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력사를 찾아서

2. 조선의 강역 (4) 조선의 북계 본문

남국/조선

2. 조선의 강역 (4) 조선의 북계

대야발 2024. 8. 8. 22:57
SMALL

 

 

 

 

 

조선의 강역도 고려와 마찬가지로 공험진부터 철령이 북계였습니다.

 

 

 

고려, 조선 및 중국 사료들이 말하는 고려의 북방강역. 지금의 요령성 진상둔진이 옛 철령이고, 흑룡강성 영안현이 공험진이다. 이케우치 히로시가 함경남도로 끌어내린 북방 강역을 100년째 추종하는 것이 이 나라의 부끄러운 현실이다.

(출처; [이덕일의 새롭게 보는 역사] 압록강 서북쪽 ‘철령’은 요동… 일제때 함경남도 안변이라 우겼다 | 서울신문 (seoul.co.kr))

 

 

 

 

태종은 재위 4년(1404) 5월 19일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김첨(金瞻)과 왕가인(王可仁)을 명나라 수도 남경에 보내 두 나라 사이의 공식적인 국경선 획정을 다시 요구했습니다. 그래서 명 태조 주원장이 “철령 때문에 왕국(고려)에서 말이 있다”면서 철령~공험진까지를 그대로 조선 강역으로 인정했다는 내용입니다.

 

 

 

태종실록 7권, 태종 4년 5월 19일 기미 4번째기사 1404년 명 영락(永樂) 2년

계품사 김첨이 여진 지역을 조선에서 관할하기를 청하는 주본과 지도를 가지고 명에 가다

 

계품사(計稟使)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김첨(金瞻)을 보내어 경사(京師)에 가게 하였는데, 첨(瞻) 왕가인(王可仁)과 함께 갔다. 주본(奏本)은 이러하였다.

 

 

"조사해 보건대, 본국의 동북 지방(東北地方)은 공험진(公嶮鎭)으로부터 공주(孔州)·길주(吉州)·단주(端州)·영주(英州)·웅주(雄州)·함주(咸州) 등 고을이 모두 본국의 땅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요(遼)나라 건통(乾統) 7년(1107년)에 동여진(東女眞)이 난(亂)을 일으켜서 함주(咸州) 이북의 땅을 빼앗아 웅거하고 있었는데, 고려(高麗) 예왕(睿王) 왕우(王俁)가 요(遼)에 고(告)하여 토벌할 것을 청하고 군사를 보내어 회복하였고, 원(元)나라 초년(初年) 무오년(戊午年)에 이르러 몽고(蒙古)의 산길보지(散吉普只) 등 관원이 여진(女眞)을 거두어 부속시킬 때에, 본국(本國)의 반민(叛民) 조휘(趙暉) 탁청(卓靑) 등이 그 땅을 가지고 항복하였으므로, 조휘로 총관(摠管)을 삼고, 탁청으로 천호(千戶)를 삼아 군민(軍民)을 관할하였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여진(女眞)의 인민(人民)이 그 사이에 섞여 살아서, 각각 방언(方言)으로 그들이 사는 곳을 이름지어 길주(吉州)를 ‘해양(海陽)’이라 칭하고, 단주(端州)를 ‘독로올(禿魯兀)’이라 칭하고, 영주(英州)를 ‘삼산(參散)’이라 칭하고, 웅주(雄州)를 ‘홍긍(洪肯)’이라 칭하고, 함주(咸州)를 ‘합란(哈蘭)’이라 칭하였습니다. 지정(至正) 16년(1356년)에 이르러 공민왕(恭愍王) 왕전(王顓)이 원나라 조정에 신달(申達)하여 모두 혁파(革罷)하고, 인하여 공험진(公嶮鎭) 이남을 본국(本國)에 환속(還屬)시키고 관리를 정하여 관할하여 다스렸습니다. ......

