력사를 찾아서
3. 후기신라 고고학 (2) 넓은 마당에 연못 갖춘 대형 건물…신라 태자의 '동궁' 찾았다 본문

국가유산청은 2025년 2월 6일 "신라 태자의 공간으로 알려진 동궁이 그동안 알려졌던 것처럼 월지(月池·옛 명칭은 안압지)의 서편에 있는 대형 건물터가 아니라 월지 동편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간 학계에서는 월지의 왼쪽, 즉 Ⅰ-가 지구 일대가 동궁 터라고 여겨왔다.
1975년부터 약 2년간 월지 일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679년을 의미하는 '의봉4년'(儀鳳四年)을 새긴 기와가 나왔고, 동궁을 연결할 만한 여러 유물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신라 왕성이었던 경주 월성(月城)의 동쪽에 있다는 점도 이런 가설을 뒷받침했다.
■ 넓은 마당에 연못 갖춘 대형 건물…신라 태자의 '동궁' 찾았다
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2025. 2. 6. 09:00
국가유산청, 조사 성과 공개…"월지 서편 아닌 동편이 '진짜 동궁"
왕의 공간과 건물 위계·규모 차이…동궁 북쪽은 생활 공간 추정
신라 당대 토목기술 집약…0.7㎝ 주사위·'초정밀' 화조도 등 주목

"동궁(東宮)을 짓고 처음으로 궁궐 안팎 여러 문의 이름을 정하였다."('삼국사기' 신라본기 제7권 679년 8월 기록)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뒤 대규모 토목 공사를 벌인다.
674년에는 큰 연못을 파고 못 가운데에 3개의 섬을 만들고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심었다고 전한다. 5년 뒤에는 궁궐을 웅장하게 고치고 태자가 머무는 동궁을 건립한다.
후대 왕위에 오를 신라 태자의 독립적 공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당대 토목 기술이 집약된 흔적으로, 향후 유적 정비와 보존 관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유산청은 6일 "신라 태자의 공간으로 알려진 동궁이 그동안 알려졌던 것처럼 월지(月池·옛 명칭은 안압지)의 서편에 있는 대형 건물터가 아니라 월지 동편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간 학계에서는 월지의 왼쪽, 즉 Ⅰ-가 지구 일대가 동궁 터라고 여겨왔다.
1975년부터 약 2년간 월지 일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679년을 의미하는 '의봉4년'(儀鳳四年)을 새긴 기와가 나왔고, 동궁을 연결할 만한 여러 유물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신라 왕성이었던 경주 월성(月城)의 동쪽에 있다는 점도 이런 가설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2007년 이후 발굴 조사가 순차적으로 이뤄지면서 월지의 동쪽이 신라 태자가 정무를 보거나 기거했던 장소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됐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측은 "월지 동편에서 규모가 큰 건물터 흔적이 발견됐고, 통일신라 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세식 화장실 유적이 처음으로 확인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그간의 조사 성과를 종합하면 월지 동편은 태자를 위해 조성한 별도 공간으로 추정된다.
연구소 측은 월지의 동쪽 즉, Ⅱ-나 지구로 분류된 일대에서 복도식 건물에 둘러싸인 건물과 넓은 마당 시설, 정원 안에 있는 연못(園池·원지) 흔적을 찾아냈다.

현재 남아있는 유구(遺構·옛날 토목건축의 구조를 알 수 있는 자취)를 고려하면 중심 건물은 정면 5칸(약 25m), 측면 4칸(약 21.9m) 규모로 추정된다.
건물을 오가는 계단 흔적이 남아 있으며, 과거에 넓은 기단 형태의 월대 공간을 증축했을 것으로 보인다. 월대는 흙이나 돌을 쌓아 궁궐과 같은 주요 건물에 설치한다.
원지의 경우 남북 방향으로 이어진 별도의 배수 구조를 갖춘 것으로 추정된다.
국가유산청은 월지 동·서쪽에서 발견된 건물의 구조와 형태에 주목했다.

