력사를 찾아서
1. 백제 (1) BC 18년∼475년 한성 도읍기(온조왕~개로왕) 본문
필자는 지금까지 백제의 건국시조와 왕실의 혈통, 건국 연대와 건국지, 건국 뒤의 발전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얻어진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백제의 건국시조는 비류왕이었으며 그의 혈통은 부여계였다. 비류와 온조의 아버지는 북부여 왕 해부루의 후손인 우태였고 어머니는 졸본부여의 여인 소서노였다. 그러했기 때문에 백제 왕실은 성을 부여씨라 했던 것이다. 그러한 비류와 온조가 고구려 건국시조인 추모왕의 아들로 전해온 것은 추모왕이 비류와 온조의 계부였기 때문이었다.
백제는 처음 비류가 건국하였지만, 그는 건국 뒤 5개월 만에 후사를 두지 못하고 사망하여 그의 동생 온조가 왕위를 잇고 그 후손들이 대대로 게승하게 되었다. 그 결과 백제의 건국시조가 온조였던 것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백제의 건국 연대는 서기 전 18년이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백제의 건국 연대를 이보다 훨씬 늦은 서기 260~261년의 고이왕 때로 보거나 더 늦게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근거로 이 시기에 백제는 관제와 신분등급을 확립하고 법을 엄격히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는 점을 들고 있다.
그러나 백제가 이 시기에 관제와 신분등급 제도를 확립하고 법을 엄격하게 한 것은 정치개혁을 단행하여 중앙권력을 한층 강화하고자 했던 것으로서 백제 사회가 정치적으로 그만큼 발전했음을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백제의 건국 연대는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라 서기 전 18년으로 보아야 하며, 고이왕 때의 기록은 백제의 국가권력이 증대되어음을 뜻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백제의 건국지를 지금까지는 하북위례성으로 보았다. 그러나 기록에 따르면 비류는 미추홀에 도읍했으므로 백제의 건국지는 미추홀이며 그곳은 지금의 임진강 유역에서 찾아야 한다.
미추홀에서 천도한 하남위례성은 지금의 경기도 하남시 교산동 지역으로 추정된다.
건국한 뒤 온조왕은 한의 거수국과 같은 위치에 있으면서 안정을 꾀하는 한편 동명왕묘를 세워 왕실의 전통과 권위를 세우고자 하였다. 하남위례성으로 도읍을 옮기고는 백성들을 위로하면서 농사에 힘쓰도록 격려하고 성을 쌓아 주민들이 안전하게 거주하도록 하였으며 궁궐을 신축하여 왕실의 위엄을 보였다.
기반이 닦이자 온조왕은 마한을 쳐서 그 영토를 지금의 정읍까지 확장하고 전국에 동부 · 서부 · 남부 · 북부 등 4부의 행정구역을 두었으며 그 아래에는 주와 군을 두었다. 그리고 장자상속법의 원칙을 세웠다. 다루왕은 대대적인 농지 개간사업을 벌여 쌀 생산이 크게 늘어났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고이왕은 안으로는 경제기반을 더욱 튼튼히 하고 밖으로는 신라를 제압하면서 중국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는 한편, 관제를 정돈하고 법령을 엄격히 하여 국가기강을 바로 세우고자 노력하였다. 개혁정치가 단행되었던 것이다.
이 시기에 고이왕은 좌장 진충을 보내 난하 유역에 있던 낙랑군을 습격하였다. 이후 백제는 산동성과 강소성 및 절강성 등지까지 그 세력을 확장하여 수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기 직전까지 중국 동부 해안지역을 지배했다.
백제는 중국 동부 지역의 영역확장에 주력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책계왕과 분서왕이 사망하는 시련을 겪었다. 그 뒤를 이은 비류왕은 국내의 안정에 주력하였다. 어려운 백성들에게 곡식을 나누어주어 생계를 유지하도록 하고 신라와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이 시기에 고구려는 지금의 요서 지역에 있었던 한사군을 완전히 몰아내고 그 지역의 고조선 옛 땅을 모두 수복한 뒤 백제와 신라를 통합하기 위하여 진출방향을 남쪽으로 잡고 있었다.
이러한 고구려의 침략에 대응하여 백제의 근초고왕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고, 박사 고흥에게 《서기》를 편찬하도록 하여 왕실의 권위와 정통성 · 신성성을 강화하였다.
서기 384년에는 동진에서 온 불교 승려 마라난타를 맞아 불교를 받들기 시작하였는데, 불교는 왕과 귀족의 현실적 지위를 뒷받침해 주는 합리적 논리를 제공해 주었다.
침류왕이 사망하자 왕위 계승을 싸고 심한 갈등이 있었으나, 아신왕은 왕위를 회복하여 국내의 기강을 세우고 왜와 관계도 증진시켰다.
아직기와 왕인을 왜에 보냈는데, 아직기는 왜의 태자 菟道稚郞子(우지노와키이라스코)에게 경전을 가르쳤으며, 왕인은 《논어》와 《천자문》을 왜에 전하고 왜 태자의 스승이 되어 모든 전적을 가르쳤다. 그리고 眞毛津이라는 縫衣工女, 卓素라는 冶工, 西素라는 織造工 들을 보내 진보된 백제 문물울 왜에 전하였다.
