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정(徐居正)

조선시대사인물

 조선전기 형조판서, 좌참찬,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출처;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84%9C%EA%B1%B0%EC%A0%95&ridx=0&tot=42

 

서거정(徐居正)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강중(剛中)·자원(子元),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 서익진(徐益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전서(戶曹典書) 서의(徐義)이고, 아버지는 목사(牧使) 서

encykorea.aks.ac.kr

 

 

서거정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84%9C%EA%B1%B0%EC%A0%95

 

서거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거정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치현의 지명에 대해서는 사가정 (고치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은 조선 문종, 세조,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다. 본관은 대구(大丘

ko.wikipedia.org

 

 

 

김종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처;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A2%85%EC%84%9C_(1383%EB%85%84)

 

김종서 (1383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의 이조정랑 임기 1426년 4월 ~ 1433년 12월 군주 세종 신상정보 출생일 1383년 출생지 고려 양광도 공주목 사망일 1453년 11월 10일 (71세) 사망지 조선 한성부 본관 순천(順天) 학력 1405년 식년문과

ko.wikipedia.org

 

 

이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A7%A5

 

이맥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문서는 조선의 문신에 관한 것입니다. 컴퓨터에 대해서는 eMac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군주 연산군, 중종 신상정보 출생일 1455년 출생지 서울 청파동(靑坡洞) 사망일 1528년 10월 25일 사망지 서울

ko.wikipedia.org

 

 

이맥(李陌)

조선시대사인물

 조선전기 성균관전적, 사헌부장령, 동지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출처;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4%EB%A7%A5&ridx=0&tot=1

 

이맥(李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정부(井夫). 이강(李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의정 이원(李原)이다. 아버지는 이지(李墀)이며, 어머니는 정보(鄭保)의 딸이다.

encykorea.aks.ac.kr

 

 

북애자(北崖子)

도교인물

 조선후기 『규원사화』의 저자로 알려진 은사(隱士).   

 

출처;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B%B6%81%EC%95%A0%EC%9E%90&ridx=0&tot=349

 

북애자(北崖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북애는 별호이며, 본명 등은 미상이다. 『규원사화 揆園史話』의 자서(自序)에 따르면, 그는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실의에 빠져 전국 각처를 순방하였다. 이 때 지리와 역사, 특히 우리의 잃어

encykorea.aks.ac.kr

 

 

 

유득공(柳得恭)

조선시대사인물

 조선후기 『경도잡지』, 『영재집』, 『고운당필기』 등을 저술한 실학자.   

출처;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C%A0%EB%93%9D%EA%B3%B5&ridx=0&tot=11

 

유득공(柳得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74년(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해 생원이 되고, 시문에 뛰어난 재질이 인정되어 1779년(정조 3)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로 들어가 활약이 컸다. 그 뒤 제천·포천·양근 등의 군수를 거쳐 말년에는 풍

encykorea.aks.ac.kr

 

 

 

정약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처;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95%BD%EC%9A%A9

 

정약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산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다산 (동음이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1762년 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1836년 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ko.wikipedia.org

 

 

 

정약용(丁若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aks.ac.kr)

 

정약용(丁若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약용은 조선후기 『경세유표』, 『목민심서』, 『여유당전서』 등을 저술한 유학자이자 실학자이다. 1762년(영조 38)에 태어나 1836년(헌종 2)에 사망했다. 남인 가문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성호

encykorea.aks.ac.kr

 

 

이종휘(李鍾徽)

유교인물

 조선후기 『동사』, 『수산집』 등을 저술한 학자.   