월지의 서편인 Ⅰ-가 지구의 건물은 정면 7칸, 측면 4칸 규모로 동쪽보다 큰 편이다. 계단 진입 부분을 기존으로 한 높이도 서쪽(해발 52.6m)이 동쪽(해발 50.3m)보다 높다.
건물의 위계 측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월지 동편 건물터를 동궁으로 보고, 당초 동궁으로 추정했던 서편 건물터를 왕의 공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면서 "동궁 건물은 대지를 조성하는 단계부터 왕과 태자의 공간이라는 위계 차이를 두고 경관 조성도 계획적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왕의 공간은 신라 월성과 연결해 봐야 한다는 게 학계 중론이다.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관계자는 "통일 이후 왕경(王京·수도)이 확장되고 왕궁의 영역도 넓어지면서 월지의 서편 건물터까지 왕궁 영역이 확장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기존에 월지 주변에서 찾아낸 유물도 재조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7년 발견된 주사위는 한 변의 길이가 약 0.7㎝로, 코끼리의 상아로 정교하게 만들어진 것이다. 오늘날 주사위와 같은 형태인데 과거 고급 놀이기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종이처럼 얇게 편 금박에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 정도 되는 매우 가느다란 선으로 새와 꽃을 표현한 8세기 '화조도'(花鳥圖) 금박 유물은 섬세한 세공 기술로 주목받은 바 있다.

국가유산청은 "두 유물이 출토된 곳은 (월지 동편에 자리한) '진짜 동궁'의 북쪽"이라며 "동궁 북쪽에는 태자와 이를 보좌하기 위한 궁인들이 생활한 공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동궁의 진짜 위치를 찾아내면서 향후 유적 정비 방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이 일대는 과거 기러기와 오리가 날아드는 연못이라는 의미의 '안압지'(雁鴨池)라는 명칭으로 잘 알려졌으나, 2011년에 '경주 동궁과 월지'로 명칭이 변경된 바 있다.
현재까지 부속 건물인 누각 3채가 복원된 가운데, 경주시는 2018년 일부 건물을 복원하려 했으나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추가 연구·고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무산됐다.