그러나 아신왕은 고구려 광개토왕의 남진정책에 부딪혀 많은 군사를 잃고 넓은 땅을 빼앗기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백제의 개로왕은 북위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협공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고구려 군대에 도읍인 한성이 포위되고 살해당하는 비운을 맞았다.(1)
백제의 건국과 마한의 멸망
1) 소서노 여왕의 백제 건국
〈백제 본기〉는 〈고구려 본기〉보다 훨씬 더 잘못 기술되었다. 백제 역사가 백 수십 년 정도 삭감되었음은 물론이고 시조와 시조의 출신까지 잘못 기술되었다. 백제 시조는 소서노 여왕이다. 그는 지금의 한양인 하북위례성에 도읍을 정했다. 그가 죽은 뒤 두 아들 비류·온조가 각각 미추홀(지금의 인천)과 하남위례성1)에 도읍을 정했다. 비류는 금방 망하고 온조만 계속 왕 노릇을 했다. 〈백제 본기〉는 소서노 이야기를 쏙 뺀 채, 서두에서 비류·온조가 미추홀·하남위례성에서 분립한 사실부터 기록했다. 또 〈백제 본기〉는 온조왕 13년에 온조가 하남위례성으로 도읍을 옮겼다고 했다. 이것은 온조가 하남위례성에서 하남위례성으로 천도했다는 말이 되는 것이니, 어찌 우스갯소리가 아니겠는가. 이것이 〈백제 본기〉의 첫 번째 오류다.
비류·온조의 아버지는 소서노의 전 남편인 우태다. 우태가 부여씨이므로, 비류·온조의 성씨도 부여다. 근개루왕(개로왕)도 “백제는 부여에서 나왔다”고 말했다. 따라서 〈백제 본기〉에서 비류·온조를 추모의 아들이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이것이 두 번째 오류다. 이런 오류를 교정한 상태에서 백제 건국의 역사를 설명하고자 한다.
우태의 부인인 소서노가 비류·온조 두 아들을 낳고 과부로 살다가 추모왕과 재혼한 뒤, 재산을 바쳐 추모왕을 돕고 고구려 건국에 기여했다는 점은 이번 장의 제3절에서(‘제2절 고구려의 발흥’의 오기인 듯하다_옮긴이) 서술했다. 추모왕은 소서노를 정실부인으로 대접하고 비류·온조를 친자식처럼 사랑했다. 그러나 추모의 아들인 유류가 어머니 예씨와 함께 동부여에서 돌아오자, 예씨가 제1왕후가 되고 소서노가 제2왕후가 되었으며, 유류가 태자가 되고 비류·온조가 덤받이 자식(전처소생_옮긴이)이 되었다. 그러자 비류가 동생 온조에게 “고구려 건국의 공이 거의 다 우리 어머니한테 있는데도, 어머니는 왕후 자리를 빼앗기고 우리 형제는 기댈 데가 없어졌다. 대왕이 계실 때도 이러하니, 대왕이 돌아가시고 유류가 왕위를 이으면 우리가 어디에 기대겠느냐? 차라리 대왕이 살아 계실 때 어머니를 모시고 딴 데 가서 살림을 차리는 게 낫겠다”라고 상의했다.
비류와 온조는 이런 생각을 소서노에게 알렸다. 소서노는 추모왕에게 요청해서 금은보화를 나눠 가진 뒤, 비류·온조 두 아들과 오간·마려 등 18명을 데리고 낙랑국을 지나 마한에 들어갔다. 당시 마한왕은 기준의 자손이었다. 소서노는 마한왕에게 뇌물을 바치고, 마한 땅의 서북 100여 리에 해당하는 미추홀과 하북위례성 등을 얻었다. 이어 왕의 자리에 오르고 국호를 백제라 하였다.
그 후 강성해진 서북쪽의 최씨 낙랑국이 압록강의 예족을 은밀히 도와 백제를 심하게 압박했다. 낙랑국과 친했던 소서노는 처음에는 예족만 경계했다. 그러나 예족의 침입이 낙랑국의 사주에 의한 것임을 안 뒤로, 낙랑국과 절교하고 성책을 쌓아 방비했다.
〈백제 본기〉에서는 낙랑왕이라 하지 않고 낙랑태수라고 했다. 이는 백제 역사를 몇 백 몇 십 년 삭감한 뒤, 거기에 맞는 중국 제도를 찾다 보니 생겨난 결과다. 그래서 낙랑왕을 한사군 낙랑태수라고 한 것이고, 예족을 말갈족이라고 한 것이다. 신라 말엽에 예족을 말갈족으로 표현한 당나라 책을 보고 기존 서적의 예족을 모두 말갈로 고치다 보니 이렇게 된 것이다.
깊이 읽기
백제의 건국 연도와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편에 따르면, 소서노와 비류·온조는 유류가 추모왕을 찾아온 뒤에 고구려를 떠나 한강변에 가서 백제를 세웠다. 〈고구려 본기〉 동명성왕 편에 따르면, 유류(유리)가 추모왕을 찾아온 것은 고구려가 건국된 지 18년 뒤였다. 따라서 고구려가 건국되고 적어도 18년이 경과한 뒤에 백제가 세워진 것이다. 〈고구려 본기〉 보장왕 편에 따르면, 고구려가 망한 668년에 당나라의 가언충이 당고종에게 “올해는 고구려 건국 900년이 되는 해입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의하면 고구려는 기원전 233년에 세워진 나라다. 한편, 북한 학계에서는 고고학적 유물을 토대로 고구려가 기원전 277년에 세워졌다고 주장한다. 가언충의 말이 사실이라면 백제는 기원전 215년 이후에 세워졌을 것이고, 북한 학계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백제는 기원전 259년 이후에 세워졌을 것이다. 어느 쪽이 맞든 간에, ‘백제는 기원전 18년에 세워졌다’는 《삼국사기》의 내용과는 차이가 있다.
