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혜초 스님(704~787)이 후기신라(통일신라) 때 723년부터 727년까지 다섯 천축국 곧 인도의 다섯 나라와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 모두 44개 지역을 다녀온 여행기입니다.

 

《왕오천축국전》은 13세기 후반에 쓰여진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14세기 초반의 오도릭의 《동유기》, 14세기 중반에 쓰여진 《이븐 바투타 여행기》와 함께 세계 4대 여행기인데요 그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1908년 프랑스인 폴 펠리오가(Paul Pelliot, 1878~1945)가 간쑤성 둔황의 막고굴 장경동에서 당시 장경동을 지키던 왕위안루(왕원록)에게서 구매한 7,000점의 유물 중에 섞여 있었으며,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한 권의 두루마리로 된 필사본만이 남아 있는데, 책명도 저자명도 떨어져 나가 남아 있지 않으며 여러 글자가 결락되어 있습니다.(1)

 

막고굴 17굴을 조사하는 폴 펠리오 교수( 1908년  촬영). 그가 반출한 둔황 문헌 가운데는  신라 의 승려  혜초 의 《 왕오천축국전 》도 포함되어 있었다. 출처; 위키백과

 

임영애 경주대 문화재학과 교수는 혜초 스님의 여행 목적이 인도의 8대 성지를 직접 보는 것이었다고 합니다.

그는 왜 인도로 갔는가? 물론 승려인 혜초가 ‘불법 구하기’가 목적이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보다 직접적인 목적은 여덟 탑을 보기 위해서였다. 그의 오언시는 이러한 사실을 잘 말해준다. ‘…급기야 마하보리사(大覺寺)에 도착하고 나니 내 본래의 소원에 맞는지라 너무나도 기뻤다. 내 이러한 뜻을 대충 오언시로 노래한다. … 여덟 탑을 보기란 참으로 어려운데, 오랜 세월을 겪어 거지반 타버렸으니, 어찌 보려는 소원 이루어지겠는가. 하지만 오늘 아침 바로 내 눈앞에 있구나.’

그가 말하는 여덟 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석가모니 사리를 팔등분하여 인도 각지에 세웠다는 근본팔탑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인도의 8대 성지를 일컫는 것이다. 석가모니 일생에서 중요한 사건이 있었던 8곳의 성지를 그의 눈으로 직접 보고 싶은 바람이 그를 머나먼 인도로 이끈 것이다.』(2)

 

혜초 스님의 4년 동안 여행 일정은 앞서의 선배들과는 달리 해로로 가서 육로로 돌아오는 새로운 인도 여행로를 개척한 것이었습니다.

 

그는 스무 살 때 중국 광주를 출발하여 해로로 남중국해→벵골만을 통해 인도로 들어갔다. 육로로 동천축→마게타국→중천축→나시크→서천축→북천축→가십마리국→건타리국→람파국→사율국→범인국→토화라국→호밀국→총령진→소륵국→구자국→연기국→돈황을 거치는 수만 리 길이었다.

풀이하면 지금의 사이공→수마트라→말레이반도→인도→티베트→파키스탄→우즈베키스탄에 이르는 여정이다. 그는 가는 곳 마다 그 나라의 정치·사회·문화·풍속·생활사 등을 지켜보고 기록하였다. 북천축국을 찾았을 때, 이 나라의 왕은 300마리의 코끼리를 갖고 있으며 외출할 때 왕과 수령들은 코끼리를 타고 낮은 관리들은 말을 타지만 백성들은 걸어다닌다고 기술하였다.

대식국(大寔國)에서는 왕과 백성들이 똑 같은 옷을 입어 구별이 없고, 식사도 귀천을 가리지 않는다. 손에 숫가락과 젓가락을 들었으나 보기에 매우 흉하다고 쓰고, 사람들은 살생을 좋아하고 알라신을 섬기거나 불법을 알지 못한다고 기록했다.』(3)

 

왕오천축국전

 

혜초 스님은 4편의 시를 남겼는데요 그 가운데 1편의 시가  유홍준교수의 글에 있습니다.

