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력사를 찾아서

4. 후기신라 문화유산 (2)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 본문

남국/후기신라

4. 후기신라 문화유산 (2)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

대야발 2025. 1. 3. 12:21
SMALL

 

 

 

 

 

 

 

1966년 석가탑을 해체하다가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또는 《다라니경》은 대승불교 경전의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입니다.

 

 

1966년 10월 13일 경주 불국사 석가탑을 보수하기 위해 해체하다가 발견된 불교 경전의 8세기에 인쇄했던 목판본이다. 제2층 탑신부에 봉안되어 있던 금동제 사리외함(舍利外函)에서 다른 여러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와 함께 나왔다. 이는 현존하는 목판 인쇄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현재 국보 126-6호로 지정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복제품), 출처; 위키백과

 

 

 

본문 중에 중국 당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집권했을 때에만 사용되었던 무주제자가 발견되어, 불국사 삼층석탑이 중수되기 이전에 인쇄되었다고 인정된다. 704년에 다라니경이 산스크리트어에서 한문으로 번역되었고, 불국사가 세워진 것은 751년이기 때문에, 그 두 시기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1966년 당시에 묵서지편(墨書紙片)으로 알려진 종이 뭉치가 같이 발견되었다. 이 문서는 1988~89년에 보존 처리가 진행되었고, 1997~98년에 110쪽으로 분리하는 작업이 이뤄졌다. 이 중수기는 2005년과 2007년에 해석이 되면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제작 연대 논란을 일으켰다.(1)

 

 

 

 

불국사 석가탑서 나온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이하 무구정경)은 언제 만들어졌고 언제 석가탑 안으로 반입됐을까. 이 궁금증을 풀어줄 것으로 기대됐던 ‘묵서지편’(墨書紙片)이 판독됐으나 완전한 해답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다만 무구정경은 통일신라 때 것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 문서를 판독해 27일 보고회를 열었다. 학계에선 무구정경이 당초 통일신라 때 석가탑이 창건되면서 함께 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석가탑이 고려 때 수리됐다는 사실이 2005년 알려지면서 현존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인쇄물 중 하나로 꼽히는 무구정경의 제작 및 반입 시기에 논란이 일었다.

 

 

서울대 국사학과 노명호 교수와 언어학과 이승재 교수가 고려 이두로 적힌 묵서지편 110쪽을 판독한 결과, 고려 현종 15년(1024) 처음으로 석가탑을 해체하면서 무구정경 9편(偏)과 무구정경 1권(卷)을 사리공에서 수습했다가 안장(安藏)한 것으로 밝혀졌다. 원인은 지진으로 인한 탑의 파손이었다. 이때 ‘사리를 안장하되 전에 있던 물건들은 그대로 두고(前物不動)’라는 구절이 있어 무구정경이 신라 시대 석가탑 창건 때 안치한 것일 가능성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고려 정종 4년(1038)에 작성된 문서엔 ‘이 해 ○월 ○○일 대덕(大德, 승려) 숭영(崇英)이 보협인다라니경을 (사리공에 매)납(納)했으며 얼마 뒤 무구정경 1권을 ○했다’고 적혀 있다. 이 교수는 글자가 지워져 있어 정확한 내용은 판독할 수 없으나 문맥상 ‘납(納)’으로 추정했다. 이렇게 되면 고려 때 무구정경을 넣었다는 얘기가 된다. 이 무구정경이 신라 때 것을 그대로 다시 넣은 것일지, 고려 때 새로 제작해 넣은 다른 것일지는 미스테리다.




묵서지편 110쪽 중 하나. 박물관은 문서 사진을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에 공개했다. [사진제공=국립중앙박물관]

 


조사위원들은 이날 무구정경이 통일신라 시대의 것임을 뒷받침하는 여러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이승재 교수는 고려 때 새로 들어간 묵서지편은 사리함 밖 바닥쪽에서 나온 반면, 무구정경은 사리함 안 깊숙히서 발견된 대목을 들었다. 또한 무구정경의 서지나 서체 등으로 미뤄 신라 때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도 했다. 천혜봉 성균관대 명예교수는 무구정경 속에 중국 당나라의 여제인 측천무후의 재위 기간(685∼704)에만 사용됐던 측천무후자(字)들이 나왔다는 점을 들었다.(2)

 

 
 
 

국립중앙박물관은 불국사 석가탑에서 나온 무구정광대다라니경(무구정광경)이 8세기초 신라에서 제작된 인쇄물이 틀림없다고 밝혔습니다.