위례성의 위치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편에 따르면, 소서노가 죽은 직후에 온조가 “도읍을 옮겨야 하겠다”라면서 한강 남쪽으로 순시하러 떠나는 장면이 나온다. 이것은 그 이전까지는 백제 수도가 한강 북쪽에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강 북쪽에 있었던 도읍이 바로 하북위례성이다. 하북위례성의 정확한 위치가 어디인지에 관해서는 아직 결론이 도출되지 않았다. 북한산 근처로 보는 학자들도 있었고 중랑천 유역으로 보는 학자들도 있었다.
2) 소서노 사후에 두 아들의 분열과 흥망
소서노는 재위 13년에 사망했다. 그는 조선 역사상 유일한 여성 건국자이며, 고구려·백제 두 나라를 건설한 사람이다. 소서노가 죽은 뒤에 비류와 온조는 다음과 같이 의견을 모았다. “낙랑과 예족의 압박이 날로 심해지는 속에서 어머니 같은 분이 없으면 이 땅을 지킬 수 없으니, 차라리 새 터를 찾아 천도하는 게 마땅하다.”
두 형제는 오간·마려 등과 함께 지금의 한양 북악인 부아악(負兒岳)에 올라 수도로 삼을 만한 자리를 찾아보았다. 비류는 미추홀을 생각하고 온조는 하남위례성을 생각하니, 두 형제의 의견이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 오간·마려 등은 한결같이 비류에게 충고했다. 하남위례성은 북으로는 한강을 등지고 남으로는 풍부한 못을 안고 동으로는 높은 산을 끼고 서로는 큰 바다를 둔 훌륭한 요새이므로, 이곳을 버리고 다른 데 갈 이유가 없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비류가 듣지 않았기 때문에, 형제는 할 수 없이 토지와 인민을 나눌 수밖에 없었다. 비류는 한쪽 인민을 차지하고 미추홀을 거점으로 삼았으며, 온조는 다른 쪽 인민을 차지하고 하남위례성을 거점으로 삼았다. 이로써 백제가 동서로 갈리게 되었다.
〈백제 본기〉에 기록된 온조 13년까지는 소서노의 연대이고, 익년인 14년은 온조의 원년이다. 온조 13년에 발표한 도읍 이전의 명령은 비류와 충돌한 뒤 자신을 따르는 인민에게 내린 것이다. 또 온조 14년(실은 온조 1년)에 “한성 백성을 나누었다”고 한 것은 두 형제가 인민을 갈라 각자의 서울로 간 사실을 가리킨다. 미추홀은 메주골이고 위례성은 오리골(본래는
리골)이다. 오늘날에도 어느 동네든 흔히 동쪽에 오리골이 있고 서쪽에 메주골이 있다. 왜 그런지는 알 수 없지만, 그 기원이 오래되었음은 알 수 있다.
그런데 비류의 미추홀은 토지가 습하고 물이 짰다. 그래서 백성들이 살 수 없다며 흩어져 달아났다. 하지만 온조의 하남위례성은 물과 풍토가 적당하고 오곡이 잘 자라 인민이 편안히 살 수 있었다. 비류가 분통해하며 병들어 죽은 뒤, 신하와 백성이 다들 온조에게 가니 동서의 두 백제가 다시 하나가 되었다.
깊이 읽기 소서노와 온조
신채호는 소서노가 초대 백제왕 즉 초대 ‘어라하’이고 온조는 두 번째 왕이라고 했다. 신채호가 제시한 핵심 근거는 《삼국사기》 기록의 모순이다. 《삼국사기》에서는 온조가 하남위례성에서 백제를 세웠다고 했다. 이렇게 하남위례성에서 백제를 세운 온조가 백제 건국 12년 만에 소서노가 죽자 도읍을 하남위례성으로 옮겼다고 《삼국사기》는 말한다. 바로 이 대목이 이상하다는 게 신채호의 지적이다. 백제 수도가 하남위례성에서 하남위례성으로 바뀌었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 것이다. 역사적 사실을 은폐하려다 보니까 이런 모순이 생겼다는 것이 신채호의 생각이다. 하북위례성이 백제 최초의 도읍이고 그곳에서 소서노가 왕이었던 사실을 숨기고자 하니까 이런 모순이 생겼다고 판단한 것이다.
신채호가 제시한 근거 외에도 소서노가 초대 왕이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들이 있다. 중요한 것 세 가지만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소서노의 지위가 단순히 왕의 어머니에 그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소서노는 고구려를 세우기 전에나 후에나 항상 자기 세력을 갖고 있었다. 그의 추종 세력에는 비류·온조도 포함되어 있었다. 두 사람은 어머니의 명령을 받는 입장이었다. 이런 상하 관계가 백제 건국 당시에도 그대로 유지됐다고 보는 게 이치적이다. 소서노가 죽은 뒤에 온조는 “어머니가 돌아가시니 정세가 편안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여기서 말한 정세는 백제를 둘러싼 국제정세를 가리킨다. 만약 소서노가 단순히 왕의 어머니였다면, 소서노가 죽는다고 국제정세가 위태해질 리가 없었다. 하지만 소서노가 왕이었다고 보면 이 모든 게 자연스러워진다.