발굴 조사 자문에 참여한 주보돈 경북대 명예교수는 "그간의 조사 성과를 토대로 '왕궁과 월지', '동궁' 등으로 문화유산 정보도 명확하게 수정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교수는 "태자의 공간으로 여겨지는 동쪽은 건물 흔적이 명료한 상황"이라며 "향후 복원·재현 가능성을 논할 때 유력한 공간으로 검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가유산청은 동궁과 월지를 비롯한 신라 왕경의 핵심 유적 발굴 조사 10년의 성과를 강조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역사의 숨어있던 1㎝를 찾아내 살아있는 역사로 되살리는 것이야말로 국가유산청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일"이라며 향후 조사·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1)
<자료출처>
(1) 넓은 마당에 연못 갖춘 대형 건물…신라 태자의 '동궁' 찾았다. 연합뉴스 2025. 2. 6.
<참고자료>
"신라에 금동판으로 감싼 화려한 계단 난간 받침돌 있었다" (daum.net)2022. 1. 6.
1,300년 전 통일신라에 수세식 화장실이 있었다 (daum.net) 2021. 04. 25.
진안군 대량리서 구리 생산용 '제동로' 발견…"9세기 운영 추정" | 연합뉴스 (yna.co.kr)2021. 01. 05.
[단독]최치원이 노닐던 월영대 각석에서 수수께끼 명문이 발견됐다 (daum.net)2021.01.06
'황룡사 짝퉁이 아니다'..산골 폐사지 황용사터에서 금동제 유물 20여점 쏟아졌다 (daum.net)2020.10.21.
조선이 쌓은 경주읍성 구간서 신라 팔부중상 나왔다 | 연합뉴스 (yna.co.kr)2020-02-21
홍성 절터서 9세기 신라 호신불 추정 금동불 출토 | 연합뉴스 (yna.co.kr)2019-11-13
반구대 암각화 주변서 신라 누각 흔적 나왔다(종합) | 연합뉴스 (yna.co.kr)2018-12-19
배산성지서 ‘대형 건물터·성벽’ 등 발견… 부산 최대 건물터 추정 2018.10.18
황용사지서 통일신라 ‘금동귀면’ 첫 출토 (yeongnam.com) 2018-09-05
경주서 나온 신라 초대형 창고유적은 술도가일까 | 연합뉴스 (yna.co.kr)2018/08/12
신라 창고 대형 항아리에는 어떤 음식을 담았을까 | 연합뉴스 (yna.co.kr) 2018.07.26.
경주 도심서 8세기 초대형 신라 창고 유적 발견 / 연합뉴스 (Yonhapnews) - YouTube
영월 흥녕선원지서 금동반가사유상 출토 (daum.net)2018.04.04.
'한국 최고 불경 발견' 신라 반야심경 동판경-국민일보 (kmib.co.kr)2018-10-24
[단독]국보 ‘보림사 삼층석탑’ 일제의 엉터리 복원, 80여년 만에 찾아냈다.경향신문 (khan.co.kr)2018.05.29.
삼척 절터서 '석가모니 관아' 통일신라 청동인장 2점 출토(종합) | 연합뉴스 (yna.co.kr) 2017.12.05.
영덕 유금사서 9세기 금동여래입상 출토 - 법보신문 (beopbo.com) 2017.07.24
통일 신라 왕실의 수세식 화장실은 어떤 모양? | 중앙일보 (joongang.co.kr)2017.09.26
경주에 신라판 '스톤헨지'가 출현했다 (daum.net)2017.07.09.
김유신 장군 집터서 통일신라 시대 비늘갑옷 출토 | 연합뉴스 (yna.co.kr) 2017.01.12.
“신라 괘릉 무인상, 아라비아인 아닌 금강역사상이 모델” : ZUM 뉴스2017. 2. 1.
865년 제작된 통일신라 '청동북' 보물 됐다 (daum.net)2016. 08. 31.
경주 황룡사터 주변 통일신라시대 우물서 글자 새겨진 청동접시 - 경향신문 (khan.co.kr)2016-06-16
신라인 당나라 갔던 교역항 터 ‘唐(당)’자 새긴 기와 나왔다 (hani.co.kr)2016-01-14
1000년의 기적… 삼척 흥전리 사지서 통일신라 국보급 정병 2점 출토 | 서울신문 (seoul.co.kr)2016-06-02
남원 실상사에서 통일신라 시대 선종사찰의 장고 확인:플러스 코리아(Plus Korea)2015/10/27
1200년 전 신라시대 큰절 '창림사' 실체 드러났다 (daum.net)2014.07.30.
[단독] 경주에서 신라 얼음창고 빙고 추정 유적 첫 발견 (hani.co.kr)2014-07-14
발굴한 통일신라 석실묘 (daum.net) 2014.07.03.
율리 영축사지, 신라시대 ‘광배’ 추가 출토:플러스 코리아(Plus Korea) 2014/01/28
국보급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상 공개 | 연합뉴스 (yna.co.kr) 2014.10.10.
은은한 자태 뽐내는 사리호, 일반에 첫 공개 (daum.net)2014.05.20.
신라 미륵사지 금동 향로 (daum.net)2014.05.20.
미국에서 호평 받고 돌아온 보원사 철불 (daum.net)2014.05.20.
[핫포토] '신라의 높으신 분' 무덤 발굴.."거의 왕릉급" (daum.net)2013.11.09.
신라 왕릉급 무덤 발견..호석 두른 최고급 고분 | 연합뉴스 (yna.co.kr)2013.04.03.
석가탑서 8세기 무렵 통일신라 불상 발견 (daum.net)2013. 07. 19.
신라왕족 묘지명 중국 시안서 발견(종합) | 연합뉴스 (yna.co.kr)2013-02-14
경주 열암곡 마애불 처리 골머리 - 울산제일일보 (ujeil.com)2008.01.07
'남국 > 후기신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후기신라 문화유산 (3) 왕오천축국전 - 세계 4대 여행기 (67) | 2025.01.03 |
---|---|
4. 후기신라 문화유산 (2)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 (62) | 2025.01.03 |
4. 후기신라 문화유산 (1) 세계문화유산 : 석굴암과 불국사 (37) | 2025.01.03 |
3. 후기신라 고고학 (1) 사천왕사터 발굴 - 녹유신장벽전과 명문편 (112) | 2024.11.23 |
2. 후기신라의 강역 (1) 후기신라(통일신라)의 북계는 어디인가? (8) | 202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