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력사를 찾아서

3. 신석기시대 고고학 (6) 요하문명(발해연안문명) (3) 본문

환국시대/환국

3. 신석기시대 고고학 (6) 요하문명(발해연안문명) (3)

대야발 2025. 1. 11. 17:41
SMALL

 

 

 

 

 

 

 

 

2021년 11월 1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알타이어족'으로도 불리는 트랜스유라시아어족(Transeurasian languages) 언어의 기원지가 '서요하 유역 기장 농업 지역'이라는 중요한 연구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현재 한국어를 포함해 98개 언어가 속해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우실하 한국항공대 인문자연학부 교수. (사진= 우실하 교수 제공) 2021.11.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이 논문은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의 마르티너 로베이츠(Martine Robbeets) 교수 연구팀을 중심으로 10개국의 학자들이 언어학, 고고학, 유전생물학 분야를 종합한 대규모 공동 연구의 결과였다.

 

 

연구 결과는 '농경'의 확산을 통해서 언어의 확산이 이뤄졌는데,

(1) 트랜스유라시아어족(=알타이어족) 언어의 기원지는 '9000년 전 서요하(西遼河) 유역의 기장[黍] 농업 지역'(=요하문명 지역)이며,

(2) 신석기시대에 '원시 한국어-일본어(5500년 전)'와 '원시 몽골어-퉁구스어(5000년 전)'로 1차로 분화되었고,

(3) 청동기시대에는 원시 한국어, 원시 일본어, 원시 몽골어, 원시 퉁구스어, 원시 튀르크(=돌궐)어로 2차로 분화되었으며, (4) 이후에 각 지역으로 다양하게 분화되었다는 것이다.

 

 

 

[서울=뉴시스] 신석기-청동기 시대 트랜스유라시아어족(=알타이어족)의 분포. (사진=우실하 한국항공대 인문자연학부 교수 제공) 2021.11.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논문에서 트랜스유라시아어족 언어의 기원지로 밝혀진 '9000년 전 서요하 유역의 기장 농업 지역'이 바로 '요하문명' 지역이고, 요하문명의 가장 이른 신석기시대 고고학문화인 소하서문화(小河西文化: BC 7000-BC 6500)의 시작이 바로 9000년 전이다.

 

요하문명의 흥륭와문화 흥륭구(興隆溝)유적에서 발견된 8000년 전의 '세계 최초의 재배종 기장(1460알 중 1400알, 96%)과 조(1460알 중 60알, 4%)'는 2012년에 UN 식량농업기구(FAO)에서 '세계 중요 농업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 논문은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의 언어가 4000년 전을 기점으로 중앙아시아를 거처 들어온 유목-목축민들이 전파했다는 기존의 '유목민 가설'을 비판하면서, '9000년 전 서요하 지역의 기장 농경민'에서 기원하여 확산된다는 '농경민 가설'을 제시한다.

 

 

필자는 '서요하 유역'에서 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굴되고 있는 '요하문명(遼河文明)'에 대해서 여러 권의 책을 쓰며 연구해오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어의 뿌리인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의 기원 이외에도 다양한 역사-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다.

 

 

곧, 요하문명 지역은 '트랜스유라시아어족' 언어의 기원지일 뿐만이 아니라,

(1) 9000년 전 최초의 빗살무늬토기,

(2) 9000-8000년 전 최초의 재배종 기장-조,

(3) 8000년 전 최초의 옥결(玉玦·옥 귀고리),

(4) 8000년 전 최초의 적석묘,

(5) 7000년 전 최초의 복골(卜骨·점을 친 뼈),

(6) 5500년 전 최초의 계단식 적석총,

(7) 4300년 전 최초의 치(雉)를 갖춘 석성(石城),

(8) 3000년 전 최초의 비파형동검 등이 발견되고 기원하는 곳이기도 하다(아래 표 참조).

이 가운데 (1), (4), (6), (7), (8)은 요하문명과 한반도 지역에서는 모두 발견되지만 황하문명 중심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들이다.

 

 

 

[서울=뉴시스] 요하문명의 중요 신석기-청동기 시대에 발굴된 최초의 것들. (사진=우실하 한국항공대 인문자연학부 교수 제공) 2021.11.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요하문명은 전형적인 북방문화 계통으로 황하문명과는 확실하게 구별된다. 위 논문에서도 황하문명 지역은 '중국-티베트어족' 언어의 기원지고, 요하문명 지역은 트랜스유라시이어족 언어의 기원지라고 본다. 곧 황하문명과 요하문명이 이질적이고 독자적인 문명권이라는 것이다.

 

 

중국은 요하문명 지역을 화하족의 조상인 황제족(黃帝族)이 일군 문명이자 중화문명의 발상지로 삼고, 동북아시아의 상고-고대사를 전면적으로 재편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후대에 출현하는 모든 소수민족들은 모두 황제족의 후손이고, 그 황제족의 후손의 역사는 모두 중국사의 일부라는 것이다. 고조선, 부여, 고구려의 역사는 이미 중국사의 일부가 된지 오래다.