둘째, 소서노의 죽음이 정치적인 죽음이었고 그것이 도읍 천도의 원인이었다는 점이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는 소서노의 죽음에 대해 “호랑이 다섯 마리가 성 안에 들어왔다. 왕의 어머니가 죽었다”고 기록했다. 호랑이들이 성에 침투하고 왕의 어머니가 죽었다는 식의 기록 방식은 쿠데타에 의한 왕의 죽음을 가리킬 때에 흔히 사용되었다. 신라 박혁거세와 백제 동성왕은 쿠데타로 죽었는데, 《삼국사기》에는 박혁거세가 죽기 전에 용 두 마리가 경주에 출현했다고 했고, 동성왕이 죽기 전에도 호랑이 두 마리가 출현했다고 했다. 왕의 죽음을 이렇게 은유적으로 표현한 점을 고려할 때, ‘호랑이의 침투에 이은 소서노의 죽음’은 쿠데타에 의한 소서노의 죽음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소서노의 죽음이 정변에 의한 것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렇게 소서노가 정변으로 죽자마자 온조가 도읍을 옮겼다. 소서노가 단순히 왕의 어머니였다면 소서노가 죽었다는 이유로 도읍을 옮길 필요가 있었을까?
셋째, 소서노가 죽을 당시에 소서노와 온조의 관계가 안 좋았던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자기 거처보다 부모의 사당을 먼저 세우는 것이 상식이었다. 이 점은 《예기(禮記)》에도 반영되어 있다. 《예기》 〈곡례〉에서는 “군자가 집을 지을 때는 사당이 가장 먼저이고, 마구간과 창고가 그 다음이며, 자기 거처는 맨 나중이다”라고 했다. 군자는 부모의 사당을 먼저 짓고 그 다음에는 마구간이나 창고 등과 같은 실용적인 장소를 짓고 맨 나중에 자기 거처를 지어야 한다고 했다. 이런 관념은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상식이었다. 이런 상식을 위반하는 인물은 통치자의 정당성을 획득하기 힘들었다. 그런데 온조는 이런 상식을 위반했다. 소서노가 죽자마자 온조는 도읍을 옮기고 새로운 궁궐을 지었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서는 이 궁궐이 화려했다고 했다. 온조는 자기 궁궐을 짓고 2년이 넘은 뒤에야 비로소 어머니 소서노의 사당을 지었다. 어머니가 죽고 4년이 넘은 뒤에야 사당을 세운 것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온조와의 사이가 안 좋은 상태에서 소서노가 사망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정황들을 보면 백제 초대 어라하인 소서노가 온조의 쿠데타로 암살당했을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온조의 마한 점령
백제는 마한의 땅을 얻어 건국했으므로 소서노 이래로 마한에 대해 신하의 예를 다했다. 수렵을 하면 노루·사슴을 마한에 보냈고, 전쟁을 하면 포로를 마한에 보냈다. 소서노 사후, 온조는 예족과 낙랑을 방어할 목적이라면서, 북으로 패하(지금의 대동강)로부터 남으로 웅천(지금의 공주)까지를 백제 땅으로 획정해달라고 요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이후 온조는 웅천으로 가 마한과의 국경에 성책을 쌓았다. 그러자 마한왕이 사신을 보내 온조를 힐난했다. “왕의 모자가 처음 남쪽으로 왔을 때 발 디딜 땅도 없었다. 내가 서북의 100리 땅을 떼어주었기에 오늘날의 백제가 있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제 국력이 좀 세졌다고 우리 강토를 침범하고 성책을 쌓으니, 이 어찌 의리상 있을 수 있는 일인가?”
그러자 온조는 거짓으로 죄스러워하며 성책을 헐었다. 하지만 측근들에게는 “마한왕의 정치가 어지럽고 국세가 쇠약해졌으니, 지금 취하지 않으면 딴 사람 손에 돌아갈 것”이라고 말하고, 얼마 뒤 사냥을 핑계 삼아 마한을 습격하고 도읍을 점령했다. 또 50여 개의 소국을 토벌하는 한편, 마한의 유민으로 의병을 일으킨 주근의 일족을 참살하였는데, 온조왕의 잔학상이 매우 심했다.
기준은 남쪽으로 도망해서 마한의 왕위를 차지하고 성을 한씨로 바꾸었다. 이것이 후손들에게 이어지다가 이때 와서 망했다. 《삼국지》에서 “기준의 후예가 끊어지자, 마한 사람이 스스로 왕이 되었다”고 한 것은 이를 가리킨다. 여기서 온조를 ‘마한 사람’이라고 한 것은 중국인들이 항상 백제를 마한이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온조는 고구려 유류·대주류왕과 동시대 사람이다. 온조대왕 이후에 낙랑이 침입했다는 기록이 없는 것은 이미 대주류왕이 낙랑을 멸망시켰기 때문이다.(2)
백제의 대방 점령과 반걸양 전투
백제 근초고왕은 처음에는 왕후 진씨를 총애했다. 그래서 왕후의 친족인 진정(眞淨)을 조정좌평(朝廷佐平)1)에 임명했다. 진정은 이런 힘을 믿고 발호하여 신하들을 억누르고 백성의 재산을 침탈하며 20년간이나 국정을 어지럽혔다.
태자 근구수는 영명하여, 마침내 진정을 파면하고 정치적 폐단을 개혁했다. 또 대방의 장씨로부터 항복을 받고 그 땅을 백제의 군현으로 만들었다. 그는 육군의 제도를 개량한 데 이어 해군을 창설하여 바다 건너 중국까지 침략할 야심을 품었다.
당시 고구려 고국원왕은 환도성을 버리고 평양성으로 천도했다. 그는 선비족에게 당한 치욕을 남방에서 보상받을 생각으로 백제를 자주 침공했다. 서기 369년에 그는 기병·보병 2만 명을 황·청·적·백·흑 5기(旗)로 나눈 뒤 반걸양(半乞壤, 지금의 벽란도)까지 당도했다. 그러자 근구수도 이에 맞서 출전했다.
