성왕, 475∼538년) 본문

여러나라시대/백제

1. 백제 (2) 웅진도읍기(문주왕-삼근왕-동성왕-무령왕-성왕, 475∼538년)

대야발 2021. 7. 5. 17:30
SMALL

 

 

 

 

 

문주왕은 한성을 회복하였으나 도읍을 웅진으로 옮겼다.

웅진시대 초기는 왕실과 대귀족들 사이에 갈등이 매우 심하여 정국이 불안하였다. 동성왕이 즉위하여 국가기강을 바로잡고 정치적 안정을 꾀하면서 중국 남조의 제와 우의를 돈독히 하는 한편, 신라와도 동맹관계를 강화하여 나라의 기반이 점차 튼튼해졌다. 그러나 동성왕도 위사좌평 백가의 세력을 꺾으려다 그가 보낸 자객에게 살해되었다. 무령왕은 백가의 반란을 평정하고 사회를 안정시켜 군사적으로 고구려를 능가하는 강국이 되었다. 공주의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화려한 유물들은 당시 백제의 국력과 사회경제 수준을 알게 해주고 있다.

 

 

 

 


동성대왕 이후 백제의 부흥

신위례성이 파괴되어 외환이 심하던 상황에서, 백제는 잦은 내란마저 겪어야 했다. 그러자 문주왕은 곰나루(웅진)로 천도했다. 문주왕이 재위 4년(《삼국사기》 〈연표〉에서는 3년)에 반역자 해구에게 죽임을 당하자, 장자인 왕근왕(〈백제 본기〉에서는 삼근()이라고 했지만, 임걸()이라고도 한 걸 보면 삼근의  의 오자일 것이다)이 13세의 어린아이로 즉위했다. 왕근왕은 이듬해에 좌평 진남과 덕솔 진로 등과 모의하여 해구를 죽였다. 왕근왕은 이 정도로 영명했지만, 왕이 된 지 3년째 되는 해에 15세의 어린 나이로 죽었다.

그해 즉 서기 479년에 동성대왕이 즉위했다. 대왕의 이름은 마모대()다. 기존 역사서에서 마모()라고 쓴 것은 끝의 한 글자를 뺀 것이고, 모대()라고 쓴 것은 앞의 한 글자를 뺀 것이다. 즉위 당시에 대왕이 몇 살이었는지는 역사서에 기록되지 않았지만, 왕근의 사촌동생이라고 했으므로 열넷이나 열다섯을 넘지는 않았을 것이다. 대왕은 14, 15세의 소년으로 이 같은 난국을 당했지만 타고난 성품이 성숙하고 궁술도 백발백중이었다. 그는 고구려와 북위를 물리치고 국난을 평정했을 뿐 아니라, 바다 건너 중국의 산동·절강 등지를 점령하고 일본을 공격해서 속국으로 만들었다. 이 외에도 전공이 많지만, 《삼국사기》에는 한두 차례의 천재지변인 장마·가뭄과 대왕의 수렵 활동만 기록된 채 나머지는 모두 빠져 있다. 이는 신라 말엽의 문인들이 삭제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 아래와 같이 그 시대의 역사를 대략 서술하고자 한다.

 

 


북위 군대의 두 차례 침입과 두 차례 패배

중국 대륙의 국가 중에서 조선에 침입한 나라는 많았다. 하지만 군대 규모가 십만 명에 달한 것은 탁발씨의 북위가 처음이었다. 그런 대군을 격퇴한 것도 백제 동성대왕이 처음이었다. 《위서》에서는 북위의 국치를 숨길 목적으로 이를 기록하지 않았고, 《삼국사기》에서는 백제의 성공을 시기하여 역사적 진실을 삭제하는 신라의 역사 집필 방식을 따른 탓에 이를 기록하지 못했다. 오직 《남제서》에만 이런 사실의 대강이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그마저도 당태종에 의해 대부분 사라지고, 동성대왕이 남제에 보낸 국서를 통해서만 사실의 단편을 알 수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그 국서는 온전한 상태로 실려 있을까? 연암 박지원(원문은 ‘박연암’_옮긴이) 선생은 “중국인들은 남(조선)의 시문을 대담하게 고친다. 중국을 수방(, 다른 나라_옮긴이)이나 원방()이라고 쓴 자구가 있으면, 이런 것들을 황도()나 대방()으로 고친다”고 했다. 음풍영월을 담은 사소한 시나 글에 대해서도 그렇게 하고 있으니, 정치와 관련된 국서에 대해서는 오죽하랴.