 

 

한국인들은 비파형동검이 출토되는 만주 일대를 '고조선의 문화권/세력권/세력 범위' 등으로 가르치고 배운다. 그 한 가운데서 수 천년 동안 아무도 알 수 없었던 요하문명이 새롭게 발견되었는데,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이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한 손에 꼽을 정도다.

 

 

 

 

 

 

이 논문은 동북아시아 역사·문화 연구에서도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첫째, 동북아시아 상고사-고대사 연구의 출발점도 요하문명 지역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요하문명 지역은 언어적으로도 황화문명 지역과는 별개의 독자적 문명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이제는 요하문명에 대해서 모르고는 동북아시아의 언어·역사·문화·철학·종교를 논하기 어려워졌다는 점을 보여준다.

 

 

필자는 여러 책과 논문에서 요하문명이 '동북아시아 공통의 시원문명'이라고 논의한 바 있다. 요하문명을 일군 사람들이 동이족의 선조들이었고, 예맥족의 선조들이다.

 

이제는 여러 분야에서 요하문명과 연결하여 깊이 있는 연구를 해야 한다. 우리가 우리의 시각에서 요하문명을 연구하지 않는다면, 중국의 논리가 전 세계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각 분야에서 요하문명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어야 한다.

뉴시스. 우실하 한국항공대 인문자연학부 교수[기고]네이처에 발표된 '트랜스유라시아어족 언어의 기원'에 대한 논문의 또 다른 의미. 신효령기자. 2021. 11. 19. (1)

 

 

 

 

 

獨연구팀에 韓-中-日-러-美 참여.. 공동연구결과 '네이처'에 발표
주어-목적어-술어 어순 알타이어족, 언어학-고고학-유전생물학 등 분석
"공통 기원 언어 3000개 요하로 연결.. 쌀 농업 한반도로 유입돼 日에 도달
유전체 분석 결과 공통 요소 발견"

 

 

 

 
 
 
 

 

한국어 몽골어 일본어 등의 ‘뿌리 언어’로 여겨지는 ‘트랜스유라시아어족(알타이어족)’의 기원이 약 9000년 전 중국 동북부 요하(遼河·랴오허) 일대 농업 지역이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약 4000년 전 중앙아시아 유목민이 이주하면서 언어가 퍼져나갔다는 기존의 ‘유목민 가설’을 뒤집은 것이다.



마르티너 로베이츠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과학연구소 고고학부 교수 연구팀과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등의 연구진이 대거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이성하 한국외국어대 교수, 김재현 동아대 교수, 안덕임 한서대 교수 등 국내 연구진도 공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은 동쪽의 한국, 일본으로부터 시베리아를 거쳐 서쪽의 터키에 이르기까지 유라시아대륙을 가로질러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주어-목적어-서술어의 어순, 모음조화, 문법상 성별 구분이 없는 등 공통점이 있다. 방대한 규모의 언어집단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 전파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유목민 가설’이 힘을 얻었었다.



국제공동연구팀은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의 기원과 전파 양상을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언어학, 고고학, 유전생물학 등 세 분야를 입체적으로 조명했다. 고대의 농업·축산 관련 어휘를 분석하고, 신석기·청동기시대 유적지에 대한 고고학 연구결과, 고대 농경민의 유전자 분석결과와 비교했다.



언어학적으로 기원이 공통된 언어 3000여 개를 모아 계통수를 그려나간 결과,

9000여 년 전 요하 일대 기장 농업 지역에서 사용된 언어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신석기 때 원시 한국-일본어, 원시 몽골-퉁구스어 등으로 분화됐다.

청동기에 한국어, 일본어, 몽골어, 퉁구스어, 튀르크어 등으로 분리되면서 당시 새로 도입된 쌀, 밀, 보리 같은 작물 단어와 낙농업, 실크 등의 언어가 추가됐다.

 


고고학적으로 255개 유적지에서 발굴된 작물의 탄소 연대 측정 결과를 분석하니

약 9000년 전 요하 일대의 기장 농업은 크게 두 분류로 나뉘어

한 분류는 5500년 전 한반도 방향으로,

나머지 한 분류는 5000년 전 북쪽 방향의 아무르강 유역으로 퍼져나갔다.

쌀 농업은 중국 랴오둥과 산둥 지역에서 3300∼2800년 전 한반도로 유입됐으며,

3000년 전 일본까지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9500∼300년 전 한국, 일본, 아무르강 유역에 살았던 19명의 유전체와 유라시아와 동아시아의 현대인 194명의 유전체를 분석하고 비교했다. 그 결과 트랜스유라시아어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에게서 공통적인 유전적 요소가 발견됐다.