 

'왕오천축국전'은 현장법사의 '대당서역기'에도 나오지 않는 오지의 성지순례기라는 점에서 세계불교사와 기행문학의 한 고전으로 되었다. 그러나 내가 여기서 받는 감동은 구법승(求法僧)으로서 혜초의 용맹과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4편의 시로 읊은 인간적인 모습이다. 혜초는 달 밝은 밤이면 고향 계림이 더욱 그리웠다는데 어느 날 순례길에 티베트 승려를 만나서는 이렇게 읊었다.

 

"그대는 티베트가 멀다고 한탄하나

나는 동쪽으로 가는 길이 멀어 탄식하노라

길은 험하고 눈 쌓인 산마루는 아득히 높고

골짜기엔 도적도 많은데

나는 새도 놀라는 가파른 절벽

아슬아슬한 외나무다리는 건너기 힘들다네

평생에 울어본 기억이 없건만

오늘따라 하염없이 눈물이 흐르네"

 

장안에 온 혜초는 계림으로 돌아가지 않고 중국 밀교(密敎)의 제1조인 금강지(金剛智)와 2조인 불공(不空) 밑에서 경전의 편찬과 번역에 매진하였다. 불공은 유언에서 밀교를 이어갈 여섯 스님 중 두 번째로 혜초를 지목하였다. 그는 통일신라가 낳은 자랑스러운 당대의 글로벌 지식인이었다.

이 육필본이 과연 혜초의 친필인가엔 이론이 있지만 흐트러짐 없는 조용한 서체에는 스님의 높은 도덕과 따뜻한 인간미가 은은히 배어 있어 좀처럼 발길이 떨어지지 않았다.(4)

 

다음은 또 1편의 시를 소개하는 박상진교수의 글입니다.

 

방랑자 혜초는 먼 타향에서 외롭고 고달플 때마다 시를 쓴다. ‘왕오천축국전’에 실린 다섯 편의 시는 직접 보고 들은 대상의 기록이라는 기행문의 형식을 독특하게 만든다.

 

月夜瞻鄕路(월야첨향로) 浮雲颯颯歸 (부운삽삽귀)

緘書參去便(함서삼거편) 風急不聽廻 (풍급불청회)

 

我國天岸北(아국천안북) 他邦地角西 (타방지각서)

日南無有雁(일남무유안) 誰爲向林飛 (수위향임비)

달 밝은 밤에 고향 길을 바라보니

뜬구름은 너울너울 돌아가네.

그 편에 감히 편지 한 장 부쳐 보지만

바람이 거세어 화답이 안 들리는구나.

내 나라는 하늘가 북쪽에 있고

남의 나라는 땅끝 서쪽에 있네.

일남에는 기러기마저 없으니

누가 소식 전하러 숲으로 날아가리. (정수일 역)

 

혜초는 남천축에서 어느 버려진 곳을 보고 이 시를 쓴다. 절은 황폐하고 승려는 없다. 황량한 풍경에 젖은 그의 마음은 머나먼 어딘가로 떠난다. 떠도는 구름만이 눈에 들어오고, 내면은 달빛 어린 고향 가는 밤길로 향한다. 향수를 달래느라 구름에게 편지를 전해 달라 요청하지만 구름은 너무나 빨리 흘러가기만 한다. 마음은 사무치는 그리움으로 가득하고, 고향은 북쪽 지평과 서쪽 변방 사이에서 하염없이 멀어져 간다. 구름 대신에 기러기를 찾지만, 기러기는 더운 그곳에 살지 않는다. 이제 메신저는 어디에도 없다.』(5)

 

 

 

 

<주>

 

 

(1) 왕오천축국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2) 신라승 혜초가 인도로 간 까닭은… 조선비즈 2015년 12월 26일

 

 

(3) 국보급 '왕오천축국전' 쓴 신라인 혜초 (daum.net)  2023. 11. 23.

 

 

(4) [유홍준의 국보순례] [95] 혜초의 왕오천축국전 (daum.net) 2011. 1. 26.

 

 

(5) 雪山 넘으려면 다시 한달..혜초의 끝나지 않는 여행 (daum.net) 2020. 3. 13.

 

 

 

 

<참고자료>

 

 

 

온난화가 바꾼 기막힌 풍경···중국 고비 사막에 풀이 자란다 중앙일보 2019년 9월 20일

 

 

 

왕오천축국전·열하일기 주간조선 2016년 7월 25일

 

 


왕오천축국전은 왜 프랑스에 있을까? (daum.net) 2007. 3. 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