우리는 이 국서를 통해 (1) 서기 490년에 북위가 보병·기병 수십만을 동원해서 두 차례나 백제를 침입한 사실, (2) 동성대왕이 제1차로 영삭장군 면중왕 왕저근, 건위장군 팔중후 부여고(), 건위장군 부여력(), 광무장군 부여고()를 보내 북위 군대를 대파한 사실, (3) 동성대왕이 제2차로 정로장군 매라왕 사법명, 안국장군 벽중왕 찬수류, 무위장군 불중후 해체곤, 광위장군 면중후 목간나를 보내 북위 군대를 격파하고 수만 개의 수급을 벤 사실, (4) 동성대왕이 두 번의 대전에서 대승을 거둔 뒤 국서와 격문을 내외 각국1)에 보내 이를 과시한 사실, (5) 동성대왕이 수 세대에 걸쳐 쇠퇴하고 위태해진 백제에 태어나서 위와 같은 양차 대전의 승리를 발판으로 국운을 만회하고 내외경략의 터를 닦은 사실, (6) 당시 출전한 대장들이 왕저근·사법명·부여고()·부여력·부여고()였다는 사실만 알 수 있다. 전선()의 길이가 어떠했는지, 전쟁의 기간은 어떠했는지, 나중 전쟁은 육전인 게 확실하지만 처음 전쟁은 육전인지 해전이었는지 등등은 다 명확하지 않다.

어떤 이유로 두 차례의 전쟁에서 대장들이 각각 네 명이었을까? 이는 백제도 부여나 고구려처럼 중·전·후·좌·우의 오군 제도를 썼기 때문이다. 동성대왕이 중군대원수가 되고 나머지 네 명은 각각 네 명의 원수가 되었던 것이다. 또 어떤 이유로 왕저근이나 사법명이 동성대왕의 신하로서 왕을 겸했을까? 이것도 조선의 옛 제도에 입각한 것이다. 대왕은 ‘신한’의 번역어로 국가 전체에 군림하는 천자의 칭호이고, 왕은 ‘한’의 번역어로 대왕을 보좌하는 소왕()의 칭호였다.

 

 

 

 

 

<참고자료>

 

 

윤내현, 한국열국사연구, 214-217쪽

 

 

[네이버 지식백과] 동성대왕 이후 백제의 부흥 (조선상고사, 2014. 11. 28., 신채호, 김종성)

 

 

[네이버 지식백과] 북위 군대의 두 차례 침입과 두 차례 패배 (조선상고사, 2014. 11. 28., 신채호, 김종성)

 

 

[네이버 지식백과] 무령왕의 북진과 고구려의 위축 (조선상고사, 2014. 11. 28., 신채호, 김종성)

 

 

 

 

잃어버린 고대 한국어 ‘백제어’를 찾아서|신동아 (donga.com)

 

 

백제는 없었다 (pressian.com)

 

 

"'일본국보' 칠지도는 408년 백제 전지왕이 왜왕에 하사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daum.net)경향신문 2021. 6. 28. 

 

 

 

 

현존 세계 '最古' 일본기업, 뿌리는 '백제' | 연합뉴스 (yna.co.kr)송고시간2019-03-23 07:31

 

 

 

공주의 무령왕릉은 진짜인가 가짜인가?:플러스 코리아(Plus Korea)성훈 칼럼니스트 2008/08/05

 

 

 

독살당한 무령왕은 백제땅에 묻혔을까?:플러스 코리아(Plus Korea)성훈 칼럼니스트 2008/07/30

 

 

 

무령왕의 아버지는 누구일까?:플러스 코리아(Plus Korea)성훈 칼럼니스트 | 기사입력 2008/08/12 [16:12]

 

 

 

백제왕 창의 사리함과 고대 4국의 관계:플러스 코리아(Plus Korea)문화부 2008/04/14

 

 

 

쿠데타로 본 '대륙백제'의 역사는?:플러스 코리아(Plus Korea)2008/11/11

 

 

 

“일본 최고 사찰 아스카데라 원형은 부여 왕흥사 가능성” | 중앙일보 (joongang.co.kr) 2008.04.17

 

 

 

 

 

백제의 멸망기록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웅진은 신시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