 

 

 

박물관은 최근 제작 연대 논란을 빚고 있는 석가탑 유물관련 종합 경과보고를 통해 "무구정광경의 제작 시대를 기존 통설과는 달리 설정할 특별한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이는 무구정광경이 고려 초기인 1024년 석가탑을 중수할 때 새로 만들어 넣었을 수도 있다는 일각의 문제제기를 공식 부인한 것이다.

 

박물관은 근거로 기존 학계의 통설 외에도 석가탑에서 나온 종이류를 현미경으로 확대 조사한 결과 서석탑(석가탑) 중수형지기, 보협인다라니경, 무구정광경 순으로 섬유조직이 치밀하게 나타난 점을 들었다. 이들 유물이 같은 시기에 제작된 것이라는 설명이다. 무구정광경은 1966년 금동사리함, 목탑, 묵서지편 등과 함께 발견돼 세계 최고(最古)의 인쇄본으로 평가받아 현재 국보 제126호로 지정돼 중앙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그러나 2005년 9월 묵서지편에 고려초 석가탑이 낡고 헐어 손질하여 고쳤다는 '중수기(重修記)'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무구정광경이 700년대 초에서 750년 사이에 제작된 것이라는 정설이 흔들렸다. 무구정광경이 중수 당시 안치된 것이라면 11세기 인쇄물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의 백만탑다라니경(770년)이 세계 최고 인쇄물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대해 이내옥 유물관리부장은 "두 차례의 X선 조사를 실시한 결과 무구정광경과 달리 제본을 위한 목제축 등을 발견할 수 없었다"며 "박물관 내부 연구진 판단으로는 통설을 뒤집을 만한 근거가 없고 오히려 무구정광경이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또 박물관측은 "묵서지편을 공개하지 않은 것은 보존상의 어려움 때문"이라며 "중수기를 비롯한 묵서지편은 발견 당시 떡이 된 상태였고 1990년대 후반까지도 우리 복원 기술로는 힘들어 보존처리에만 치중해왔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전정희 기자 jhjeon@kmib.co.kr (3)

 

 

 

1943년 조선총독부가 경주 구황리(九黃里) 3층석탑을 해체.수리하는 와중에 2층 지붕돌 안에서 금동사리함과 금동불상 2구를 비롯한 많은 유물을 발견했는데요, 사리함 뚜껑 안쪽에서 탑을 건립하게 된 내력을 담은 명문(銘文)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금동사리함 명문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보이고 있다.

 

"无垢淨光大陀羅泥經一卷安置石塔第二層"(무구정광/대다라니경/1권/안치/석탑/제2층).

 

약칭 '무구정경'이라 일컫는 불경(佛經) 1권을 석탑 2층에 안치한다(혹은 안치했다)는 내용이다. 이곳에서는 또 99개에 달하는 작은 탑(小塔)도 발견됐다.

 

석탑을 조성할 때 무구정경을 안치하고 그와 함께 소탑 99개도 같이 봉안하는 행위는 8-9세기 신라 석탑에서는 공식을 방불할 만큼 일정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당장 구황리 3층 석탑보다 약간 늦은 서기 751년에 건립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불국사 석가탑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1966년 10월 13일, 해체 수리 과정에서 다른 곳도 아닌 2층 사리함을 넣는 공간에서 무구정경(无垢淨經)을 출토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705년경에 건립된 경주 나원리(羅原里) 5층석탑, 화엄사 서(西) 5층석탑(755년 무렵 건립), 산청 석남사(石南寺) 5층석탑(766년), 경주 창림사(昌林寺) 석탑(855년), 봉화 취서사(鷲棲寺) 5층석탑(867년), 경주 황룡사 9층목탑 심초석 사리공(895년), 강원 선림원(禪林院) 3층석탑, 대구 동화사(桐樺寺) 금당 서탑, 봉화 서동리(西洞里) 동탑, 성주사(聖住寺) 석탑, 공주 동원리(東院里) 3층 석탑(이상 9세기 건립 추정) 등지에서도 무구정광을 안치했거나 소탑이 출토됐다.