이 일이 있기 전에 백제 국영 목장의 마부인 사기(斯紀)가 국마(國馬)의 발굽을 손상시킨 뒤 벌을 받는 게 두려워서 고구려로 달아난 적이 있었다. 그랬던 그가 고구려 군인이 되어 이 싸움에 나왔다. 비밀리에 군영을 나간 그는 근구수를 찾아가서 보고했다. “저들의 병력이 많기는 하지만, 거의 다 남의 이목을 속이고자 숫자만 채운 가짜 군사들입니다. 적기병(赤騎兵)2) 하나만 용맹하니, 이것만 격파하면 나머지는 저절로 궤멸될 것입니다.” 이 말을 받아들인 근구수는 정예병을 뽑아 적기병을 기습하고 고구려 군대를 쳐서 흩어지도록 만들었다. 그런 뒤 수곡성(水谷城, 지금의 신계(新溪)) 서북까지 진격하여 돌로 기념탑을 쌓고 패하(浿河, 대동강 상류로 지금의 곡산·상원 등지) 이남을 백제 땅으로 만들었다.(3)
고국원왕의 전사와 백제의 재령 천도
반걸양 전투 3년 뒤에 고국원왕은 빼앗긴 땅을 회복하기 위해 정예군 3만 명을 거느리고 패하를 건넜다. 근초고왕은 근구수를 보내 강의 남쪽 기슭에 복병을 숨겼다가 불의에 기습하도록 하여, 고국원왕을 죽이고 패하를 건너 그 이북을 함락했다. 그러자 고구려는 다시 국내성(지금의 집안현)으로 천도하고 고국원왕의 아들인 소주류왕(〈고구려 본기〉의 소수림왕)을 세워 백제를 저지했다. 상한수(上漢水, 지금의 재령강)에 도착한 근초고왕은 황색 깃발을 세우고 열병식을 크게 거행했다. 그는 서울을 상한성(上漢城, 지금의 재령)으로 옮기고 북방 진출에 박차를 가했다.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 편에서는 고국원왕이 평양으로 천도한 사실만 기록하고 소주류왕이 국내성으로 다시 천도한 사실은 기록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기존의 역사가들은 고국원왕 이후에는 고구려가 항상 평양 쪽에 서울을 둔 줄로 알았다. 그런데 고구려는 국내성을 고국천(故國川)·고국양(壤)·고국원(原)이라고 불렀다. 고국원왕의 시신이 국내성으로 천도할 때에 그곳에 매장됐기 때문에 고국원왕이라는 칭호가 나온 것이다. 이것은 이때 고구려가 국내성으로 도읍을 옮겼다는 첫째 증거가 된다. 또 광개토경평안호태왕의 비문에 따르면, 평안호태왕은 국내성에서 성장하여 국내성 부근에 매장된 게 명백하다. 이것은 평안호태왕 이전에 국내성으로 다시 도읍을 옮겼다는 둘째 증거가 된다. 이 같은 국내성 천도는 백제의 침략을 피하기 위함이었다.
한편,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서는 “근초고왕이 고구려 평양을 빼앗은 뒤, 물러나서 한성에 도읍을 두었다”고 했다. 〈지리지〉에서는 한성을 남(南)평양으로 불렀다. 《삼국사기》에는 이 외에도 한성을 고구려 남평양으로 부른 곳이 몇 군데 있다.
그런데 고구려는 장수왕 때에 지금의 한성을 한 차례 함락했을 뿐이다. 그 이전에는 이곳이 몇 년 몇 월에 고구려 땅이 되었다는 기록이 전무하다. 따라서 북평양은 북낙랑 즉 요동의 개평·해성 등지이고 남평양은 지금의 평양이다. 이것은 근초고왕 부자가 빼앗은 평양이 지금의 한성이 아니라 지금의 평양이라는 첫째 증거가 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따르면, 중반군(지금의 재령)의 또 다른 이름은 한성이었다. 따라서 백제가 평양을 격파하고 북진하여 지금의 재령에 도읍을 설치했다고 보면, 사리에 부합한다. 만일 근초고왕이 빼앗은 평양이 지금의 한성이라면, “고구려 평양을 빼앗아 도읍으로 삼다”라고 하거나 “고구려 한성을 빼앗아 도읍으로 삼다”라고 하지 않고 “고구려 평양을 빼앗은 뒤, 물러나 한성에 도읍을 두었다”라고 기록할 이유가 있었을까? 이는 근초고왕이 빼앗은 평양이 한성이 아니라 지금의 평양이라는 두 번째 증거가 되는 것이다.
〈백제 본기〉에서는 근초고왕이 도읍을 둔 한성 부근에 한수(漢水)와 청목령(靑木嶺) 같은 지명이 있었다고 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은 한수를 지금의 한강으로 보고, 청목령을 지금의 송악으로 본다. 하지만 고대에는 도성을 옮길 때 그 부근의 지명도 함께 옮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한수와 청목령 등은 근초고왕이 천도할 때에 함께 옮긴 지명이지 지금의 한강과 송악은 아니다. 원래 백제에는 세 개의 한강이 있었다. 첫째는 지금의 한성 부근에 있는 ‘한강(漢江)’이고, 둘째는 위에서 설명한 재령 한성의 ‘월당강(月唐江)’이고, 셋째는 훗날 문주왕이 천도한 직산 위례성(한성과 가까운 지금의 양성(陽城))의 ‘한내’였다. 이 책에서는 구별의 편의를 위해, 첫째는 중(中)한수 및 중한성으로, 둘째는 상(上)한수 및 상한성으로, 셋째는 하(下)한수 및 하한성으로 부르기로 한다.
