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요서 (6)
력사를 찾아서
낙랑군의 위치와 관련하여 대략 4가지 학설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낙랑군 및 고조선의 갈석산과 습수, 열수, 산수, 패수의 위치 ‘낙랑 1’은 심백강과 김봉렬 등 일부 재야사학자들이 주장하는 ‘낙랑군 재하북성설’입니다.‘낙랑 2’는 윤내현과 이덕일 등 다수의 재야사학자들이 주장하는 ‘낙랑군 재난하설’입니다.‘낙랑 3’은 신채호와 정인보 등 민족사학자들이 주장했던 ‘낙랑군 재요동설’입니다.‘낙랑 4’는 노태돈과 송호정 등 대다수의 강단사학자들이 주장하는 ‘낙랑군 재평양설’입니다.(1) 신채호선생은 한사군은 요동반도에 있었다고 보았습니다. 『위씨가 망한 뒤에 한나라는 진번·임둔·현토·낙랑 네 개 군을 설치했다. 4군이 어디에 있었는가 하는 문제는, 삼한의 연혁에 관한 문제에 뒤지지 않는 조..
신채호는 고조선에 삼경이 있었다고 하며 하나는 아스라, 즉 지금의 하얼빈, 또 하나는 아리티, 즉 지금의 개평현 동북에 있는 안시성 유적지, 또 다른 하나는 펴라, 즉 오늘날의 평양이라고 한다.(1) 리지린은 고조선 수도를 개평으로 보았다. 고조선 수도를 개평으로 인정하며 또 바로 그 부근에 《곰산》이 있다(성경통지 · 료동지). 이 《곰산》은 바로 《검산》으로 읽을 것이며 이것이 고조선 국가의 발생지로 인정된다. 거기에 정착한 고조선족은 이미 국가 형성 이전에 여러 지역으로 이동하였는바 그 일부는 오늘의 중국 하북성 《예수》濊水 지역에까지 진출하였고, 또다른 일부는 압록강 이남으로 진출하여 거기의 원주민과 융합하여 《한족》韓族을 이루게 되였다고 인정된다.(2) 윤내현은 고조선이 처음으로 아사달阿..
《만주와 한반도 12,000년 전~ 2,000년 전 년대기》 6. 유전학(분자인류학) 6.1 〈"우리민족은 몽골인보다 한족・일본인과 가깝다"〉 2004년 5월 11일 한겨레 기사 〈"우리민족은 몽골인보다 한족・일본인과 가깝다"〉 『김욱교수 유전자 비교분석 우리민족은 북방 기원 기마민족이 아니라 주로 중국 중북부 농경민족에서 유래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단국대 김욱 교수(생물학)는 11일 “한국인 185명의 미토콘드리아 디엔에이를분석하고 중국・일본・몽골 등 8개 민족집단과 비교한 결과, 한국인의 60~65%는 유전적으로 몽골인 일부를 포함한 중국 중북부 농경민족과 가까우며 나머지는 중국남부와 동남아시아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런 결과는 한민족이 북방계 일부와 중국 중북부 농경민족의 유전..
《만주와 한반도 12,000년 전~ 2,000년 전 년대기》 4.14 배달국; 5919년 전~4354년 전(BC 3898~BC 2333년) 신시배달국 『《삼성기》의 〈신시역대기〉와 《태백일사》〈신시본기〉에서는 신시배달국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데, 단군이 세운 고조선 이전의 만주와 한반도를 중심으로 자리 잡았던 한민족의 고대 국가라고 한다. 환웅이 다스린 국가로 18대 1565년의 역년이며,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치우 또한 배달국의 한 임금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3898년): 거발한(居發桓)환웅, 재위 94년, 120세(기원전 3804년): 거불리(居佛理)환웅, 재위 86년, 102세(기원전 3718년): 우야고(右耶古)환웅, 재위 99년, 135세(기원전 3619년): 모사라(慕士羅)환웅, 재위 1..
■ 고조선 이전 태백산 아래 환인·환웅의 배달국 있었다 ‘박달나라의 임금’ 한민족은 배달민족이라 불린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편찬한 을 보면 배달은 우리 민족을 지칭하는 용어로 그 연원은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숙종 때 북애가 지은 에서 단군은 ‘박달나라의 임금(檀國之君)’을 말하며 우리말에 ‘단(檀)’을 ‘박달’ 혹은 ‘백달’이라 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한다. 또 일각에서는 배달은 밝다는 뜻인 ‘배(밝)’와 땅을 의미하는 ‘달’을 합친 말로 동쪽으로 향해 간 것을 의미한다고 하기도 한다. 그동안 우리 역사에서 BC 24세기에 건국했다는 고조선을 신화로 취급하고 있으나 고조선 이전에 존재했던 한민족 국가에 대한 기록들이 엄연히 우리 사서에 남아있다. 배달국의 존재를 나타내는 ‘배달..
동부여의 건국과 위치 지금까지 필자는 고조선 말기부터 붕괴 이후까지의 부여 분열과 그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고대에 부여는 동부여 · 북부여 · 졸본부여 · 부여 등이 있었다. 고조선시대에는 고조선의 거수국으로서 하나의 부여만 존재하였으나 고조선이 붕괴된 뒤 그 지배귀족과 거주민들이 여러 곳으로 이주함에 따라 여러 곳에 부여라는 이름이 있게 되었다.위에 언급된 여러 부여 가운데 맨 끝의 그냥 부여는 고조선시대부터 있었던 원래의 부여로서 그 위치는 지금의 난하 상류유역이었다. 고조선이 붕괴된 뒤 이 부여는 지명으로만 남게 되었다. 북부여는 부여의 지배세력이 북쪽으로 이동하여 국가를 유지하고 있었던 부여로서 원래의 부여보다는 다소 북쪽에 있었지만 그 위치도 난하 상류유역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