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여러나라시대/백제 (26)
력사를 찾아서
공산성의 백제 왕궁 부속시설 발굴조사는 2008년부터 매년 진행됐다. 공주대학교박물관 발굴단은 2011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공산성 발굴조사를 통해 60여동 이상 집중된 백제 시대 건물지를 확인했다. 공산성 내 왕궁관련시설의 확인은 물론이고 백제 왕성의 도시구조와 사회상을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5년에 성안마을이 있던 북서쪽 대지 1만 2000㎡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백제 시대 건물지 31동과 연못, 나무 사다리 등이 출토됐다. 특히 완전한 형태의 백제 시대 사다리는 이번이 최초 발견이다. 【서울=뉴시스】공산성 발굴지【서울=뉴시스】대형 건물지【서울=뉴시스】육각형 건물지【서울=뉴시스】사다리【서울=뉴시스】산 모양 무늬 기와편 발굴지는 동남향의 완만한 구릉 사면부로..
원광대 마한ㆍ백제문화연구소(소장 최완규)는 2009년 6월부터 4개월간 봉덕리 고분군 중 1호분 발굴조사한 결과 이 무덤은 봉분 하나에 석실분 5기, 옹관묘 2기를 갖춘, 5세기 무렵 이른바 '벌집형 고분'으로 드러났다고 말했습니다. 이 중 4호 석실분에서는 금동신발과 중국제 청자 등을 비롯해 금동제 신발은 목 부분과 측판 2매, 바닥으로 이뤄졌으며, 이들은 각각 작은 못을 박아 결합했고, 측판과 바닥은 맞새김(투조. 透彫)으로 장식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전북 고창군 봉덕리에 소재한 백제시대 분구묘(墳丘墓.봉분을 갖춘 무덤)에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금동 신발 1켤레가 출토됐다. 바닥에는 스파이크 모양의 징 18개를 붙였고 부착지점은 꽃무늬로 장식했다.특히 바닥 중앙에는 용 ..
2003년 11월 3일 발굴팀은 광복 이후 처음으로 백제 금동관을 발견했습니다. 지금껏 발견된 백제 금동관들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었습니다. 덧널무덤인 1호분 내부를 十자형으로 팠는데 바닥에서 금동관과 환두대도가 함께 나왔습니다. 공주 수촌리고분에서는 현존 最古 백제 금동관, 금동신발, 둥근고리큰칼(환두대도), 여성 시신에 걸치는 구슬 장식, 굵은고리 금귀고리, 대롱옥, 흑유닭모양항아리 등이 나왔습니다. 수촌리 4호 석실분 출토 금동관으로 높이는 19cm. 국립공주박물관 제공 날개를 활짝 펴고 비상하는 한 마리 ‘금빛 봉황’을 보았다. 6일 국립공주박물관 전시실에서 본 수촌리 고분 출토 금동관은 신라 금관과 또 다른 아취를 담고 있었다. 온몸에 달개를 매단 세 줄기 입식(立飾)은 정면..
2006년 인천 계양산성에서 확인된 '논어 목간'은 AD 400~480년 사이, 한성백제 때 제작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시기에 한자는 물론 경전(논어)까지 이미 도입되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자료로 평가됩니다. 선문대 고고연구소(소장 이형구)는 2004년부터 2년간의 발굴 성과를 담은 '계양산성' 보고서에서 "목간과 같은 층위에서 출토된 목재 2점에 대한 AMS(가속기질량분석) 연대측정 결과 AD 400년과 AD 480년이었다"고 결론내렸습니다. ㆍ한자·경전 도입도 입증 획기적 자료 평가 잔존 길이 13.8㎝로 지름 2㎝ 정도 크기의 목재를 5면으로 깎아 만든 이 목간은 2005년 5월, 산성내 집수정 바닥에서 확인된 바 있다. 그런데 적외선 촬영 결과 목간 5면에..
2018년 4월 22일 하남시와 하남역사박물관에 따르면 고려문화재연구원(이사장 김병모)이 2015년 11월부터 진행 중인 하남감일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부지에서 4세기 중반∼5세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굴식 돌방무덤) 50기가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하남 감일동에서 나온 백제 횡혈식 석실분. [고려문화재연구원 제공] 한성도읍기 백제 왕성이 확실시되는 서울 풍납토성(사적 제11호)과 약 4㎞ 떨어진 경기 하남 감일동에서 백제 최고위층 무덤 수십 기가 나왔다. 조사단은 지금까지 전국에서 확인된 백제 횡혈식 석실분은 모두 70여 기로, 서울 인근에서 이처럼 많은 백제 석실분이 나온 것은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이 고분들은 학계에서 한성도읍기 백제 왕릉급 무덤으로 보..