 

신기하게도 이런 석탑 조성 패턴은 고려시대 개막과 더불어 종말을 고한다. 현재까지 조사성과로 볼 때 고려시대 이후에는 무구정경 대신에 '보협인다라니경'이라는 새로운 불경이 안치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오쿠라컬렉션에 소장 중인 고려 총지사 제작 보협인다라니경에는 통화(統和) 25년(1007)이라는 제작 연대가 명확히 보인다. 같은 고려초에 건립된 월정사 석탑에서도 같은 불경이 출토돼 현재 보존처리를 기다리고 있다.

 

이런 패턴으로 볼 때 고려초기에 석가탑을 중수(重修)한 내력을 담은 석가탑 중수기가 공개되었다고 해서, 더구나 그 중수기(重修記)가 고려초에 안치됐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고 해서, 그와 함께 1966년에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고려초에 제작됐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지게 된다. 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4)

 

 

 

 

한편 묵서지편에서 이두(吏讀)가 다량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석가탑에서 발견된 문서뭉치인 묵서지편(墨書紙片)에서 이두(吏讀)가 다량으로 확인됐다. 국어학계는 기존 학설의 수정이 이루어져야 할 만큼 문자발달사 연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두인 如加賜乙(여가사을)은 ‘다(하)+더시늘’로 읽히고 ‘같으시거늘’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현대어의 ‘같다’에 해당하는 형용사를 ‘如’로 표기하고, 어미를 이루는 ‘加賜乙’을 통합한 것이다
 
 

 

 

이같은 내용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천혜봉 전 문화재위원을 위원장으로 조사연구위원회를 구성해 묵서지편을 판독한 결과 드러났다.

이승재 교수는 “기존에 구결자로 알려진 몇몇 글자가 묵서지편에서는 이두문에 두루 쓰였다.”면서 “이런 사례는 아직껏 발견된 적이 없으므로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두자와 구결자의 혼용은 이두와 구결이 하나의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것임을 증명한다.”고 강조했다.

 

판독 결과 현종 15년 석가탑을 해체하면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9편(偏)과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권(卷)을 꺼냈다가 석탑을 다시 세우며 보협인다라니경(보협인경)과 함께 사리공에 안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정종 4년 중수할 때는 보협인경과 함께 무구정경 1권을 다시 넣었다고 적었다.

또 석가탑은 고려 현종 15년(1024년)에 해체 보수했지만,12년 만인 정종 2년(1036년) 대지진이 일어나는 바람에 중수 공사를 다시 벌여야 했다.

 

하지만 사리장치를 안장하는 등 복원 작업이 거의 마무리되어 가던 정종 4년(1038년) 다시 지진이 일어나, 또 한 차례 해체 수리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5)

 

 

https://youtu.be/BcYHerg6CEQ 

 

 

 

 

 

 

https://youtu.be/PMR-dL7sWSQ?list=PLRAmvpNm4pmn-yzj8I079dJRs2RumhCOl

 

 

 

 

 

 

 

 

 

<자료출처>

 

(1)https://ko.wikipedia.org/wiki/%EB%AC%B4%EA%B5%AC%EC%A0%95%EA%B4%91%EB%8C%80%EB%8B%A4%EB%9D%BC%EB%8B%88%EA%B2%BD

 

 

(2) 현존 세계 최고 목판본 ‘무구정광대다라니경’ “통일신라 유물일 가능성 높아” | 중앙일보 (joongang.co.kr)2007.10.29 

 

 

(3) "무구정광경, 세계 최고(最古) 인쇄물 확실" (daum.net)2007. 03. 28.

 

 

(4) https://v.daum.net/v/20050920145418798 연합뉴스.2005. 9. 20.

 

 

(5) 석가탑 묵서지편서 새 이두 발견 | 서울신문 (seoul.co.kr)2007-10-29  

 

 

 

 

<참고자료>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8943

 

 

https://namu.wiki/w/%EB%AC%B4%EA%B5%AC%EC%A0%95%EA%B4%91%EB%8C%80%EB%8B%A4%EB%9D%BC%EB%8B%88%EA%B2%BD

 

 


'다라니경' 8세기 초 제작 확실.."고려초 새로 제작" 중수기 내용 사실상 부정 (daum.net)2007. 03. 28. 

 

 

 

https://v.daum.net/v/20110616080504332 2011. 6. 16.

 

 

 

석가탑 ‘묵서지편’ 봉인의 비밀 (hani.co.kr)2007-11-01

 

 

 

“현존 무구정경은 신라시대 제작 가능성 커” (hani.co.kr)2007년 10월 27일

 

 

 

https://v.daum.net/v/19951207050800231 1995. 12. 7.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