본국에서 즉시 상항(上項)의 사건으로 인하여 배신(陪臣) 밀직 제학(密直提學) 박의중(朴宜中)을 보내어 표문(表文)을 받들고 조정(朝廷)에 가서 호소하여 공험진 이북은 요동에 환속하고, 공험진 이남에서 철령까지는 본국에 환속시켜 주기를 빌었습니다. 당년 6월 12일에 박의중이 경사(京師)에서 돌아와서 예부(禮部)의 자문(咨文)을 받아 보니, 본부 상서(本部尙書) 이원명(李原明) 등 관원이 당년 4월 18일에 성지(聖旨)를 흠봉(欽奉)하기를, 철령의 일로 인하여 왕국(王國)에서 말이 있다.’ 하시고, 전과 같이 관리를 정하여 관할해 다스리게 하였습니다. 지금 흠차(欽差)하신 동녕위(東寧衛) 천호(千戶) 왕수(王脩)가 싸 가지고 온 칙유(勅諭)를 받들어 보니, ‘삼산(參散)·독로올(禿魯兀) 등처의 여진(女眞) 지역의 관민인(官民人) 등을 초유(招諭)한다.’ 하셨습니다. ......

이 때문에 지금 배신(陪臣)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 김첨(金瞻)을 보내어 주본(奏本)과 지형 도본(地形圖本)을 받들고 경사(京師)에 가게 하여 주달(奏達)합니다."

(출처; 조선왕조실록, https://sillok.history.go.kr/id/kca_10405019_004)

 

 

 

태종실록 4년 5월 19일자, “공험진부터 조선 강역이다”라는 내용이 실려 있다.

(출처; [이덕일의 새롭게 보는 역사] 이성계 때 고려 강역도 계승..'철령~공험진'까지 엄연한 조선 땅 (daum.net)2018. 3. 20.)

 

 

 

태종 4년(1404) 10월 1일 국서와 지도를 가지고 명나라에 갔던 김첨은 영락제의 칙서를 받아 돌아왔습니다.

 

 

“상주(上奏)하여 말한 삼산 천호 이역리불화 등 10처 인원을 살펴보고 청하는 것을 윤허한다. 그래서 칙유한다.”

 

 

삼산 천호 이역리불화 등 10처 인원이 사는 요동땅이 조선 강역임을 인정한다는 뜻이었습니다. 이로써 조선과 명나라의 국경선도 철령과 공험진이라는 사실이 영락제에 의해 재차 확인되었습니다. 태종은 조선과 명의 국경선이 심양 남쪽 철령부터 두만강 북쪽 공험진까지로 확정된 사실을 크게 기뻐하고 계품사 김첨에게 전지(田地) 15결을 하사했습니다.

 

 

 

 

(출처; 나무위키)

 

 

 

 

그런데 현행 교과서는 모두 세종 때 최윤덕과 김종서가 4군 6진을 개척해서 조선의 북방강역이 압록강~두만강까지 확장되었다고 쓰고 있습니다.

 

 

 

 

세종실록 21년 3월 6일자 “본국(조선) 강역은 공험진부터 철령까지”라는 내용이 실려 있다. 조선 북방강역이 심양 남쪽 철령부터 두만강 북쪽 공험진까지라는 내용이 실록에 계속 나오는 대로 현행 국정, 검인정 교과서는 모두 이케우치가 조작한 설을 추종해서 선조들의 강역을 축소시키고 있다.

(출처; [이덕일의 새롭게 보는 역사] 이성계 때 고려 강역도 계승..'철령~공험진'까지 엄연한 조선 땅 (daum.net)2018. 3. 20.)

 

 

 

그러나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에 조선의 북계가 공험진부터 철령까지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세종실록 84권, 세종 21년 3월 6일 갑인 2번째기사 1439년 명 정통(正統) 4년

 

계품사 공조 참판 최치운에게 주본을 들려 북경에 가게 하다

 

계품사(計稟使) 공조 참판 최치운(崔致雲) 북경에 보내게 하였는데, 그가 싸가지고 간 주본(奏本)에 말하기를,

"정통 4년 3월 초4일 배신(陪臣) 최사의(崔士儀)가 싸서 받들고 온 칙유(勅諭)를 공경해 보옵고, 신이 황송함을 이기지 못하와 여러 대의 반포해 내리신 야인을 처치하라는 칙유의 사리를 공경해 검사하옵고, 이제 이만주(李滿住) 등이 허구날조하여 주달(奏達)한 사유를 축조하여 아뢰오니, 엎드려 바라옵건대, 성자(聖慈)하심으로 범찰(凡察) 동산(童山) 등을 예전대로 생업을 편안하게 하시어 변방 백성을 편하게 하옵시면 소국에 매우 다행하겠으므로, 삼가 갖추 주문(奏聞)하나이다.