■ 서울 석촌동 고분군 ‘한국의 피라미드’로 불리는 석촌동 고분군은 백제의 대표적인 무덤양식인 돌무지무덤으로 한 변이 길이가 50m에 이르는 한반도 최대 크기다. 서울 송파구의 석촌동 고분군은 일제 강점기에만 해도 300여기의 무덤이 남아있었으나 현재는 5기만 존재한다. 특히 3호분은 크기 등으로 미루어 근초고왕의 무덤으로 추정된다.백제 13대 왕인 근초고왕(재위 346∼375년)은 활발한 정복활동으로 4세기대 고대백제국가의 기반을 확립했다.(출처; '한반도의 피라미드' 서울 송파구 석촌동고분군은 백제왕 근초고왕의 무덤일까? (daum.net) 서울신문. 2016.06.03) 2016년 11월 29일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 중인 백제 한성기 왕릉지구인 ..
서울대박물관이 2023년 5월23부터 8월31일까지 열었던 ‘왕도한성:몽촌토성 1983~2023’ 특별전(2023년 5월23~8월31일)에서 나무상자 속에 보관해왔던 동물유체 등 유물 일부를 꺼내 정리한 결과물을 내놓았습니다. 1983~89년 조사된 몽촌토성의 미정리유물 일부가 40년 만에 공개됐는데요, 그 가운데 최초로 정리·공개되는 제사의 흔적 유구와 유물이 특히 눈길을 끕니다. 발굴 40년만에 정리·분석·공개된 몽촌토성(1983~1985)의 출토유물 중 동남지구에서 확인된 곰앞발뼈와 말의 치아. 사람의 손과 흡사한 곰의 앞발뼈는 끝마디가 모두 잘린 것 같은 모습이었다. 말의 치아는 위치 이동없이 가지런히 놓여있었다. 온전한 말머리가 묻혀있다가 다른 부위는 유실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박물관 ..
《삼국사기》 백제본기 제1 시조온조왕조에 백제 동쪽에 낙랑이 있고, 북쪽에 말갈이 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13년(B.C. 6)〕 여름 5월에 왕이 신하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우리나라의 동쪽에는 낙랑(樂浪)이 있고, 북쪽에는 말갈(靺鞨)이 있어 번갈아 우리 강역을 침공하므로 편안한 날이 적다. 하물며 요사이 요망한 징조가 자주 나타나고, 국모(國母)께서 돌아가셨다. 형세가 스스로 편안하지가 않으니, 장차 반드시 도읍을 옮겨야겠다. 내가 어제 순행을 나가 한수의 남쪽을 보니, 땅이 기름지므로 마땅히 그곳에 도읍을 정하여 오래도록 편안한 계책을 도모해야 하겠다.』 (한국고대사료DB, https://db.history.go.kr/ancient/level.do?levelId=sg_023r_0020_01..
영산강 유역에 있는 나주 복암리고분, 나주 영동리 고분, 나주 정촌고분, 함평 신덕고분, 광주 월계동 장고분 등을 알아봅니다. 나주 복암리고분, 나주 영동리 고분, 나주 정촌고분은 옹관(독널)묘인데, 이 옹관묘는 3~5세기 말까지 영암·함평·무안 등 영산강을 따라 유행했습니다. 특히 나주평야 한복판인 대안리·신촌리·덕산리 일대에 집중된 36기의 무덤군이 있는데, 이를 반남(潘南)고분군이라 합니다. 특히 신촌리 9호분에서는 금동관과 금동신발, 환두대도 등이 확인됐는데, 이 일대를 다스리던 수장이었음이 확실합니다. 이런 금동제는 백제식이 분명하지만, 왜계와 가야계 유물도 엿보입니다. 1996년 5월 어느 날이었다. 영산강 유역인 전남 나주 다시면 복암리 3호분을 발굴 중이던 전남대 조사단이 심상..
사비(부여)도읍기(성왕-위덕왕- 혜왕-법왕-무왕-의자왕, 538~660년) 부여 왕흥사 목탑 터,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절터(능산리 사지) 발굴 내용을 알아봅니다. 부여 왕흥사 목탑 터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사리를 봉안하는 기구)인 청동사리합과 은, 금 사리병이 출토되었고,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절터(능산리 사지)에서 지금껏 발굴된 백제 문화재 가운데 가장 걸작으로 손꼽히는 백제금동대향로가 출토되었습니다. 한국의 인디아나존스들[한국의 인디아나존스들] 1500년 전 백제 청동사리합, 아들 잃은 위덕왕 슬픔 고스란히동아일보업데이트 2017-02-08 03:002017년 2월 8일 03시 00분 김상운 기자 부여 왕흥사 목탑 터 발굴1일 충남 부여군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