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제주고산리유적 (4)
력사를 찾아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XZJO/btsLzB2mVWm/m0sKFC1gNgytMJxKX1uOI1/img.jpg)
제주 고산리 선사유적은 지금부터 약 1만년에서 1만2000년 전, 후기 구석기문화에서 신석기 초기문화로 옮겨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 유적(문화)이며, 시베리아, 만주, 일본, 한반도지역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 신석기 초기문화 연구의 가장 중요한 유적입니다. 또한 신석기시대 초기, 제주 섬 서쪽 끝자락에 자리한 한경면 고산리의 속칭 ‘한장밭’ 해안가에는 한반도 최고(最古)의 마을유적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한반도 최초의 신석기 유적지인 제주 고산리 선사유적(사적 412호) ⓒ제주의소리 제주 고산리유적은 1987년 고산리 주민(좌정인 씨)이 타제석창과 긁개 등을 발견한 후 제주대학교박물관에 신고하면서 세상에 그 모습을 처음 드러낸 곳이다. 농부 좌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FY08/btsEVKDABoE/nGoKhNkg0SOk8btGjMFgyk/img.jpg)
《환국-가사라국》 6. 환국(9000년 전~6000년 전, BC7198~BC3898)과 신석기문화(1) 6.1 가장 오래된 신석기마을 제주도 고산리유적 - 10,000년 전~8000년 전 출처; 2008년 7월 18일자 경향신문 기사 〈[고고학자 조유전과 떠나는 한국사 여행](5) 1만 년 전의 세계 제주 고산리(上)〉http://news.khan.co.kr/section/khan_art_view.html?mode=view&artid=200807181739475&code=900305 '제주 고산리 유적' 전경 연합뉴스 DB >>출처;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50615095600056 ▲ 한반도 최초의 신석기 유적지인 제주 고산리 선사유적(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bdS0/btsEFRhWhC4/VkY2BItwlAnjJdHG8HzoG0/img.jpg)
《만주와 한반도 12,000년 전~ 2,000년 전 년대기》 2.6 제주 고산리유적; 10000년 전~8000년 전 『정의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에 있는 석기시대 융기문토기 · 화살촉 · 자르개 등이 출토된 생활유적.개설제주도 최고의 신석기시대 유적이자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말기 또는 중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표지유적(標識遺蹟)으로 중요하다. 1998년 12월 23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내용고산리 자구내의 해안가 남쪽 대지상에 위치한다. 이 일대는 제주도 해안지역에서 보기 드문 너른 들판이 형성되어 있는 곳으로 현재 밭과 논이 크게 발달되어 있다. 속칭 ‘한장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유적의 북서쪽으로는 해발 148m의 당산봉(唐山峰)이라고 하는 바위산이, 남동쪽으로는 해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SyCYv/btsEFM8GlHp/5A1l51M5zjzkATbfZxcJF1/img.jpg)
《만주와 한반도 12,000년 전~ 2,000년 전 년대기》 1.1 세계의 신석기시대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신석기시대는 야생작물과 재배작물, 가축을 사용하여 행동과 문화의 특성과 변화의 진전이 생긴 시대이다. 『신석기시대는 약 12,000년 전 근동에서 중석기시대에 농사의 첫 발전이 나타나면서 시작되었고, 이후 세계 다른 지역에서도 농사의 첫 발전이 시작되었다. 6,500년 전(BC 4500년)부터 과도기인 금석병용시대까지 지속되었고 야금술의 발달로 두드러져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로 이어졌다. 북유럽에서는 신석기시대가 약 BC 1,700년까지 지속되었고 중국에서는 BC1,200년까지 연장되었다. 세계의 다른 지역(신대륙포함)은 유럽 접촉전까지 광범위하게 신석기시대 단계에 남아있었다.ASPRO연대기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