깊이 읽기 《삼국사기》에 나타난 백제의 활동 영역
백제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은 기본적으로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 기초한 것이다. 여기서 형상화된 백제의 모습은 경기도·충청도·전라도에 국한된 소국의 이미지다. 하지만 신채호가 규명한 바에 따르면 백제는 황해도 재령에도 도읍을 둔 적이 있다. 또 본문에서 소개되겠지만 중국 역사서인 《송서(宋書)》·《양서》·《남사》에 따르면 백제는 한때 북중국에도 영토를 둔 적도 있다.
이뿐 아니라 백제가 남중국까지 진출했다는 점이 《삼국사기》에 수록된 최치원의 글에서도 나타난다. 《삼국사기》 〈최치원 열전〉에 따르면 최치원은 당나라에 보낸 글에서 “고구려와 백제의 전성기에는 강병 백만을 보유하여, 남으로 오월을 침범하고 북으로는 유·연·제·노를 흔들어 중국의 골칫거리가 되었습니다”라고 했다. 오월이란 곳은 지금의 상하이와 양자강 이남의 중국 강남 지방을 지칭한다. 이곳을 침범한 나라는 최치원의 글에 언급된 바와 같이 해상강국 백제였다.
백제는 가야·탐라 같은 해상강국들과 함께 동아시아 해역을 지배한 나라였다. 백제·가야·탐라의 해상세력은 이들 국가가 망한 뒤에도 계속해서 동아시아 해역을 지배했다. 당나라 때 상하이 앞바다의 주산열도에 설치된 바닷사람들의 기지가 신라방이나 신라번으로 불린 것도 바로 그 점을 보여준다. 신라방이나 신라번은 바다에 약한 신라인들이 만든 게 아니라, 백제·가야·탐라 멸망 뒤에 신라 국적을 갖게 된 백제·가야·탐라 유민들이 만든 것이었다. 신라 중심의 역사관에서 벗어나고 중국 대륙 중심의 역사관에서 벗어나면, 우리는 백제란 나라의 활동 범위가 얼마나 넓었으며 한민족의 해상 활동이 얼마나 광범위했는지를 알게 될 것이다.(4)
근구수왕 즉위 이후의 해외경략
근구수왕은 서기 375년에 즉위하여 10년간 재위했다. 그는 고구려와의 관계에서는 겨우 한 차례 평양을 침공했다. 하지만 그는 바다를 건너 중국 대륙을 경략하여 선비족 모용씨의 연나라와 부씨의 전진(前秦)을 정벌하여 지금의 요서·산동·강소·절강 등지의 광활한 영토를 확보했다. 이런 이야기가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는 없지만, 《양서》 및 《송서》에서 “백제가 요서군·진평군을 빼앗았다”라고 하고, 《자치통감》에서 “부여는 처음에는 녹산(鹿山)에 거점을 두었지만, 백제에 패배한 뒤 서쪽으로 옮겨가 연나라에 가까워졌다”라고 한 것이 그 점을 증명한다.
근구수는 근초고왕의 태자로서 아버지를 대신해서 군사와 국정의 대권을 처리했다. 그는 침입한 고구려를 격퇴한 뒤 반격에 나서 지금의 대동강 이남을 병합했다. 이후 해군을 확충하여 바다 건너 중국 대륙을 침입했다. 그는 모용씨를 쳐서 요서 지방과 북경을 빼앗고 요서·진평 2군을 설치했다. 또 녹산 즉 지금의 하얼빈까지 들어가서 부여 수도를 점령했다. 이 때문에 북부여는 지금의 개원(開原)으로 천도하게 됐다. 모용씨가 망한 뒤 지금의 섬서성에서 전진왕 부견이 강성해지자, 근구수는 지금의 산동 등지를 자주 정벌하여 전진을 곤란하게 만들었다. 또 남쪽으로는 지금의 강소·절강 등을 보유한 진(晋)나라를 쳐서 어느 정도의 지역을 빼앗았다. 그래서 여러 역사서에 그의 중국 진출에 관한 사실이 기록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럼, 《진서》·《위서》·《남제서》에서 이런 사실을 빠뜨린 이유는 무엇일까? 중국 사관들은 국치를 숨기는 못된 습관을 갖고 있다. 중국에 들어간 모용씨의 연나라나 부씨의 전진이나 탁발씨의 위나라나 요나라·금나라·원나라·청나라 같은 경우는, 중국인 자신들이 자기네의 역대 제왕으로 인정했기 때문에 그들의 업적을 있는 그대로 기록했지만 그 외의 경우는 거의 다 삭제했다.
당태종은 백제와 고구려를 압박할 때 장병들을 격려할 목적으로, 중국이 두 나라의 침입을 받은 사실을 없애고 중국에 있었던 두 나라 영토의 절반이 본래 중국 것이었던 것처럼 조작했다. 《진서》는 당태종이 직접 저작에 개입한 책이므로, 백제 근구수왕이 중국에 대해 거둔 전공이 빠질 수밖에 없었다. 《위서》나 《남제서》 같은 것은 당태종 이전의 서적이므로 이 역시 근구수왕의 서방 정복을 의도적으로 삭제했을 것이다. 다만 《양서》나 《송서》에 나오는 ‘백제가 요서를 빼앗았다’는 문장은 기록 자체가 너무 간단하고 사실 관계도 매우 소략하므로 당태종이 우연히 이런 기록에 주목하지 못해 후세에 그대로 전해졌을 것이다.