1. 영락 2년 5월 사이에 흠차 천호 왕수(王脩)가 받들고 온 칙서에, ‘삼산(三散) 독로올(禿魯兀) 등 10처의 여진인만을 초유(招諭)하라.’ 하고, 신의 아비 선신(先臣) 공정왕(恭靖王) 아무개가 홍무 21년간에 태조 고황제의 성지(聖旨)를 받으니, ‘공험진(公險鎭) 이북은 도로 요동(遼東)에 부속시키고, 공험진 이남 철령(鐵嶺)까지는 그대로 본국에 소속하라. ’는 사유를 허락하시매, 배신 김첨(金瞻)을 보내어 표문을 가지고 주달하게 하였더니

(출처; 조선왕조실록,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2103006_002)

 

 

 

 

 

<참고자료>

 

 

 

 

 

 

 

 

 

 

 

600년전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섰던 조선 천문학

2015. 9. 23. 17:39
조선 천재 천문학자 김담 탄생 600주년..한양 기준의 독자적 역법 구축 내일 고등과학원서 기념 학술회의
김담이 제작한 것으로 전해지는 천문도 (서울=연합뉴스) 조선 세종 시대의 천재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문절공 김담(1416∼1464)의 탄생 600주년을 앞두고 24일 서울 동대문구 고등과학원에서 기념 학술회의가 열린다. 김담은 문신 겸 천문학자인 이순지와 함께 당시 국립천문대에 해당하는 '간의대'에서 천체를 관측하고 독자적인 역법을 확립했다. 그림은 김담이 제작한 것으로 전해지는 천문도. 2015.9.23 photo@yna.co.kr

 

조선 천재 천문학자 김담 탄생 600주년…한양 기준의 독자적 역법 구축

내일 고등과학원서 기념 학술회의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내년은 조선 세종 시대의 천재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무송헌(撫松軒) 김담 선생(1416∼1464)이 태어난 지 600년이 되는 해다.

일반인에게는 생소한 이름이지만 그는 이미 600년 전에 우리 천문학의 깊이와 정교함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린 천문학자다.

 

김담은 19세에 집현전 학사가 된 뒤 문신 겸 천문학자인 이순지와 함께 당시 국립천문대에 해당하는 '간의대'에서 천체를 관측하고 독자적인 역법(曆法)을 확립했다.

우리 민족 최초의 자주적 천문학 체계를 수립한 것이다.

어릴 때부터 천재 소리를 들었던 김담은 19살 때 형 김증과 함께 문과에 급제해 형제가 같이 집현전 정자(正字·정9품)에 임명됐다. 집현전 학사 중 형제가 나란히 선발된 유일한 경우였다.

김담의 총명함은 곧 세종의 눈에 띄었고 천문학과 수학에 정통한 그는 이순지와 함께 문과 급제자로는 예외적으로 과학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김담은 천문학 외에도 세법, 측량, 제방 축조 등 수학 지식이 필요한 분야에서 크게 활약했다.

세계 과학사가 중에는 "14세기가 원의 곽수경, 16세기가 폴란드의 코페르니쿠스의 시대였다면 15세기는 세종의 시대였다"고 평가하는 사람도 있다.

세종은 1434년(세종 16년) 간의대(지금의 천문대)를 설치하고 이순지를 책임자로 임명했다. 이순지 모친상을 당해 자리를 비웠을 때 김담이 이를 대신 맡는데 이때 출중한 능력을 여실히 드러내 이후로도 이순지와 함께 일을 하게 된다.

김담은 이순지와 함께 '칠정산(七政算) 내편'과 '칠정산 외편'을 비롯한 많은 천문역서를 교정·편찬했는데 이 칠정산은 우리가 독자적으로 만든 최초의 역법이었다.

이전까지는 통상 중국의 역서를 수입해다 그대로 쓰는 데 그쳤지만 칠정산은 중국의 수시력과 대통력에 기반하면서도 베이징이 아닌 한양을 기준으로 제작됐다. 당시 전 세계에서 독자적인 지방시를 시행한 유수의 나라들에 조선이 이름을 올린 것이다.

 

그 결과 당시 김담 등은 한양의 일출·일몰 시각과 밤낮의 길이를 구했고, 한양의 동짓날 낮의 길이가 위도가 높은 베이징에 비해 14분 이상 길다는 것도 밝혀냈다.

또 이미 당시 1년의 길이가 365.2425일(실제 365.2422일), 한 달의 길이가 29.530593일라는 것까지 정교하게 계산해냈다.

