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통일신라 (7)
력사를 찾아서

국가유산청은 2025년 2월 6일 "신라 태자의 공간으로 알려진 동궁이 그동안 알려졌던 것처럼 월지(月池·옛 명칭은 안압지)의 서편에 있는 대형 건물터가 아니라 월지 동편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그간 학계에서는 월지의 왼쪽, 즉 Ⅰ-가 지구 일대가 동궁 터라고 여겨왔다. 1975년부터 약 2년간 월지 일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679년을 의미하는 '의봉4년'(儀鳳四年)을 새긴 기와가 나왔고, 동궁을 연결할 만한 여러 유물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신라 왕성이었던 경주 월성(月城)의 동쪽에 있다는 점도 이런 가설을 뒷받침했다. ■ 넓은 마당에 연못 갖춘 대형 건물…신라 태자의 '동궁' 찾았다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2025. 2. 6. 09:00 국가유산청, 조사 성과 공개…"월지 서편 아닌 동편이..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은 혜초 스님(704~787)이 후기신라(통일신라) 때 723년부터 727년까지 다섯 천축국 곧 인도의 다섯 나라와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 모두 44개 지역을 다녀온 여행기입니다. 《왕오천축국전》은 13세기 후반에 쓰여진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14세기 초반의 오도릭의 《동유기》, 14세기 중반에 쓰여진 《이븐 바투타 여행기》와 함께 세계 4대 여행기인데요 그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1908년 프랑스인 폴 펠리오가(Paul Pelliot, 1878~1945)가 간쑤성 둔황의 막고굴 장경동에서 당시 장경동을 지키던 왕위안루(왕원록)에게서 구매한 7,000점의 유물 중에 섞여 있었으며,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한 권의 두루..

1966년 석가탑을 해체하다가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또는 《다라니경》은 대승불교 경전의 하나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입니다. 1966년 10월 13일 경주 불국사 석가탑을 보수하기 위해 해체하다가 발견된 불교 경전의 8세기에 인쇄했던 목판본이다. 제2층 탑신부에 봉안되어 있던 금동제 사리외함(舍利外函)에서 다른 여러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와 함께 나왔다. 이는 현존하는 목판 인쇄물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현재 국보 126-6호로 지정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복제품), 출처; 위키백과 본문 중에 중국 당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집권했을 때에만 사용되었던 무주제자가 발견되어, 불국사 삼층석탑이 중수되기 이전에 인쇄되었다고 인정된다. 704년에 다라니..

■ 세계 유일 인공석굴 석굴암 불교조각 연구자인 민병찬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2024년 5월 14일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열린 ‘다시 찾은 빛: 선림원 터 금동보살입상’ 국제 학술 심포지엄 기조강연에서 “석굴암은 750년경 김대성이 창건한 게 아니라 706년에서 711년 사이에 신라 33대 성덕왕대 창건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며 750년 제작설의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경주 석굴암. 삼국유사 기록을 토대로 750년쯤 김대성이 창건했다고 알려져 왔으나, “신라 33대 성덕왕 대인 706년에서 711년 사이에 창건한 것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은 한석홍 사진작가가 찍은 석굴암 내부 모습. /국립문화재연구원 경주 석굴암은 서기 750년쯤 신라 35대..

다음백과에 따르면 신라는 648년(진덕여왕 2년)에 당과 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킨 뒤 패강(대동강)을 경계선으로 한반도를 당과 신라가 나누어 통치한다는 비밀협약 - 나당동맹을 맺었다고 합니다. 7세기에 접어들면서 삼국은 치열한 전쟁을 전개했다. 당시 고구려는 백제와 연결하여 신라를 협공하는 형세였고, 신라는 당나라를 끌어들여 위기를 모면하고자 했다. 당나라 또한 고구려의 배후를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신라와의 연대를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었다.신라는 고구려·백제가 침입할 때마다 당에 구원 사절을 파견했고, 당나라는 신라를 일방적으로 두둔하는 입장에서 고구려·백제에 대해 외교공세를 강화하기도 했다. 648년(진덕여왕 2) 두 나라는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키기 위한 군사적 결탁을 한층 더 공고히 하고, 두 나..

하대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그 복잡함에 포기하고픈 생각이 절로 든다. 부계, 모계, 비계가 모두 근친혼으로 맺어졌고, 게다가 형제간, 사촌간, 혹은 소수의 진골귀족이 뒤엉켜 죽고 죽이는 왕권다툼을 벌였으니 말이다. 촌수를 가늠하기도, 누가 누구의 편인지, 적인지 헤아리기도 어렵다. 36대 혜공왕(765~780)이 살해되고 선덕왕(780~785)이 즉위할 때부터 46대 문성왕(839~857)까지 60여 년 동안 무려 11명의 왕이 교체됐다. ■김씨끼리 죽고죽인 왕위쟁탈전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진 것일까. 사실 신라, 특히 하대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그 복잡함에 포기하고픈 생각이 절로 든다. 부계, 모계, 비계가 모두 근친혼으로 맺어졌고, 게다가 형제간, 사촌간, 혹은 소수의 진골귀족이 뒤엉켜 죽고 죽이는 ..

신라인은 나당전쟁 시기에 당군을 물리쳐 왕조와 국가를 보존하고, '삼한일통'했던 자신들의 자부심과 긍지를 역사 기록으로 남겼고, 그 내용이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열전 곳곳에 담겨 있다. 이런 신라인의 의식을 읽어내고 이해할 때 나당전쟁의 실상에 좀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 [고구려사 명장면-139] 신라는 나당전쟁에서 승리했는가? (2)임기환 서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 2021. 12. 23. 한국사 교과서에는 나당전쟁에 대해서 675년 매초성(買肖城) 전투, 676년 기벌포 전투에서 신라군이 당군을 격퇴함으로써 나당전쟁을 신라의 승리로 종결시킬 수 있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나당전쟁의 승리로 비로소 삼국통일을 완성할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 아마 대부분의 독자는 매초성 전투와 기벌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