그럼, 〈백제 본기〉에서는 어떤 이유로 이런 사실을 빠뜨렸을까? 이는 신라가 백제를 증오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일부러 이런 사실을 뺐을 것이다. 일부러 뺀 게 아니라면, 후세에 사대주의가 성행한 탓에 중국 역사서에 기록된 범위에서만 조선의 중국 침략 사실을 인정하다 보니 그 외의 것들은 삭제하게 되었을 것이다.
근구수왕의 무공에 관한 기록만 삭제된 게 아니라, 문화 방면에 관한 그의 업적도 많이 삭제됐다. 근구수왕은 10여 년간은 태자로, 10년간은 대왕으로 백제의 정권을 잡았다. 그런데 〈백제 본기〉에 적힌 근구수왕의 문화적 사업은 박사 고흥을 기용해서 백제 역사서인 《백제서기》를 지은 것 한 가지뿐이다.
나는 일본 역사에 나오는 성덕태자(쇼토쿠 태자_옮긴이)의 업적은 거의 다 근구수왕의 것을 훔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근구수(近仇首)의 근(近)은 ‘건’으로 발음됐다. 또 백제 때는 성(聖)이 ‘건’으로 발음됐다. 따라서 근초고·근구수·근개루의 ‘근’은 다 성(聖)을 뜻한다. 근구수의 구수(仇首)는 ‘구수’로 발음된다. 구수는 마구(馬廐, 마구간_옮긴이)를 가리킨다. 일본 성덕태자의 ‘성덕’이란 칭호는 ‘근구수’의 근(近)에서 딴 것이다. 성덕태자가 마구간 옆에서 탄생했기에 구호(廐戶)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했으니, 이는 근구수의 구수를 본뜬 것이다. 이로써 미루어 볼 때, 성덕태자가 헌법 17개 조를 제정했다고 한 것과 불법(佛法)을 수입했다고 한 것은 근구수왕의 공적을 흠모한 일본인들이 그의 공적을 본떠 성덕태자 전기에 넣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백제 침류왕 원년 9월1)에 서역 승려인 마라난타가 “진(晋)나라에서 왔다”고 했다. 역사가들은 이를 근거로 백제가 불교를 수입한 시점을 침류왕 원년으로 잡고 있다. 그런데 《삼국사기》에서는 이전 임금의 말년을 새로운 임금의 원년으로 삼곤 했다. 그래서 이전 임금 말년에 일어난 사건을 새로운 임금 원년에 일어난 사건으로 잘못 기록한 예가 허다하다. 이 문제는 별도로 논의하고자 한다. 《삼국사기》의 이 같은 습관에 따르면, 마라난타가 백제에 들어온 해는 근구수왕 말년이지 침류왕 원년이 아니었다.
깊이 읽기 중국 사서에 등장하는 백제
백제가 중국 땅을 지배했다는 점은 중국 역사서에서도 잘 증명된다. 본문에 언급된 《양서》와 《송서》 외에 《남사》의 〈이맥 열전〉에서도 “고구려가 요동을 빼앗자, 백제도 요서·진평 2개 군을 소유하고 직접 백제군을 두었다”고 했다. 《양서》는 당나라 때인 629년에 편찬된 양나라의 역사서이고, 《송서》는 남북조시대인 488년에 편찬된 유송(劉宋)의 역사서이며, 《남사》는 당나라 때인 659년 이후에 편찬된 남쪽 왕조 즉 유송·남제·양나라·진(陳)나라의 역사서다.
한국 역사서도 아닌 중국 역사서에서 백제의 중국 지배를 인정했는 데도 한국 역사학계에서는 이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런데 그 부인의 근거가 좀 이상하다. 실증을 중시할 뿐 아니라 소신이 강한 역사학자라는 평가를 받는 김한규의 《한중관계사 Ⅰ》(아르케, 1999)에서조차 별다른 근거 없이 백제의 중국 지배를 부정하고 있다. 이 책 175쪽에 이런 내용이 있다. “정사(正史)에 여러 차례 등장하는 사실(史實)을 단정적으로 부정하거나 무시하기도 어려운 일이지만, 백제가 점유하고 있었다는 진말(晋末)의 요서는 선비 모용씨에 의해 점유되어 있었기 때문에 백제가 요서에 군현을 보유하였다는 정황적 개연성이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진평이군(晋平二軍) 혹은 ‘진평군 진평현(晋平郡晋平縣)’의 소재를 확인하기 어렵고, 요서 점유의 당사자인 백제와 북조의 사서나 사료에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까닭에, 이 백제 요서 점유설은 합리적으로 이해하기가 결코 쉽지 않다.”
김한규는 ‘진나라 말기에는 선비족 모용씨가 요서를 점령하고 있었기 때문에 백제가 요서에 군현을 두었을 리 없다’고 기술했다. 하지만 어디까지를 요서 지방이라고 하며 선비족이 항상 요서 전역을 지배했는지에 관한 명확한 사실 확인도 없이 백제의 중국 지배를 그냥 막연하게 부인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백제가 중국을 지배했다는 점은 백제도 아닌 중국의 역사서에 엄연히 기록되어 있다. 중국은 자국의 역사는 과장해도 남의 역사는 과장해주지 않는다. 따라서 백제가 중국 요서 지방을 점령했다는 것은 아주 확실한 사실이다. 따라서 이것을 부정하려면, 보다 더 확실한 반증을 제시해야 한다. 단순한 추정만으로 확실한 증거를 부정하는 것은 올바른 학자의 자세가 아니라고 생각 할 수밖에 없다.
