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34)
력사를 찾아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I4qQE/btsKxJgdVvE/1ca7pKxvliDaj2R1Z09m71/img.png)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높은 문화를 가진 자주 · 민주 · 통일 조국을 건설하기 위하여 일생을 바친 겨레의 큰 스승 백범 김구 선생님(1876~1949)의 삶과 사상을 알리고 계승 · 발전시키기 위해 2002년 10월 22일 개관한 백범김구기념관에 다녀왔습니다. 백범김구기념관은 격동의 한국 근현대사와 함께한 백범 김구 선생님의 삶과 사상을 통해 우리의 근현대사를 이해하고, 분단된 조국의 자주 · 민주 ·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며, 민족의 아름다운 문화를 발전시켜 나가는 겨레의 문화적 삶의 공간입니다. 백범김구기념관 전시관 중앙홀 - 백범좌상 나의 소원 『백범일지』 - 나의 소원 교육의 기초가 되는 것은 우주와 인생과 정치에 대한 철학이다. 어떠한 철학의 기초 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F2C6/btsKw4kfCH8/sEF8l0k23GD5qbYXt9SJXK/img.jpg)
1990년부터 시작한 '경복궁 복원'은 2045년까지 진행합니다.고종 때 중건 당시 전각(500동) 가운데 1990년까지 남아 있던 건물은 36개동뿐이었습니다. 지금까지 광화문-흥례문-근정전-침전(강녕전·교태전 등)-후원(건청궁) 등으로 이어지는 중심축과 태원전(임금 초상화를 모신 곳), 동궁(자선당·비현각 등), 함화당 및 집경당 등 보수·복원이 마무리되었습니다. 1990년 첫 삽을 뜬 ‘경복궁 복원’은 2045년까지 장장 55년의 기간을 두고 진행하는 사업이다. 중건 당시의 전각(500동) 가운데 1990년까지 남아있던 건물은 36개 동에 불과했다. 1차 복원계획이 끝난 2010년까지 총 125동(기존 36개동 포함)에 달했다. 문화재청은 2차 복원 기간(2011~2045년)에 80개동을 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TGdK9/btsJuvWFBxt/duGi9CegotUo789lgIGcmk/img.jpg)
2019년부터 진행한 광화문광장 조성 과정에서 조선시대 주요 관청의 흔적이 발굴됐습니다. 지금의 광화문광장에서 세종대로 일대까지 뻗어있었던 ‘육조거리’는 조선시대 서울의 핵심거리로 최고 행정기구인 의정부를 비롯한 6조(이조·호조·예조·병조·형조·공조)가 있었습니다. 삼군부(지금의 합동참모본부)의 외행랑, 배수로, 건물지의 터가 확인됐고요, 중추부의 건물자리, 사헌부(지금의 감사원, 검찰)와 병조의 문지, 행랑, 담장, 우물, 배수로 터, 형조와 공조의 배수로 터, 그리고 민가 터가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공사에서 드러난 조선시대 육조거리.①지점에선 삼군부의 외행랑, 배수로, 건물지의 터가 확인됐다.②지점에서는 중추부의 건물 자리가,③지점에선 사헌부와 병조의 문지·행랑·담장·우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Yyd1/btsKwnwXkKV/PKNvSiNExAuQJk3269UvSk/img.jpg)
2003년 12월말 문화운동가 황평우씨가 종로구 청진동에서 건설사(르메이에르건설)가 주상복합건물 사업시행을 위해 낡은 기존 건물들을 철거하고 있는 현장에서 건물 기초석인 장대석(長臺石·섬돌 층계나 축대를 쌓는 데 쓰는, 길게 다듬은 돌)을 발견하고 문화재청에 ‘문화재를 발견했다’고 신고하여, 한국건축문화연구소(명지대 부설)가 본격 발굴에 들어가게 되었다. (서울=연합뉴스) 서울 도심 종로 한복판인 '서울 종로 청진2-3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바닥을 드러낸 조선시대 시전행랑(아래쪽). 조사 결과 시전행랑 뒤 피맛길에서 청진동으로 통하는 쪽에서는 이문(里門)이라는 조선시대 문터가 드러나기도 했다. 오른쪽 사람의 왼쪽에 노출된 초석 4개가 이문의 흔적이다. 2010.6.20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PYau/btsKwp1D7Ru/PBJfEIRiQT1I3enG7HjOp0/img.jpg)
2021년 6월 29일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은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의 허가를 받아 (재)수도문물연구원(원장 오경택)이 발굴조사 중인 ‘서울 공평구역 제15ㆍ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 내 유적(나 지역, 발굴현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 79번지)’에서 항아리에 담긴 ▲조선 전기에 제작된 금속활자 1,600여 점과 ▲세종~중종 때 제작된 물시계의 주전(籌箭)을 비롯해 ▲세종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1점, ▲중종~선조 때 만들어진 총통(銃筒)류 8점, 동종(銅鐘) 1점 등의 금속 유물이 한꺼번에 같이 묻혀있는 형태로 발굴되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훈민정음' 금속활자 등 중요 유물 쏟아진 피맛골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인사동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6vWEy/btsKtQZ6l3p/LgkiZnTcrKCKqAdJxKUnD1/img.jpg)