심지어 세종 29년(1447년) 8월에는 그달 그믐에 있었던 일식과 보름에 있었던 월식을 예측하고 관측한 뒤 예측치와 관측치의 차이를 기록해 놓기도 했다.

'칠정'은 태양과 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 '7개의 움직이는 별'을 가리키며, 칠정산은 이를 이용해 날짜와 절기 등을 계산하는 법이란 뜻이다.

칠정산 편찬 과정에 사용된 정밀한 천문관측기구인 혼천의와 간의 등을 당시 세종과 조선학자들이 직접 제작했고, 이를 이용해 한양의 경·위도와 동·하지점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했다는 점도 놀라운 일이다.

박창범 고등과학원 교수는 "김담 등이 확립한 천문학은 한양을 기준으로 태양과 오행성을 계산할 수 있는 독자적인 체계였다는 점에서, 그리고 그 정확성이 동시대 다른 천문 연구보다 앞선다는 점에서 세계적 수준이었다"라고 평가했다.

김담이 체계화한 우리나라 천문학적 지식은 150년가량이 지난 뒤 또 한번 빛을 발했다.

태양계가 속한 우리 은하에서 가장 최근에 관측된 초신성에 대한 인류의 가장 정교하고 풍부한 관측 데이터가 조선왕조실록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우리 은하에서 가장 최근에 관측된 초신성은 1604년에 관측됐다. 400년째 우리 은하에서는 초신성을 구경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1604년의 초신성은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관측돼 '케플러 초신성'이라고도 불리지만, 케플러의 관측 데이터보다 더 상세하고 풍부한 기록이 조선왕조실록에 실려 있다.

특히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는 초신성의 밝기를 추정할 수 있는 자료가 담겨 있어 이 초신성이 어떤 유형인지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되고 있다.

고등과학원은 한국천문학회 부설 소남천문학사연구소 및 한국과학사학회와 함께 24일 서울 동대문구 고등과학원에서 김담 탄생 600주년 기념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김담의 후손이기도 한 김제완 서울대 명예교수(물리학)는 '케플러와 조선의 1604년 초신성 관측 비교'란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다음 달 10일에는 과천국립과학관이 '천문학자 김담의 밤'이란 주제로 김담의 생애와 업적에 대한 강연회를 연다. 내년 10월에는 과학문화진흥원이 주최하는 '김담 탄생 600주년 천문학 국제학술대회'가 김담의 고향인 영주의 동양대에서 개최된다.

박창범 고등과학원 교수는 "조선왕조실록의 초신성 관측 데이터는 케플러의 데이터가 담지 않은 정보를 제공해 이 초신성이 어떤 유형인지 밝혀낼 수 있게 해준다"며 "또 이는 초신성이 어떻게 진화하는지 연구하는 데 결정적인 데이터"라고 말했다.(1)

sisyphe@yna.co.kr

 

 

 

 

<참고자료>

 

 

(1) 600년전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섰던 조선 천문학 (daum.net) 2015. 9. 23. 

 

 

 

(2) [주간조선] 혜성의 꼬리 방향까지 기록한 조선시대의 천문학자들 (chosun.com)2014.03.04.  

 

 

 

(3) 국내 最古 천문도 따로 있다?|동아일보 (donga.com)2008-05-19 

 

 

 

(4) https://v.daum.net/v/20230804090307876 

 

 

 

(5) https://v.daum.net/v/20200108172504344

 

 

 

(6) 장영실의 첨단 물시계 ‘자격루’ 복원 (hani.co.kr)2007-11-21 

 

 

 

(7) https://v.daum.net/v/20230908085712401

 

 

 

(8) https://v.daum.net/v/20080430184103088

 

 

 

(9) https://v.daum.net/v/20160212205639866

 

 

 

(10) https://v.daum.net/v/20240820110821894

 

 

 

(11) https://v.daum.net/v/20240820170116362 

 

 

 

 

 

 

 

https://v.daum.net/v/20151021204556499

 

 

 

이순지·이천을 아시나요…장영실만 있는 것이 아니다 - 매경프리미엄 (mk.co.kr)2016.03.31

 

 
 

 

 

김담(金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이순지(李純之)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이천(李蕆)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장영실(蔣英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유리건판 궁궐사진전-자격루 (daum.net)2007. 12. 27.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