백제나 북중국의 역사서에 이 사실이 기록되지 않은 이유도 얼마든지 이해할 수 있다. 백제 역사서인 《삼국사기》 〈백제 본기〉를 기록한 김부식은 기본적으로 백제를 폄하하기 위한 의도에서 백제 역사를 기술했다. 또 침략을 받은 당사자인 북조 즉 북중국 왕조의 역사서에 이 사실이 기록되지 않은 이유도 얼마든지 이해할 수 있다. 이민족에게 침략당한 사실을 가급적 숨기는 태도는 중국 역사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어떤 역사학자들은 ‘침략을 받은 당사자가 아닌 남중국 왕조들의 역사서에 백제의 북중국 점령 사실이 나타난 것은 남중국 왕조들이 북중국 왕조들을 폄하하려는 의도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추론을 내놓는다. 하지만 《남사》나 《양서》는 남중국 왕조의 역사서이기는 하지만, 이 책들은 중국 전역이 통일된 당나라 때 편찬됐다. 당나라는 북중국을 계승한 통일 왕조였다. 따라서 남중국 왕조가 북중국을 폄하할 목적으로 백제의 북중국 점령을 역사서에 기록해 놓았다는 일부 학자들의 주장은 타당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중국 역사서에 엄연히 기록된 역사적 진실을 부정하려면 훨씬 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중국 역사서에 기록된 중국의 한국 침략 사실은 무조건 믿으면서 중국 역사서에 기록된 한국의 중국 침략 사실은 “설마?” 하며 믿지 못하는 것은 역사학자로서의 공정한 자세가 아니다.
그런데 북중국을 계승한 당나라가 이런 사실을 역사 기록에 남긴 이유는 무엇일까? 또 당나라 때 편찬된 《남사》나 《양서》에는 백제의 중국 진출이 기록된 데 비해 같은 당나라 때 편찬된 《진서》 등에는 이런 사실이 기록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 점에 관해서는 본문에서 신채호가 직접 대답할 것이다.(5)
<자료출처>
(1) 윤내현, 한국열국사연구, 214-217쪽
(2) [네이버 지식백과] 백제의 건국과 마한의 멸망 (조선상고사, 2014. 11. 28., 신채호, 김종성)
(3) [네이버 지식백과] 백제의 대방 점령과 반걸양 전투 (조선상고사, 2014. 11. 28., 신채호, 김종성)
(4) [네이버 지식백과] 고국원왕의 전사와 백제의 재령 천도 (조선상고사, 2014. 11. 28., 신채호, 김종성)
(5) [네이버 지식백과] 근구수왕 즉위 이후의 해외경략 (조선상고사, 2014. 11. 28., 신채호, 김종성)
<참고자료>
신채호, 조선상고사, 일신서적출판
리지린 지음 이덕일 해역, 고조선연구, 말, 2018
윤내현, 한국열국사연구, 지식산업사, 1999
신용하, 고조선 국가형성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2010
이기훈, 동이한국사, 책미래, 2021
정형진, 한반도는 진인의 땅이었다, 알에이치코리아, 2014
백제(百濟)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백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네이버 지식백과] 남낙랑·동부여의 존망과 고구려·백제의 관계1) (조선상고사, 2014. 11. 28., 신채호, 김종성)
"'일본국보' 칠지도는 408년 백제 전지왕이 왜왕에 하사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daum.net)경향신문 2021. 6. 28.
"백제 초기역사 300년 수용해야" (daum.net) 2007. 6. 7.
"부여 계승한 백제, 해외까지 진출한 글로벌 국가였다!" (brainmedia.co.kr)2015년 11월 13일
The Little Known Ancient Korean Sites of the Baekje Kingdom Finally Receive Worldwide Recognition | Ancient Origins (ancient-origins.net)UPDATED 28 SEPTEMBER, 2018 - 01:43 ROBIN WHITLOCK
동맹이론으로 ‘해상강국 백제’ 증명한 중국인 판보싱|신동아 (donga.com) 2013-12-23
해상과 대륙을 지배경영한 백제와 로마:플러스 코리아(Plus Korea)2008/04/25
[열린세상] 늦가을 부여를 유람하다/황규호 ‘한국의 고고학’ 상임편집위원 | 서울신문 (seoul.co.kr)2007-11-17
‘백제의 혼’을 깨운다 | 서울신문 (seoul.co.kr)서울신문 최여경기자 2007-10-03
백제 -‘구드래’와 ‘구다라’ - munhwa.com문화일보.2007-09-27
[이용원 칼럼] 백제를 꿈꾸며 | 서울신문 (seoul.co.kr) : 2007-02-15
삼태극 | 한반도의 고구려 고분벽화는...대부분 백제의 것이다. - Daum 카페
잊혀진 제국- 백제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여러나라시대 > 백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백제 고고학 (3) 공주 무령왕릉 및 왕릉원 (30) | 2024.10.05 |
---|---|
3. 백제 고고학 (1) 풍납토성 (4) | 2024.08.18 |
2. 백제의 강역 (1) 위례성은 어디인가? (2) | 2024.05.29 |
1. 백제 (3) 538~660년 사비도읍기(성왕-위덕왕-혜왕-법왕-무왕-의자왕) (2) | 2021.07.05 |
1. 백제 (2) 475∼538년 웅진도읍기(문주왕-삼근왕-동성왕-무령왕-성왕) (2) | 2021.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