출처;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4%EC%A2%85%ED%9C%98&ridx=0&tot=2

 

이종휘(李鍾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종휘의 학문적 기본 입장은 주자학의 폐쇄성을 벗어나 양명학을 적극적으로 긍정함으로써 학문적 기초를 확보하고 있다. 이종휘는 우주가 생겨난 이래 가장 탁월한 명사(名士)로 장량(張良)·

encykorea.aks.ac.kr

 

 

이종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A2%85%ED%9C%98

 

이종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같은 이름을 가진 만화가에 대해서는 SIU (만화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종휘(李鍾徽, 1731년 ~ 1797년)는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숙(德叔), 호는 수산(修山), 아버지는 병조참판을 지낸 이정철

ko.wikipedia.org

 

 

 

 

 

한치윤(韓致奫)

조선시대사인물

 조선후기 『해동역사』 등을 저술한 학자.   

출처;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95%9C%EC%B9%98%EC%9C%A4&ridx=0&tot=4

 

한치윤(韓致奫)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대연(大淵), 호는 옥유당(玉蕤堂). 서울 출신. 할아버지는 헌납(獻納) 한덕량(韓德良)이고, 아버지는 통덕랑 한원도(韓元道)이며, 어머니는 고령신씨(高靈申氏)이다.

encykorea.aks.ac.kr

 

 

 

한치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C%B9%98%EC%9C%A4

 

한치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안정복(安鼎福)

조선시대사인물

 조선후기 「치통도」, 「동사강목」, 「천학문답」 등을 저술한 학자.   실학자.

출처;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5%88%EC%A0%95%EB%B3%B5&ridx=0&tot=23

 

안정복(安鼎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고려조에 태조를 도와 가문을 연 안방걸(安邦傑)로부터 대대로 중앙의 고급관료를 지냈으나, 안정복의 가까운 선조에 이르러 영락하였다. 고조 안시성(安時聖)은 현감을 지냈고, 증조 안신행(安

encykorea.aks.ac.kr

 

 

 

안정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5%88%EC%A0%95%EB%B3%B5

 

안정복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안정복(安鼎福, 1712년 ~ 1791년 7월 20일)은 조선국 중추원 가선대부 겸 동지중추부사 등을 지낸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다. 본관은 경기도 광주(廣州)이며, 자는 백

ko.wikipedia.org

 

 

 

신경준(申景濬)

언어·문자인물

조선후기 『운해훈민정음』을 저술한 학자.   

출처;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8B%A0%EA%B2%BD%EC%A4%80&ridx=0&tot=18

 

신경준(申景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순민(舜民), 호는 여암(旅菴). 아버지는 신숙주(申叔舟)의 아우 말주(末舟)의 10대손인 진사 내(淶)이며, 어머니는 한산이씨로 의홍(儀鴻)의 딸이다.

encykorea.aks.ac.kr

 

 

 

신경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출처;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A%B2%BD%EC%A4%80

 

신경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신경준(申景濬, 1712년 5월 19일(음력 4월 15일)~1781년 6월 12일(음력 5월 2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지리학자로서, 자는 순민(舜民), 호는 여암(旅庵),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전북 순창에 있

ko.wikipedia.org

 

 

 

신경준의 고지도(申景濬─古地圖)

인문지리문화재 | 문헌

 조선후기 문신·학자 신경준이 강화도 일대를 북방지역에 관한 군사적인 용도로 제작한 지도.   관방지도.

 

출처;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8B%A0%EA%B2%BD%EC%A4%80&ridx=1&tot=18

 

신경준의고지도(申景濬─古地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9호. 고지도에 정식 명칭이 없기 때문에 편의상 북방강역도(北方彊域圖)와 강화도 이북해역도(江華島以北海域圖)로 구분할 수 있다. 북방강역도는 지질이 두꺼운 한지

encykorea.aks.ac.kr

 

 

 

실학(實學)

조선시대사개념용어

 18세기를 전후하여 새롭게 나타난 범유학적 탈성리학 경향을 가진 사회개혁사상.   

출처;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8B%A4%ED%95%99&ridx=0&tot=85

 

실학(實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우리나라의 역사에서 살펴 볼 때, 실학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시작한 때는 조선왕조의 성립을 전후한 시기였다. 이 때 자신의 학문을 실학이라고 생각하였던 대표적 인물들로는 이제현(李齊賢

encykorea.aks.ac.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