 


연구팀은 세 분야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농경문화와 함께 언어의 확산과 분리가 일어났다는 ‘농경민 가설’을 제시했다. 특히 유전적 증거를 통해 한국과 일본인이 트랜스유라시아어족과 관련 없다는 기존의 일부 학설도 반증했다. 또 욕지도에서 나온 고대인의 DNA를 분석해 중기 신석기시대 한국인 조상의 유전자가 일본 토착민인 조몬인(繩文人)과 95% 일치한다는 사실도 처음 확인했다.

동아일보. 서동준 동아사이언스 기자. "한국어 기원, 9000년전 中요하 농경지".. 중앙亞 유목민설 뒤집히나. 2021. 11. 12. (2)

 

 

 

 

막스플랑크 硏, 네이처에 논문
기존 ‘유목민 가설’ 뒤집어… 튀르크·몽골어와 뿌리 같아

 

 

한국어가 투르크어, 몽골어, 일본어와 함께 9000년 전 신석기시대에 지금의 중국 동북부에 살았던 농경민에서 비롯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기존의 유목민 가설을 뒤집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그보다 수천 년 뒤에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이 전 세계로 이주하면서 비슷한 체계를 가진 언어들이 퍼졌다고 알려졌다.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연구소의 마티너 로비츠 박사 연구진은 “언어학과 고고학, 유전학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한 결과 유럽에서 동아시아에 이르는 트랜스유라시아 어족(語族)이 신석기시대에 중국 랴오허강(遼河·요하) 일대에서 기장 농사를 짓던 농민들이 이주하면서 형성됐음을 확인했다”고 11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독일과 한국·중국·일본·러시아 등 10국에서 언어학자, 고고학자, 유전생물학자 41명이 참여했다. 한국외국어대의 이성하 교수와 안규동 박사, 동아대의 김재현 교수, 서울대의 매튜 콘테 연구원 등 국내 연구진도 논문에 공저자로 등재됐다.

 

 

 

트랜스유라시아 어족(알타이 어족)의 전파 과정

 

 

 

 

트랜스유라시아 어족은 알타이 어족이라고도 한다. 서쪽의 투르크어에서 중앙아시아의 몽골어와 시베리아의 퉁구스어, 동아시아의 한국어, 일본어로 구성된다. ‘보글보글, 부글부글’처럼 앞 음절의 모음과 뒤 음절의 모음이 같은 종류끼리 만나는 모음조화가 나타나고, ‘나는 밥을 먹는다’처럼 주어, 목적어, 서술어 순으로 말을 한다.

 

 

연구진은 특정 문화와 무관한 ‘들판, 돼지, 집’ 같은 단어들을 비교해 언어의 계통도를 작성했다.

이 단어들의 기원은 9200년 전 기장 농사를 짓던 농민들로 거슬러 올라갔다.

동시에 8500~2000년 전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의 고고학 유적지 255곳에서 발굴된 토기와 농작물, 장례 유적을 분석했다. 농업의 전파 과정은 원시 트랜스유라시아 언어가 퍼진 경로와 일치했다. 마지막으로 시베리아와 몽골·중국·한국·일본·대만에서 9000~300년 전 살았던 사람 23명의 유전자를 비교했다.

 

 

세 가지 정보를 종합한 결과 약 9000년 전 요하 계곡에서 기장을 재배하던 농민들이 지금의 트랜스유라시아 어족의 공통 조상으로 밝혀졌다.

 

이는 3000~4000년 전 중앙아시아 초원지대에서 발원한 유목민이 이주하면서 트랜스유라시아어가 퍼졌다는 ‘유목민 가설’을 뒤집는 결과이다.

 

로비츠 교수는 “기장 농업이 발달하면서 인구가 늘었고 그들의 언어도 세계로 퍼진 것”이라고 밝혔다. 호주국립대의 피터 벨우드 교수는 이날 네이처에 발표한 논평 논문에서 “설득력 있는 연구 결과”라며 “언어는 절대 혼자 움직이지 않고 말하는 사람들이 퍼뜨리기 때문에 영역이 넓어진다”고 밝혔다.

조선일보.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한국어 기원은 9000년전 요하 일대 농민”. 2021. 11. 12. (3)

 

 

 

 

 

https://youtu.be/Fh6ihH7FjZ0

 

 

 

 

 

 

 

<자료출처>

 

 

(1) https://v.daum.net/v/20211119155740982 뉴시스. 2021. 11. 19.

 

 

(2) "한국어 기원, 9000년전 中요하 농경지".. 중앙亞 유목민설 뒤집히나 (daum.net) 동아일보. 2021. 11. 12.

 

 

(3) “한국어 기원은 9000년전 요하 일대 농민” (daum.net) 조선일보. 2021. 11. 12. 수정 2024. 1. 2. 

 

 

 

<참고자료>

 

 

Triangulation supports agricultural spread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 10 November 2021 Martine Robbeets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 동아사이언스 (dongascience.com)2020-06-01

 

 

 

Ancient genomes from northern China suggest links between subsistence changes and human migration | Nature Communications 01 June 202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