2023년 3월 20일 문화재청과 수도문물연구원에 따르면 서울 종로구 신영동 세검정 일대 도시형 생활주택을 짓는 부지에서 고려시대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지들과 관련 유물이 확인됐습니다. 문화재청은 지난 9일 열린 학술자문회의에서 조사 지역이 고려 남경 궁궐 중심지와 고려 현종계 왕실 성지인 삼각산 승가사의 중간지점이고 건물지 축대와 기단 등이 정연하게 조성되고 보존상태 양호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승안 3년'(承安 三年, 승안 3년은 1198년으로 추정)이란 글이 새긴 기와 조각을 비롯해 청자 조각, 도기 등 유물이 출토됐습니다. 문화재청은 '승안 3년'이 새겨진 이곳에 고려시대에 조성된 건물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종로 신영동서 고려시대 추정 건물터 발견이수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1kgGU/btsKvfEhgag/G3qFUvwX3drUjzIPxq4p3k/img.jpg)
개성 만월대는 약 1100년 전 세워진 고려태조 왕건의 궁궐터입니다. 이형구교수는 회경문 안으로 들어서면 넓은 마당이 있고, 그 북쪽에 궁전의 중심 건물인 회경전이 한 단 높은 지대석 위에 웅장하게 솟아 있었을 것이라고 합니다. 회경전 뒤에는 장화전·원덕전·건덕전·중광전·선정전 등 여러 궁전 건물의 초석이 연달아 자리 잡고 있으며, 궁전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수많은 건물들 가운데서 회경전이 가장 대표적인 건물이라고 하였습니다. 『고려 통일의 터전 - 만월대 개성 남대문을 끼고 시내를 지나 만월대(滿月臺)로 향하였다. 영통사 복원 계획의 일환으로 개성을 방문하게 되었지만 특별히 만월대 방문을 요청한 뜻은 고려 통일 왕조를 500년 동안 지켜온 왕궁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개성 남대문개성..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HvnHs/btsL3Xor2dA/KOmZnHfPnRRHlIKjofWFIk/img.jpg)
80년대 발굴에 이어 1998~2003년 추가 조사 결과 늑도에서는 기원전 3~2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 때까지 토기와 철기, 동전, 공예품 등 각종 유물 수만점이 출토됐고 섬 전체가 패총(조개무지)과 무덤, 건물터로 뒤덮여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놀라운 건 토기 등의 출토품 상당수가 당대 중국과 한반도, 일본 각지에서 온 다국적 유물이란 점이었습니다. 2000여년 전 늑도가 홍콩처럼 동아시아 굴지의 국제교역항이었다는 사실이 명확히 밝혀진 것입니다. 늑도 전경. 사천시와 창선도 사이에 있는 섬으로 지금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꿈의 섬이었습니다.” 김두철 부산대 고고학과 교수가 떠올린 ‘그 섬’은 경남 사천시(옛 삼천포시) 앞에 있는 작은 섬 늑도다. 1985~86년 그를 포함한 부산대 조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1TPbJ/btsKowzHKoF/Kli3WpKGkVID2Zs3OUWkAk/img.png)
안녕하세요. 티스토리 팀입니다.티스토리 블로거 분들은 #오운완 해보셨나요? 매일 운동 목표를 달성하고 ‘오늘 운동 완료' 했음을 인증하는 트렌드인데요.중요한 건 대단한 목표가 아니어도, 매일의 작은 성취를 꾸준히 쌓아가는 것입니다.블로그도 이와 비슷하다고 생각해요. 짧은 글이더라도 꾸준히 글을 쓰며 성장해 나가는 게 중요하거든요.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를 소개합니다.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오늘 블로그 완료! 21일 동안 매일 블로그에 글 쓰고 글력을 키워보세요.www.tistory.com #오블완 이란?‘오늘 블로그 완료'의 의미로, 오늘의 블로그 포스팅을 완료했음을 인증하는 태그입니다. 21일동안 매일 글쓰기에 도전하는 '작심삼주 오블완 챌린지'가 11월 7일(목) 시작될 예정입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v0Ke/btsL1XwTUnk/AsA8NXhEWsiYnkulIK3R8k/img.jpg)
해남은 고대 동북아의 ‘물류허브’ 였다1983년 3월 어느 날.황도훈이라는 해남의 향토사학자가 있었다. 해남문화원장을 지내면서 고향 땅을 답사하는 것을 여생의 일로 삼고 있었던 사람이었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군곡리 마을을 지나던 황씨의 눈길이 멈췄다. 무슨 옹관 같은 유물이 눈에 띈 것이었다. 게다가 불에 탄 흔적도 있었다. ■ 2300년 전 음식물 쓰레기장 해남 군곡리에서 확인된 뼈로 만든 연모. ‘이건 야철지 아닌가.’ 독학으로 고고학을 배우던 그의 눈엔 호기심이 가득했다. 그는 행장을 꾸려 서울로 올라가 서울신문사를 찾았다. “회사 논설위원 중에 해남 사람이 있었는데, 황도훈씨와 친구였지. 그 인연으로 우리 신문을 찾아온 거지요.”(황규호 전 서울신문 기자) 황 기자는 즉시 황도훈..